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2. 1. 10:21

 

베우 장신영

 

출생 1984년 1월 17일[2] (41세) 전라북도 군산시

신체 170cm|54kg|AB형

가족 부모님, 언니(1983년생), 형부(1984년생), 조카

배우자 강경준(2018년 5월 25일 결혼 ~ 현재)

장남 강정안(2007년 4월 2일생)

차남 강정우(2019년 9월 29일생)

종교 개신교

학력 전주예술고등학교 (방송문화예술과 / 졸업)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 / 불명)

소속사 무소속

데뷔 2001년 제71회 전국춘향선발대회

 

2001년 제71회 전국 춘향 선발대회에서 현(진선미정숙현)을 수상하면서 연예계에 입문했는데, 춘향 선발대회 입상 이후 배우 이광기가 장신영을 캐스팅했다. 그렇게 첫 소속사가 이광기가 소속된 기획사였고, 장신영이란 이름도 이광기가 지어줬다고 2017년 12월 11일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에서 밝혔다. 참고로 춘향 선발대회 진은 연기자 이다해.

2006년 혼전임신으로 23살에 BOF 마케팅 이사였던 위승철과 결혼하여 2007년에 아들을 출산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전 남편이 장신영의 명의로 사기 행각을 벌인 바람에 결혼 3년 만인 2009년에 이혼하였다. 아들 양육권은 장신영이 맡기로 하고 이혼 이후 싱글맘으로서 연예계 활동을 하였다. 이 탓에 장남 강정안이 어린 시절에는 '위정안'이라는 이름이었다.

이혼 이후 홀로 아이를 양육하던 시절에도 싱글맘이라는 편견 없이 연예계 생활을 이어가다 2013년 드라마 가시꽃에서 상대역이었던 배우 강경준과 5년 열애 끝에 2018년 5월 26일 결혼했다.

2019년 7월 1일 결혼한 지 1년 만에 임신 7개월째라고 발표했다. 신기하게도 가족이 모두 돼지띠이다.

2019년 7월 15일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에 100회 홈커밍 특집으로 1년 만에 재출연했다.

2019년 9월 29일 17시간 산고 끝에 건강한 아들을 출산했다. 정우가 태어난 시간은 오전 9시 29분, 키 : 52cm, 몸무게 : 3.61kg으로 태어났다. 키도 신생아 키 검사에서 100명 중 3번째로 컸다고 한다. 혈액형은 강경준과 같은 A형이다.

2020년 6월 22일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에 3주년 홈커밍 특집으로 1년 만에 재출연했다. 둘째 정우도 처음 방송에서 공개됐다.

2020년 8월 12일 2년여 만에 동상이몽 2 - 너는 내 운명에 재합류 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정식 하차 이후에도 2019년 100회 특집, 2020년 3주년 특집에 일회성으로 특별출연을 했었는데 재합류 하면서 2018년 정식 하차 이후 2년 만에 고정으로 돌아왔다

 

'편스토랑' 장신영이 '불륜' 강경준 때문에 힘들었던 마음을 고백했다.31일 방송된 KBS 2TV '신상출시 편스토랑'에는 배우 장신영이 새로운 편셰프로 합류했다.

이날 장신영은 "긴장된다. 편셰프 입문하게 됐다. 예쁘게 봐주세요"라고 인사했다. 이상우와 반갑게 인사한 그는 "16년 전 드라마 '집으로 가는 길'에서 함께했다. 그때도 이 스튜디오에서 만났다"며 각별한 인연을 자랑했다.

'반찬의 여왕'으로 극찬을 받은 장신영은 "그만큼 실력자는 아니다. 특별한 게 없다고 생각한다. 소소하게 집 반찬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밥을 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이연복은 "그게 내공이다. 매일 주방에서 요리하는 어머니들은 다 셰프"라고 감탄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2. 1. 09:41

 

기본 지식

해상도가 클수록(픽셀이 많을수록) 게임의 요구사양이 높아진다

[FHD] 1920x1080 = 2,073, 600 (100%)

[QHD] 2560x1440 = 3,686,400 (177%)

[4K] 3840x2160 = 8,294,400 (400%)

딱 픽셀 늘어난 만큼 사양 요구치가 증가합니다

추가로 적자면 이러한 이유로.. 모니터에 맞는 컴퓨터를 사야하고, 컴퓨터에 맞는 모니터를 사야합니다

(어느 한쪽이 돈값 못하게 만드는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함)

FSR/DLSS 특징, 사용법

 

7.0 확장팩에서는 사양 요구치가 2배 가깝게 증가했지만, 대신 FSR과 DLSS 라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FSR은 플스/엑박 4K를 위해 나올거라 생각했지만, DLSS는 예상 못했습니다 ㅋ)

해당 게시물에서는 FSR과 DLSS가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하고,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FSR? DLSS?

게임 요구사양을 줄여서 게임 프레임을 높이는 기술

 

기술이 나온 배경

 

게임 사양은 나날이 높아지는데.. 컴퓨터 사양이 못 따라가잖아..

그러면 게임 화면을 먼저 작게 만들고 그걸 크게 쭈욱 늘리고 쟈글쟈글한 부분을 이쁘게 샤픈처리 하면 되는 거 아냐? 그러면 해상도가 작으니까 요구 사양은 낮아지는데, 화면은 큰 해상도로 즐길 수 있잖아?!

FSR

  • 특징 : AMD에서 공개한 오픈소스 기반의 알고리즘 업스케일링 방식
  • 호환성/장점 :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상관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음
  • 단점 : 일관적으로 정해진 패턴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업스케일링이 나올 수도 있음
  •  
 

DLSS

  • 특징 : NVIDIA에서 RTX 계열의 그래픽카드를 위해 공개한 AI 기반의 업스케일링 방식
  • 호환성 : NVIDIA RTX 계열의 그래픽카드에서만 동작함. AMD 및 INTEL의 그래픽에서는 동작하지 않음
  • 장점 : AI 딥러닝으로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여러 상황에서 FSR보다 더 나은 품질을 보여줌
  • 단점 : 호환성이 부족하고, FSR과 마찬가지로 일부 화면에서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있을 수 있음

사용법

 

 

Graphics Upscaling

FSR/DLSS 선택

  • RTX 그래픽카드는 DLSS 추천, 그 외는 FSR 선택
  • 네이티브 세팅은 FSR 선택
  • *네이티브: FSR/DLSS 모두 사용하지 않고 원본 해상도 그대로 사용함

3D resolution Scaling (FSR 전용)

출처 입력

원본 해상도를 얼마나 줄일 것인가

예를 들어, 1920x1080 해상도의 모니터를 사용 중인데 80을 설정하면 1536x1350 해상도의 화면을 먼저 만들고 그걸 쭈욱 늘려서 1920x1080으로 만듭니다

숫자가 작을 수록 게임 출력에 사용하는 원본 해상도가 작기 때문에 게임 요구 사양이 줄어들지만, 그만큼 화면 품질 저하가 발생합니다

반대로 클수록 원본에 가까운 품질을 보여주지만, 게임 요구 사양이 크게 줄어들지 않습니다

 

+100으로 설정할 경우에는 모니터 해상도를 그대로 출력합니다 (네이티브 세팅)

Enable dynamic resolution (동적 해상도, FSR 전용)

출처 입력

게임 플레이 도중에 프레임이 크게 떨어지는 구간에서 원본 해상도를 순간적으로 크게 줄여서 화면 품질을 낮추고고 프레임을 유지하는 옵션 입니다

 

Frame Rate Threshold (프레임 임계값, DLSS 전용)

DLSS를 항상 사용할지, 프레임이 특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용할 지를 결정합니다

Activate when frame rate drops below 60fps - 60프레임 이하로 떨어질 경우 DLSS 켜짐

Activate when frame rate drops below 30fps - 30프레임 이하로 떨어질 경우 DLSS 켜짐

Always On - 항상 켜짐

결론

  1. 해당 기술들은 화면 품질을 낮추고 프레임을 높이는 기술
  2. 그러므로 자기가 목표로 하는 프레임에 도달하는 수준으로만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음
  3. 만약 컴퓨터 사양이 충분하고, 해당 사양으로 자신이 목표로 하는 프레임에 도달할 수만 있다면 FSR과 DLSS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것이 품질상으로 가장 좋음
  4. 모니터 해상도가 클 수록 품질이 저하되는 폭이 크게 감소함
  5. (고해상도 모니터에 좀 더 특화된 기술. 하지만 원본 해상도를 줄여도 컴퓨터 사양에 비해 너무 크다면 게임 프레임이 안정적이지 않음. 항상 자기 컴퓨터에 맞는 모니터를 사야함)

DLSS는 그렇다치더라도 FSR이 1.0으로 들어온 건 상당히 아쉽습니다. FSR 1.0과 2.0의 품질/프레임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2.0 혹은 3.0 버전이길 바랬습니다

아마도 FSR 1.0이 들어온 이유는 플스 4 혹은 5 때문으로 보입니다 (또 플스야! 젠장!)

  • FSR 1.0과 2.0 차이는 화면 품질의 차이 (꽤 큼)
  • FSR 2.0과 3.0 차이는 화면 품질과 프레임 생성 기술 유무의 차이 (프레임 차이가 큼)

참고로 AMD 그래픽카드 중에서 6천번대 이상, 라이젠 CPU인 8600G 8700G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AMD 아드레날린 소프트웨어에서 별도로 세팅하는 경우에는 AFMF 라는 프레임 생성 기술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AFMF?

영상 프레임 보간처럼 게임 프레임도 보간해서 프레임을 뻥튀기 시키는 기술

게임에서 측정한 프레임이 100이라면, 실제로 모니터에 출력시키는 프레임은 200으로 높여줌

+엔비디아 또한 FSR과 비슷한 기능인 NIS를 DLSS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NIS(엔비디아 이미지 업스케일링) nvidia experience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IS?

FSR의 NVIDIA 버전. 원본 해상도를 줄이고 그걸 다시 크게 키움 (단, FSR에 비해 사용감이 좋지는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