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2. 11. 12:12

 

지난 10일 뉴진스의 새로운 계정에 “우…. 여기에서 라이브 하는 걸 익숙해질 때까지 좀 오래 걸릴 수도”라는 글이 올라왔다.

 

뉴진스가 ‘NJZ’로 팀명을 바꾼 후 의미심장한 글을 남겨 화제다.

 

 

이는 새로운 곳에 적응을 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보이며, NJZ로 팀명이 바뀐 뉴진스가 새로운 둥지를 튼 것이 아닌지 추측하게 하는 의미 심장한 대목이다.

최근 멤버들이 새활동명과 함께 오는 3월 신곡을 발표할 것이라고 알린 상황이라 하이브의 자회사 어도어와 갈등 중인 뉴진스를 향한 네티즌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뉴진스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어도어는 뉴진스를 보호할 의지도, 능력도 없다”라며 어도어와의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어도어는 “우리는 계약 위반을 하지 않았고, 일방적으로 신뢰가 깨졌다는 주장이 계약 해지 사유가 되지 않는다”라고 반박했다.

 

지난 7일에는 어도어와의 계약 분쟁 중에 팀명 ‘NJZ’를 공개하고 독자 활동을 예고했다. 기존의 계정 ‘진즈포프리(jeanzforfree)에서 ‘njz_official’로 바꿨다. NJZ는 다음 달 21일부터 23일까지 홍콩에서 열리는 글로벌 스트리트 패션 및 문화 축제 ‘컴플렉스콘’의 콘서트 시리즈 ‘콤플렉스 라이브’ 출연 소식도 알렸다. 이 행사는 NJZ로써는 처음 하는 무대이다.

그룹의 멤버 민지는 “NJZ로 처음 무대에 올라 새로운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게 돼 매우 기대된다”라며 “이번 무대는 아주 중요한 순간으로, 전 세계 팬분들과 함께 그동안 보여드리고 싶었던 새로운 음악을 들려드릴 수 있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같은 날 NJZ는 신곡 발표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민지는 “컴플렉스콘 마지막 날인 3월 23일 NJZ 신곡이자 데뷔곡을 공개한다”라고 말했다. 같은 그룹의 혜인 또한 “곧 에이전트도 생길 예정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라고 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5. 6. 13:01

 

그룹 방탄소년단(BTS) 관련 음원 사재기 의혹 등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사가 시작된 가운데 BTS를 지지하는 각국의 K-POP 팬들이 "대한민국은 BTS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내용의 항의성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며 반발하고 있다.

 

5일 엑스(X·구 트위터)에서는 'SOUTH KOREA APOPOGIZE TO BTS(한국은 BTS에게 사과하라)'라는 해시태그가 K-POP 분야 급상승 키워드로 떠올랐다. 현재 엑스에서만 관련 글이 17만개 가까이 작성됐다.

현재 문체부는 'BTS 음원 사재기 의혹을 조사해 달라', 'BTS에 수여된 문체부 장관 표창을 취소해 달라'는 민원과 관련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현재 음원 사재기 의혹 관련 조사는 산하 기관인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에 이관할 계획이다. 콘진원은 BTS 소속사인 빅히트뮤직(하이브)에 답변서를 요구한 뒤 수사기관 등에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각국의 K-POP 팬들은 해시태그 '총공(좋아하는 그룹을 응원하려고 팬들이 '총력전'을 벌이는 것)'을 벌이며 BTS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 또 BTS가 한국에서 억울하게 비방을 당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대한민국, 당신들은 BTS를 가질 자격이 없다. 당신 나라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이유의 90%는 BTS 덕분인데, 너희는 정말 배은망덕한 XX들이다(You fXXking ungrateful piece of shXX)", "BTS는 올바른 사람들(right person)인데 한국이라는 잘못된 위치(wrong place)에 있다", "대한민국은 2030년 월드 엑스포에 참가할 자격이 없다. 그들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한국 정부는 BTS가 하는 일을 가만히 지켜보기만 했다"는 등의 글을 잇달아 엑스에 올리고 있다.

또 다른 팬은 한국어로 번역한 항의성 글을 게시하기도 했다. 그는 "방탄소년단 덕분에 나라(대한민국)가 알려지고 안정적인 경제와 관광 수익을 얻고 있으면서도 정부가 감히 방탄소년단을 모욕하는 것인가"라며 "당신(대한민국)은 방탄소년단이 필요하지만, 방탄소년단은 그들(대한민국)이 필요하지 않다. 그들(대한민국)에게는 업보가 있을 것이고 곧 방탄소년단에게 용서를 구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BTS 팬덤인 '아미'는 이번 논란과 관련해 일부 신문에 전면 광고 형식의 성명을 냈다. 아미는 '방탄소년단의 팬 아미' 명의로 낸 성명문에서 "현 사태와 무관한 방탄소년단이 거짓 뉴스와 루머로 지대한 피해를 입고 있음에도 소속사로서 방관하고 있는 하이브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일부 아미는 4일 '군 복무 중인 아티스트를 방패 삼는 악질 회사', '소속사 여론전에 총알받이 방탄, 이딴 게 소속사냐' 등의 문구가 적힌 시위 트럭과 '개국공신 루머 방치' 등의 문구가 적힌 근조화환을 서울 용산구 하이브 사옥 앞으로 보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빅히트뮤직은 지난 2일 공식입장을 통해 "BTS의 명예를 훼손하는 여러 의혹 등은 사실이 아니며,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 게시물들은 이미 수사기관에 1차 고소장을 제출했다. 이후에도 지속해서 모니터링 및 채증을 하고 추후 고소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BTS의 이번 사재기 의혹은 2017년 1월 발생한 공갈협박 사건 판결문이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공개되면서 시작됐다. 방탄소년단 앨범 편법 마케팅에 대한 공동공갈 혐의로 기소된 A씨는 당시 "불법 마케팅에 대한 자료를 갖고 있다. 돈을 주지 않으면 관련 자료를 언론사에 유포하겠다"는 협박 이메일을 빅히트뮤직에 보내 총 8차례에 걸쳐 5700만원을 뜯어낸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해당 판결문에는 '사재기', '불법 마케팅'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에 대해 빅히트뮤직은 "범인의 공갈과 협박에서 언급된 부적절한 마케팅 활동은 범인의 일방적 주장이며, 편법 마케팅은 통상적인 온라인 바이럴 마케팅을 뜻한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온라인상에서 불거진 BTS 음원 사재기 의혹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