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캐딜락이 없다
캐딜락 코리아 위장 스팸 메일
열면 악성 코드 개인 정보 해킹

Voice Phishing 외국에서는 두 단어를 합쳐서 Vishing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장난삼아 Boys Fishing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재미있는 것은 실제로 phishing이란 단어는 fishing의 f를 발음이 같은 phone의 ph로 바꿔서 만든 말이라는 것이다.
2006년 6월 이후 한국에서 급증한 범죄로 불특정 다수에게 전화를 걸어 당황하게 만든 다음에 계좌이체를 유도하는 사기범죄이다. 작게는 부가서비스 가입 또는 개인정보 유출 시도, 크게는 협박성 송금 유도 전화, 국가기관 및 금융기관을 사칭하며 돈을 뜯어내기 위한 범죄다. 의외로 많이 당하는데, 방식이 날로 진일보해 듣다 보면 정말로 그럴싸하고 분간이 잘 안되기 때문이다. (주로 어눌한 말투, 국어책을 읽는 듯한 톤으로 구별하는 방법이 있지만 통화상담원이 진짜로 초짜인 경우도 있으니) 이 방식으로 돈을 입금해 생활비나 등록금 등 중요한 돈을 사기당한 노인과 대학생이 자살하는 사건까지 있었을 정도로 사회적 여파는 심각하다. 돈과 개인정보가 오가는 경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애매하거나 찝찝하다면 나중에 다시 전화를 달라고 하고 일단 조사해 보자. 인터넷에 해당 전화번호를 검색하거나 후스콜 같은 것을 이용해서 해당 전화번호를 검색해 보자.
스미싱 :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SMS)를 대량으로 전송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여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신종 사기수법입니다.
인터넷 주소
스미싱은 악성코드에 감염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이버사기 수법으로 악성앱을 설치하기 위한 인터넷주소가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인터넷 주소(URL)는 단축 서비스를 사용하여 이용자가 웹사이트 정보를 알기 어렵고, 정상적인 사이트와 매우 유사하게 모방하여 제작된 가짜사이트인 피싱사이트로 연결됩니다. 최근에는 정상적인 사이트와 유사한 일반적인 인터넷주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악성앱
휴대전화에 일반적으로 많이 설치된 정상앱(예: 크롬, Play 스토어,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민원24, 유명 모바일 백신 등)을 사칭하여 악성앱 설치를 유도합니다. 전화, 문자메시지 관리, 개인정보 조회, 저장소 조회, 위치정보, 기기관리자 권한 요구 등 정상앱 보다 과도한 권한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앱 설치 단계에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악성앱이 악성행위를 직접 수행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악성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이 탑재된 경우도 있습니다. 크롬, 뱅킹, 백신 등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업데이트 파일입니다’라는 형태로 업데이트를 안내하여 이용자들이 악성앱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관심을 유도하는 문자메시지
사용자가 악성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관심을 유도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자메시지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스팸메일

오늘날 무차별적으로 대량으로 뿌리는 인터넷 메일을 스팸메일이라 부르는 것
스팸메일은 현대 사회의 지대한 해악이자 악의 축이며 수많은 사건들의 만악의 근원이다. 이 스팸메일로 인하여 엄청난 양의 패킷이 낭비되며 이 엄청난 양 때문에 이메일 대신 다른 매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국립국어원에서 운영하는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 에서는 스팸 메일을 '쓰레기 편지' 라고 순화하였으며, 일본에서는 민폐 메일(迷惑メール)이라고 부른다.
이 표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들이 있으나 육류가공품 스팸에서 유래하였다는 것이 대중적으로 월등히 유명하며, 구체적으로는 영국 부조리 코미디 프로그램 몬티 파이톤(Monty Python's Flying Circus)에 나오는 한 에피소드에서 2차 대전 중 스팸랜드가 된 영국 레스토랑을 희화화한 내용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스팸 스팸 베이컨 소시지 스팸' 식으로 배보다 배꼽, 아니 스팸이 더 크다. 한국에서는 스팸이 예전에 광고를 할 때 광고지를 신문에 많이 끼워 넣었었고 이 메일이 그것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나, 외국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몬티 파이톤과 관련된 이야기이며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의 문헌에서도 몬티 파이톤 설을 기원으로 표기하고 있다.[2] 다만 몬티 파이튼의 스팸도 먹는 스팸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육류가공품 스팸에서 유래한 것은 확실하다. 일반 우편, 전자 우편, 게시판, 문자 메시지, 전화, 인터넷 포털의 쪽지 기능 따위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보내는 광고성 편지(다이렉트 메일)나 메시지에 대한 별칭이었으나, 어느새 일반명사화된 단어이기도 하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서구 복수동 아파트 지하 주차장 30대 만취 운전자 차량 30대 파손 (0) | 2024.10.11 |
---|---|
문재인 딸 문다혜 음주 운전 사고 프로필 결혼 이혼 남편 학력 자녀 (0) | 2024.10.06 |
대리운전 기사 냄새 난다 이유 대리비 지불 거부 경상도 벤츠남 운전자 사연 동영상 (0) | 2024.10.04 |
공임나라 엔진 오일 교환 비용 국산차 수입차 플러싱 공임비 (0) | 2024.09.26 |
차량별 미션 오일 교체 주기 주행거리 비용 드레인 순환식 팬탈거 필터 교체 청소 재사용 방식 차이점 장단점 (0)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