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C1은 H.265/HEVC 코덱을 나타내는 용어로, AVC1은 H.264/AVC 코덱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AVC1은 이전 코덱으로 라이선스가 필요하고, 그 후속 코덱인 H.265는 HVC1이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팟플레이어와 같은 일부 소프트웨어에서는 아직도 AVC1이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h.265 에 대한 설명은 검색하면 많이 나오고 간단하게 x.264 코덱보다 훨씬 진화한 코덱이며 3D,48~60Fps,4K 까지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4k 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져서 내장된 10 비트 컬러와 높은 프레임 속도에 대한 지원이 포함 된다

H.265/HEVC 코덱 (오른쪽)에서 사용되는 움직임 추정 방법은 훨씬 더 효율적이며, H.264/AVC (좌)보다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한다

인코딩은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1. 인코딩 자체 지원

영상이 만들어져 인풋할 때 hvc1으로 들어오는데 특징은 프레임 탐색이 굉장히 느려 저사양 노트북, 넷북에서는 실행하지 마라
xxx.hevc 확장자가 raw스트림 추출하 듯 나오고 최신 버전은 무조건 mp4box 변환하게 되어 있다

2.HM 9.2 버전의 인코더와 디코더 이용 (TAppEncoder,TAppDecoder)
YUV 데이터를 원본으로 이용하는데 YUV 파일은 영상의 밝기와 색상 정보를 모아놓은 파일로 YUV 데이터는 MPEG으로 압축하기 위해 양자화를 하기 위한 전단계이다.
컴퓨터에서 영상을 하기위해선 RGB가 가장 편한데 이 상태에선 양자화를 하는거 보단 YUV데이터 상에서 양자화를 하는게 더 압축률이 좋다 일반적으로 MPEG 코덱에서는 YUV를 그대로 받기 때문에 별도의 변환 작업없이 사용할 수 있다.

3.Strongene_Lentoid_HEVC 를 이용한 flv 영상
이 방식은 특이하게 인풋이 I420 이라는 다소 생소한 포맷으로 들어오는데 'I420'이란 YUV format을 나타내는 네글자의 기호이다.
'I420'은 'IYUV'와 같은 format이며
YY
YY V U
위와 같이 Y는 매 Pixel에서, V와 U는 2 Pixel마다(가로, 세로 모두) 한번 표시하는 format이다.

영상과 음성 인코딩 용 필터 : Lentoid HEVC Encoder와 Vorbis Encoder
영상과 음성의 다중화 필터 : MONOGRAM FLV Mux
파일로 내보내는 필터 : File Writer
오디오 파일을 가져 오기 위해 사용한 필터 : File Source (Async)
Directshow filters 에서 위 정도만 알면 로드하는데 무리는 없다.

사용기 결론
장점
.압축률이 굉장히 좋아 원본 대비 절반인 50% 압축이 가능
단점
1.소프트웨어 인코딩 시간이 10배 까지 느려지지만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 하드웨어 가속 기술을 이용 하면 10분이내로 단축이 된다
2.아직 플레이어,오디오 호환이 제대로 안된다.
3.높은 점유율
1080P 영상이 인텔 i5 급에서 점유율 60%가 넘게 먹지만 AMD CPU의 경우 40이하로 빠르다
4.다양한 인코딩과 먹싱 프로그램
이젠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들이 널려 있다
'IT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유심 재설정 포맷 솔루션 기존 사용 유심 교체없이 보안 강화 12일 부터 도입 무료 서비스 (0) | 2025.05.11 |
---|---|
SKT 구형 스마트폰 마이크로 유심 나노 유심 변환 젠더 트레이 개인 부담 구입 교체 (0) | 2025.05.09 |
갤럭시 USIM 유심 잠금 설정 방법 다른 SIM 사용 제한 PIN 비밀 번호 설정 유심 교체 벽돌 (0) | 2025.05.08 |
WebM 확장자 파일 재생 변환 Play 방법 무료 컨버팅 변환 프로그램 (0) | 2025.05.04 |
SKT 유심 교체 재고 소진 2개월 대기 유심 eSIM 무료 교체 이용자 급증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