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22. 09:51

CPU 5600X

그래픽카드 AMD 6600XT 채굴 중고

램 8GB x 2 개

 

2시간 상영 시간 1080P FHD 영상 인코딩 시간 5분

동시에 여러개의 인코딩 프로그램 멀티 다중 동작

H.264/H.265 인코딩 최적화 완전정복: 영상 품질과 용량의 완벽한 밸런스 찾기

  

 

영상 인코딩의 양대 산맥인 H.264와 H.265에 대해 영상 플랫폼이 대세인 시대에 인코딩 최적화는 필.수.템!

영상 편집을 하다 보면 "이 영상 용량 너무 크다..." 혹은 "화질이 왜 이렇게 구려졌지?" 하는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특히 재능넷에서 영상 제작 재능을 판매하시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고객에게 퀄리티 높은 영상을 전달하면서도 용량은 적절하게 관리해야 하니까요. 오늘은 그 해결책을 함께 알아봅시다!

 

H.264와 H.265, 도대체 뭐가 다른 거야?

일단 기본부터 탈탈 털어봅시다! H.264(AVC)와 H.265(HEVC)는 둘 다 영상 압축 코덱인데요. 쉽게 말하면 영상을 작은 용량으로 압축해주는 기술이에요.

📊 H.264 vs H.265 한눈에 비교

  1. 압축률: H.265가 H.264보다 약 30~50% 더 효율적으로 압축해요.
  2. 화질: 같은 비트레이트에서 H.265가 더 좋은 화질을 제공해요.
  3. 인코딩 시간: H.265가 더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해서 인코딩 시간이 더 오래 걸려요.
  4. 호환성: H.264가 더 많은 기기와 플랫폼에서 지원돼요.
  5. 하드웨어 요구사항: H.265는 더 강력한 하드웨어가 필요해요.

쉽게 비유하자면 H.264는 믿고 쓰는 국민 코덱이고, H.265는 좀 더 까다롭지만 성능은 더 좋은 프리미엄 코덱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025년 현재, 어떤 코덱을 선택해야 할까?

2025년 현재 시점에서는 H.265가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어요. 하지만 아직도 H.264의 입지는 탄탄합니다. 선택 기준을 알려드릴게요!

🎯 H.264를 선택해야 할 때

1. 최대한 많은 사람이 볼 수 있게 하고 싶을 때

2. 인코딩 시간을 단축하고 싶을 때

3. 라이브 스트리밍이나 실시간 영상 처리가 필요할 때

4. 오래된 기기나 시스템에서도 재생해야 할 때

🎯 H.265를 선택해야 할 때

1. 4K, 8K 등 고해상도 영상을 다룰 때

2. 용량 제한이 있는 상황에서 최대한 화질을 유지하고 싶을 때

3. HDR 콘텐츠를 제작할 때

4. 최신 기기나 플랫폼을 타겟으로 할 때

요즘 재능넷에서도 4K 영상 편집 의뢰가 많이 들어오는데, 이런 경우엔 H.265가 확실히 유리해요! 물론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게 좋겠죠?

⚙️ H.264 인코딩 최적화 꿀팁

자, 이제 본격적으로 인코딩 최적화 방법을 알아볼게요! 먼저 H.264부터 시작해볼까요?

H.264 인코딩 프로필 가이드Baseline호환성: 최고복잡도: 낮음화질: 기본용도: 화상통화모바일 친화적Main호환성: 높음복잡도: 중간화질: 우수용도: 스트리밍범용성 좋음High호환성: 중간복잡도: 높음화질: 최고용도: 방송/영화고화질 콘텐츠👉 대부분의 경우 Main 또는 High 프로필 권장

🔹 프로필(Profile) 선택하기

H.264에는 여러 프로필이 있어요. 프로필마다 지원하는 기능과 압축 효율이 달라요.

  1. Baseline Profile: 가장 기본적인 프로필로, 모바일 기기나 화상 통화에 적합해요.
  2. Main Profile: 일반적인 비디오 스트리밍에 적합하며, 대부분의 기기에서 지원돼요.
  3. High Profile: 가장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며, 고화질 영상에 적합해요. 요즘은 대부분 이걸 사용해요!

실무에서는 High Profile을 주로 사용하지만, 타겟 시청자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오래된 스마트폰을 타겟으로 한다면 Baseline이나 Main을 고려해볼 수 있죠.

🔹 레벨(Level) 설정하기

레벨은 비트레이트,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의 제한을 정의해요. 레벨이 높을수록 더 높은 해상도와 비트레이트를 지원하지만, 더 강력한 하드웨어가 필요해요.

일반적으로 1080p 30fps는 Level 4.0, 1080p 60fps는 Level 4.2, 4K 30fps는 Level 5.1을 사용해요.

🔹 비트레이트(Bitrate) 최적화

비트레이트는 영상의 화질과 용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에요. 너무 낮으면 화질이 떨어지고, 너무 높으면 파일 크기가 커져요.

💡 H.264 권장 비트레이트 (2025년 기준)

  1. 720p 30fps: 3-5 Mbps
  2. 1080p 30fps: 5-8 Mbps
  3. 1080p 60fps: 8-12 Mbps
  4. 4K 30fps: 15-25 Mbps
  5. 4K 60fps: 25-40 Mbps

물론 콘텐츠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액션이 많은 영상은 더 높은 비트레이트가 필요하고, 정적인 영상(예: 강의 영상)은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도 충분해요.

🔹 인코딩 모드 선택하기

H.264에는 여러 인코딩 모드가 있어요:

  1. CRF (Constant Rate Factor): 화질 기반 인코딩으로, 일정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장면에 따라 비트레이트를 자동으로 조절해요. 값이 낮을수록 화질이 좋아지고 파일 크기는 커져요. 보통 18-23 사이 값을 사용해요.
  2. CBR (Constant Bit Rate): 일정한 비트레이트를 유지해요. 스트리밍에 적합해요.
  3. VBR (Variable Bit Rate): 장면에 따라 비트레이트를 조절해요. 일반적인 영상 제작에 적합해요.

일반적으로 영상 퀄리티가 중요하다면 CRF, 스트리밍이 목적이라면 CBR을 사용하는 게 좋아요.

🔹 프리셋(Preset) 설정하기

프리셋은 인코딩 속도와 압축 효율 사이의 균형을 조절해요. 느린 프리셋일수록 더 효율적으로 압축하지만, 인코딩 시간이 오래 걸려요.

⏱️ H.264 프리셋 (빠름 → 느림)

ultrafast → superfast → veryfast → faster → fast → medium → slow → slower → veryslow → placebo

실무에서는 medium이나 slow를 많이 사용해요. 급하게 인코딩해야 한다면 fast나 veryfast를, 시간이 충분하고 최상의 화질을 원한다면 slower나 veryslow를 사용하세요. placebo는 효율 대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거의 사용하지 않아요. ㅋㅋㅋ

🔹 실제 코드 예시 (FFmpeg 사용)

 
ffmpeg -i input.mp4 -c:v libx264 -profile:v high -level 4.2 -crf 23 -preset slow -c:a aac -b:a 192k output.mp4
  •  

이 명령어는 H.264 High Profile, Level 4.2, CRF 23, slow 프리셋으로 인코딩하고, 오디오는 AAC 192kbps로 인코딩해요.

⚙️ H.265 인코딩 최적화 꿀팁

이제 H.265(HEVC) 인코딩 최적화에 대해 알아볼게요! H.265는 H.264보다 더 효율적이지만, 더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해요.

H.265 vs H.264 비트레이트 비교해상도720p1080p4K8K비트레이트 (Mbps)020406080H.264H.265

🔹 프로필(Profile) 선택하기

H.265에도 여러 프로필이 있어요:

  1. Main Profile: 일반적인 8비트 비디오에 사용돼요.
  2. Main 10 Profile: 10비트 색상 깊이를 지원해요. HDR 콘텐츠에 적합해요.
  3. Main Still Picture: 정지 이미지 압축에 최적화되어 있어요.

요즘은 Main 10 Profile을 많이 사용해요. 10비트 색상 깊이는 더 부드러운 그라데이션과 더 넓은 색 범위를 제공해요. 특히 HDR 콘텐츠에서 빛을 발하죠! ✨

🔹 비트레이트(Bitrate) 최적화

H.265는 H.264보다 약 30-50% 더 효율적으로 압축해요. 따라서 같은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더 낮은 비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요.

💡 H.265 권장 비트레이트 (2025년 기준)

  1. 720p 30fps: 2-3 Mbps
  2. 1080p 30fps: 3-6 Mbps
  3. 1080p 60fps: 6-9 Mbps
  4. 4K 30fps: 8-15 Mbps
  5. 4K 60fps: 15-25 Mbps
  6. 8K 30fps: 25-40 Mbps

보시다시피 H.264보다 훨씬 낮은 비트레이트로도 비슷한 화질을 얻을 수 있어요. 이게 바로 H.265의 가장 큰 장점이죠! 👍

🔹 CRF 값 설정하기

H.265에서도 CRF(Constant Rate Factor)를 사용할 수 있어요. 하지만 H.264와 H.265의 CRF 값은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어요.

H.265에서는 H.264보다 약 2-6 정도 낮은 CRF 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예를 들어, H.264에서 CRF 23을 사용했다면, H.265에서는 CRF 18-21 정도를 사용하면 비슷한 화질을 얻을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H.265에서는 다음과 같은 CRF 값을 권장해요:

  1. 고화질: CRF 18-20
  2. 중간 화질: CRF 21-24
  3. 저화질: CRF 25-28

🔹 프리셋(Preset) 설정하기

H.265도 H.264와 같은 프리셋을 사용해요. 하지만 H.265는 더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프리셋이라도 H.264보다 인코딩 시간이 더 오래 걸려요.

H.265에서는 medium이나 fast 프리셋을 많이 사용해요. slower나 veryslow는 인코딩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수 있어요. 특히 4K 이상의 고해상도 영상에서는 더욱 그래요.

🔹 실제 코드 예시 (FFmpeg 사용)

 
ffmpeg -i input.mp4 -c:v libx265 -crf 22 -preset medium -c:a aac -b:a 192k output.mp4
  •  

이 명령어는 H.265, CRF 22, medium 프리셋으로 인코딩하고, 오디오는 AAC 192kbps로 인코딩해요.

🔹 하드웨어 가속 활용하기

H.265 인코딩은 CPU를 많이 사용해요. 최신 GPU는 H.265 하드웨어 인코딩을 지원하므로, 이를 활용하면 인코딩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요.

NVIDIA GPU를 사용한다면 NVENC, AMD GPU를 사용한다면 AMF, Intel CPU/GPU를 사용한다면 QSV를 활용할 수 있어요.

 
ffmpeg -i input.mp4 -c:v hevc_nvenc -preset slow -b:v 8M -c:a aac -b:a 192k output.mp4
  •  

이 명령어는 NVIDIA GPU를 사용해 H.265로 인코딩해요. 하드웨어 인코딩은 소프트웨어 인코딩보다 화질이 약간 떨어질 수 있지만, 인코딩 속도가 훨씬 빨라요.

🔄 실전 인코딩 워크플로우

이제 실제 작업 환경에서 어떻게 인코딩을 최적화할지 알아볼게요!

🔹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별 인코딩 설정

🎬 Adobe Premiere Pro

  1. 내보내기 > 미디어로 이동
  2. 포맷: H.264 또는 H.265
  3. 프리셋: 맞춤 설정
  4. 비디오 탭에서 비트레이트 설정 (VBR, 2패스 권장)
  5. 고급 설정에서 프로필과 레벨 설정

🎬 DaVinci Resolve

  1. 딜리버리 탭으로 이동
  2. 포맷: MP4, 코덱: H.264 또는 H.265
  3. 품질: 제한된 비트레이트 또는 일정한 품질
  4. 고급 설정에서 프로필, 레벨, 엔트로피 코딩 모드 설정

🎬 Final Cut Pro

  1. 공유 > 마스터 파일로 이동
  2. 포맷: 컴퓨터, 코덱: H.264 또는 H.265
  3. 설정에서 비트레이트, 키프레임 간격 등 조정
  4. 인코딩 설정에서 멀티패스 인코딩 활성화

🔹 플랫폼별 최적 인코딩 설정

각 플랫폼마다 권장하는 인코딩 설정이 다르니 참고하세요!

📺 YouTube (2025년 기준)

  1. 코덱: H.264 (일반) 또는 H.265 (4K 이상)
  2. 비트레이트: 1080p 8-12Mbps, 4K 35-45Mbps
  3. 오디오: AAC, 192-384kbps
  4. 프레임레이트: 원본 유지 (24, 30, 60fps)

📱 Instagram (2025년 기준)

  1. 코덱: H.264
  2. 해상도: 1080p (최대)
  3. 비트레이트: 3-5Mbps
  4. 프레임레이트: 30fps (권장)
  5. 길이: 릴스 최대 90초, IGTV 최대 60분

🎵 TikTok (2025년 기준)

  1. 코덱: H.264
  2. 해상도: 1080p (9:16 비율 권장)
  3. 비트레이트: 3-5Mbps
  4. 프레임레이트: 30fps
  5. 길이: 최대 10분

🧪 인코딩 테스트 및 최적화 방법

인코딩 설정을 최적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테스트를 통해 자신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설정을 찾는 거예요!

🔹 A/B 테스트 방법

  • 원본 영상의 짧은 구간(30초~1분)을 선택해요.
  • 다양한 설정(코덱, 비트레이트, CRF, 프리셋 등)으로 인코딩해요.
  • 결과물의 화질, 파일 크기, 인코딩 시간을 비교해요.
  • 최적의 설정을 찾아 전체 영상에 적용해요.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15. 12:36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갈궈서 압축 인코딩을 하는데 정말 능력이 탁월하다

사용해본 장점들은 아주 많다

1.탁월한 압축력 : 용량이 절반 정도

2.인코딩 속도 : 시간이 육분의 일로 준다

3.화질 저하 아주 적음

4.무료 인코딩 프로그램이 다양하다

H.265 대 H.264 : H.265와 H.264 비교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H.265(HEVC)가 H.264(AVC)의 후속 제품이지만 시장에서 H.264만큼 인기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또한 H.265와 H.264 간의 논의가 중단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이 두 비디오 코덱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H.265의 장점은 무엇입니까? H.264가 H.265만큼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H.265와 H.264를 철저히 비교합니다.


H.265 및 H.264의 정의


H.264 또는 MPEG-4 Part 10, 고급 비디오 코딩(MPEG-4 AVC)은 블록 지향 모션 보상 기반 비디오 압축 표준입니다.Blu-ray 디스크, YouTube 및 iTunes Store의 비디오와 같은 인터넷 소스, 웹 소프트웨어는 물론 지상파, 케이블 및 위성을 통한 HDTV 방송에 널리 사용됩니다.

H.265 또는 MPEG-H Part 2, HEVC(고효율 비디오 코딩)는 널리 사용되는 H.264(AVC)의 후속 제품으로 설계된 비디오 압축 표준입니다.H.264와 동일한 비트 전송률로 고품질 비디오를 제공합니다.H.265는 8K UHD.

 

H.265와 H.264의 비교


파일 크기, 매크로 블록 및 압축 비율 등의 측면에서 H.265와 H.264의 차이점을 나열하여 명확한 비교를 제공합니다.

파일 크기 : 일부 이전 연구에서는 비트 감소가 비디오 이미지 품질에 반비례하고 파일 크기에도 긍정적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265는 동일한 정보를 더 낮은 비트 전송률로 인코딩하지만 H.264와 비교할 때 동일한 비디오 품질을 제공하므로 H.265는 동일한 파일 크기 또는 비트 전송률로 압축 할 때 훨씬 더 나은 시각적 품질을 제공합니다.

매크로 블록 : H.264는 고해상도 비디오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16 x 16 픽셀 매크로 블록을 지원합니다.H.265는 64 x 64 픽셀 매크로 블록을 지원하여 모든 해상도에서 더 높은 인코딩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압축비 : H.265의 압축비는 H.264의 거의 두 배로 설계 유량을 더욱 줄여 저장 및 전송 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인트라 프레임 예측 : H.265의 프레임 내 예측 기능은 더 포괄적입니다.즉, H.265는 33 개의 모션 방향을 허용하고 H.264는 9 개의 모션 방향 만 허용합니다.

대역폭 활용 : H.265는 H.264 코덱에 비해 훨씬 적은 대역폭을 필요로합니다.실제로 H.264는 4K 비디오를 브로드 캐스트하려면 32mbps 인터넷 속도가 필요하지만 HEVC는 단 15mbps에서 쉽게 동일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H.265를 다른 형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방법


위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H.265는 H.264보다 우수하지만 모든 인기있는 장치에서 완전히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습니다.휴대용 장치에서 H.265 비디오를 즐기고 싶다면 H.265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여 장치에서 재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디오 코덱을 변환하려면 H.265/HEVC를 인코딩하고 디코딩 할 수있는 강력하지만 간단한 비디오 변환기입니다.이러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H.265/HEVC 4K(UHD), 1080P(FHD), 720P(HD)및 480P(SD)를 일반적인 비디오 형식으로 변환 할 수 있습니다.반면에 일반 비디오 형식도 H.265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또한 원하는대로 변환 된 비디오를 편집 할 수 있습니다.그것은 매우 마법의 비디오 변환기이며 귀하의 요구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H.265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자습서를 보여 드리고자합니다.

#1 단계.파일 추가

Video Converter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완료되면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기본 인터페이스에서 파일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파일 추가"를 클릭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폴더를 검색하고 변환하려는 H.265 파일을 선택합니다.그러나 프로그램에 직접 파일을 끌어다 놓을 수 있습니다.

.

 

#Step 2.출력 형식 선택

필요에 따라 "프로필"의 팝업 목록에서 원하는 형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MP4, AVI, MOV 및 WMV 등과 같은 모든 일반적인 비디오 형식이 있으며 300 개 이상의 형식이 있습니다.

 

#Step 3.출력 폴더 선택

"찾아보기"버튼을 클릭하고 변환 된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세요.

 

#4 단계.H.265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

"변환"버튼을 클릭하여 변환 프로세스를 시작하십시오.변환이 완료되면 "폴더 열기"를 클릭하여 변환 된 파일을 찾으십시오.

 

H.265와 H.264의 비교에 따르면 H.265의 우월성은 분명합니다.그리고 H.265가 미래 코덱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비디오 컨버터의 도움으로 일반적인 비디오 형식을 H.265로 쉽게 변환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