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3. 18. 15:02

 

일본영화 <1986 그 여름, 그리고 고등어통조림>의 원제는 <사바칸Sabakan>이다. さば(사바)는 '고등어'이다.

 

かん(칸)은 かんづめ(칸즈메缶詰)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는데 '칸즈메'는 통조림을 뜻한다. '칸'은 캔(can)을 취음식으로 따와 'kan', 즉 일본에서는 '칸缶'으로 읽어내는 것 같으며 '缶(장군 부)'는 어떤 것을 감싸 보호하다는 의미도 통용되는 것 같고, 음식이나 액체가 들어 가는 용기를 지칭한다.

-づめ(-즈메詰)'는 정적인 상태가 지속되거나 무언가를 안에 채워 넣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정한 틀 안에 빡빡하게 눌러 끼워 넣는다는 뜻의 단어 つ-める(츠-메루)라는 단어의 변형이기도 하다. 따라서 '칸(かん)'과 '-즈메(-づめ)', 두 단어가 붙게 되어 용기를 틀어막아 채워넣었다는 뜻의 'かんづめ(칸즈메缶詰)'라는 단어가 만들어지는 것 이다.

'칸즈메'와 발음이 비슷한 <스즈메의 문단속>(2022)의 주인공 '스즈메'라는 이름은 무언가를 진정시키거나 누르는 것을 의미하는 '시즈메(しずめ)'에서 따온 것 이다. 이런 단어들을 보고 있자면 질서있고 야무지게 채워두길 좋아하는 일본인들의 '츠메루(つめる) 문화'가 그려진다

​​

영화의 제목에 대해서

원제 <사바칸Sabakan>에서 <1986 그 여름, 그리고 고등어 통조림>으로, 영화 고유의 오리지널리티를 가지지 못했거나 부족한 만듬새를 가진 영화일까 생각도 든다. <1986 그 여름, 그리고 고등어 통조림>이라는 제목이 감성을 호소하는 조급한 작명일 것이라는 걱정이다. 어쨌거나 이 모든 것들은 영화를 감상해야 판단할 수 있는 것 들이지만 말이다.

1986년에는 어떤 일이

영화의 감독은 카나자와 토모키(Tomoki Kanazawa, 金沢知樹). 1974년 1월 1일생이다. 영화의 배경인 1986년 당시 12살, 초등학교 5학년 이었다. <1986 그 여름, 그리고 고등어통조림>는 그의 자전적 이야기로 일본의 경제 대호황시대에도 가난한 집에서 살던 친구 '타케모토' 와의 만남을 그린다.

<1986 그 여름, 그리고 고등어통조림>은 노스탤지어 영화로서 추억으로 남은 과거의 순간들을 계속해서 상기시켜준다.

영화<1986 그 여름, 그리고 고등어통조림> 네이버 포토, 스틸 컷

모험의 목적지 였던 부메랑 섬, 돌고래는 보지도 못하고 그저 발만 찍고 되돌아오기만 했던 여정이었지만 아쉬울건 없었다. 처음 부터 그곳에는 돌고래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타케모토'는 단지 '히사다'와 같이 여행을 떠나고 싶었던 것이다.

​​

영화의 디테일을 보면서 분명히 이건 감독이 실제로 해본 짓거리다 라고 생각하니 그에게 동질감을 느껴졌다. 온갖 고초를 겪으며 힘들게 ‘부메랑 섬’에 도착했지만 돌고래는 보지도 못하고 별 수확 없이 집에 돌아오게 되는 ‘히사다’와 ‘타케모토’ 무모한 열정이 생각이 난다.

추억의 유통기한

“사랑의 유통 기한이 있다면 만년으로 하고 싶다”는 <중경삼림>의 '파인애플 통조림'은 <1986 그 여름, 그리고 고등어통조림>이라는 영화가 보여주는 것은 '히사다'와 '타케모토'의 우정과 추억은 고등어통조림안에서 신선하게 보관되고 있다는 환유이다.

영화는 그 여름의 추억을 아름답게 포장해 지금껏 간직해오고 있다.

메이와쿠 정신이 투철한 '히사다'는 시종일관 죄책감으로 움직인다. 가난하게 살아가는 '타케모토'의 모습을 보며 미안한 마음에 웃지 못하고, 결국 거리를 두며 밀어내지만 마지막 순간에 '히사다'를 움직인 것은 '타케모토'에게 받은 고등어통조림과 마음을 돌려 주지 못한 죄책감이었다. 내적 개혁으로 단단하게 형성된 것이 아닌 외부에서 '히사다'를 마음을 선하도록 동요시킨 것이 건강한 자극이었을까.

통조림의 유통기한이 다하지는 않았는지, 정갈하게 포장되어 있는 통조림의 딱딱한 철딱지를 벗기면 뭐가 있을지 말이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3. 18. 14:50

여자 프랑켄슈타인

장르 코미디, 로맨스, SF, 모험

감독 요르고스 란티모스

각본 토니 맥나마라

원작 앨러스데어 그레이 《가여운 것들》

제작 에드 기니 앤드류 로우 요르고스 란티모스 엠마 스톤

. 등장인물

벨라 백스터 - 엠마 스톤

던컨 웨더번 - 마크 러팔로

고드윈 백스터 박사 - 윌렘 대포

맥스 맥캔들리스 - 라마 유세프

해리 애슬리 - 제러드 카마이클

오브리 드 라 폴 블레싱턴 경 - 크리스토퍼 애벗

펠리시티 - 마가렛 퀄리

스위니 - 캐서린 헌터

투아넷 - 수지 벰바

신부 - 웨인 브렛

주연 엠마 스톤 마크 러팔로 윌렘 대포 라마 유세프 제러드 카마이클 크리스토퍼 애벗

《프랑켄슈타인》의 여성판이라는 평을 듣는다. 작중 벨라의 행적은 《프랑켄슈타인》의 작가인 메리 셸리의 가족관계, 그리고 생애와 연관이 있는데, 그녀의 아버지는 아나키즘의 사상가, 어머니는 페미니즘의 선구자였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여덟 번째 장편영화. 스코틀랜드 작가 앨러스데어 그레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감독의 전작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처럼 영국, 아일랜드, 미국 합작에 영국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제8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과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 섹션에 공식 초청됐으며, 이 중 전자 영화제에서는 최고 영예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였다.

천재적이지만 특이한 과학자 갓윈 백스터(윌렘 대포)에 의해 새롭게 되살아난 벨라 백스터(엠마 스톤).

갓윈의 보호를 받으며 성장하던 벨라는 날이 갈수록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갈망이 넘쳐난다.

아름다운 벨라에게 반한 짓궂고 불손한 바람둥이 변호사 덩컨 웨더번(마크 러팔로)이 더 넓은 세계를 탐험하자는 제안을 하자, 벨라는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갈망으로 대륙을 횡단하는 여행을 떠나고 처음 보는 광경과 새롭게 만난 사람들을 통해

놀라운 변화를 겪게 되는데….

세상에 대한 경이로움과 아름다움, 놀라운 반전과 유머로 가득한 벨라의 여정이 이제 시작된다.

영화의 줄거리가 성인 여성의 몸에 아기 뇌를 이식해서 몸은 성인인데 정신은 아기인 상태로 아기일때하는 자위 행동은 인간의 성장 수순이지만, 거기서 더 나아가서 아직 완전히 성인이 된것 같지 않아 보이는 벨라가 던컨과 성관계를 하는것..

드라마 우영우의 정신지체 장애인과의 성관계가 생각난다는 페미스트들

과연 벨라의 창녀 생활이 이 영화에 꼭 필요했을까 ?

벨라가 각성한건 백스터 박사의 죽음과 본인이 자살 시도를 하게 된 이유를 알게 된 것이라서, 결말과 각성을 위한 장치도 아니고. 단지 벨라 본인의 쾌락을 위해서인데 그걸 꼭 매춘으로 풀어야 했을까? 영화에서 성매매를 너무 경시하는 것 아닌가 생각할수록 찝찝해지더라고.

영화에 나오는 남자들이 벨라를 창녀라고 비난하지만 벨라는 그래서 어쩌라고? 라는 식으로 나오는데 여성이 자신의 쾌락을 위해서 매춘을 하는 것을 별거 아닌 걸로 그리는게.. 진짜 이걸 아무 문제의식 없이 받아들여도 되는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