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11. 20. 09:04

 

1. 18650 배터리

배터리의 외형을 가지고 붙여진 이름이다. 지름 18mm, 길이 65mm, 0은 원통모양이라는 내용이다. 리튬-이온 2차 전지로 핸드폰을 제외하고, 충전식 전기 용품에 많이 사용된다. 일반인 입장에서는 아마도 보조배터리가 가장 친숙할 것이다.

 

최근 보조배터리는 18650을 사용하지 않는 모델이 많아졌다. 요즘 보조배터리에는 리튬이온 이지만 원형이 아닌 각형이 많이 쓰이는것 같다.

 

2. 분류

음극의 소재에 따른 분류로 IMR, INR, ICR 등으로 불리우며, I = 리튬이온, R = 둥근 모양, M,N,C등이 음극 소재를 나타낸다. 요즘에 IMR은 생산을 잘 안하는것 같으니 제외하고 INR, ICR 둘을 비교한다면 ICR이 갑이다. INR은 방전 보호 기능이 없다면 화재의 위험이 존재한다. 방전 능력에 따른 분류로 고방전, 중방전, 일반방전으로 불리우며 LG 배터리셀 기준으로 15A 이상 연속 방전이 가능한 경우 고방전, 10A 이상으로 연속 방전 가능한 경우 중방전이라 한다. 고방전, 중방전의 분류는 제조사마다 다르며 대륙에서는 좀더 낮은 기준을 사용하는 것 같다.

 

3. 용도

고방전 배터리는 주로 모터 구동과 관련된 것에 사용된다. RC나 전동 공구, 전자 담배 등에 사용된다. 일반방전 배터리는 소형 선풍기, 손전등, 보조배터리 등에 사용된다. ESP32 정도면 일반 방전 배터리로도 충분하다. 무선 청소기 등에도 소형에는 일반 방전 배터리가 사용 되기도 한다. 중방전 배터리는 이들의 중간 정도 되는 형태인데 전동 킥보드, 전동 자전거, 전동 스케이드보드에 사용된다. 다만 실제 사용은 외형으로 판단할 수 없다. 외형이 아무리 비슷하다 할지라도 어떤 것은 중방전 배터리가 사용되기도 하고, 어떤 것은 고방전 배터리가 사용되기도 한다.

4. LG 18650 배터리의 특성은?

국내에서는 LG, Samsung 에서 배터리셀을 제작하는데, 그중 LG 제품들에 대하여 특성을 정리해 보았다. 손으로 정리한 형태라 일부 실수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색상은 RGB 값이 스펙에 정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 편차가 심하다.

 

LG

 

위의 표를 살펴보면 모델명으로 얼추 짐작이 가능하다. 앞부분의 ICR, INR로 음극소재를 가늠할 수 있으며, 끝 2자리(또는 3자리)의 시작이 H 이면 고방전, M이면 중방전 그외에는 일반 방전이다. 3자리의 경우 2번째 자리수는 용량을 나타낸다. 알파벳이 뒷부분이면 그만큼 용량이 늘어나는 형태이다. 마지막 숫자는 전기적 특성과 관련되는데, 이부분 만큼은 필요할때 스펙을 찾아 보는 것을 추천한다.

18650을 SDI 쪽 제품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서 SDI쪽 배터리들도 정리해 보았다.

 

SDI

 

5. 셀제 사용 용도

만약 기존 전자 제품 배터리를 교체 하는 것이라면 용량을 제외한 모든 내용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즉 공칭전압, 충전전압, 최대 충전 전압, 최대 방전 전류, Cut-Off 전압등이 동일한 것으로 찾아 보는 것이 가장 좋다.

새롭게 구성한다면 용도에 맞게 구성하면 되겠다. 현시점에서 고방전의 가격대비 성능으로 따지면 INR18650 HG2 이긴 하겟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니 염두해 두자. 일반 방전의 전기적 특성이 거의 비슷한 터라 싸게 구할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굳이 두배의 가격을 지불하면서 용량이 25% 정도 높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 생각한다. 또한 무조건 고방전 배터리가 좋은 것은 아니다. 고방전 > 중방전 > 일반방전 순서로 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된다.

대략 방전 능력에 따라 사용되는 것은 아래와 같다.

고방전 : 무선 전동 공구 (특히 무선 전동 드릴), RC Car, 전자담배, 무선 진공 청소기

중방전 : 소형 무선 전동 공구, 소형 무선 청소기

일반방전 : 충전 선풍기, 랜턴, 보조배터리, 구형 노트북 배터리

위의 사용 구분은 명확한 것은 아니다. 이유는 중방전 2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고방전의 효율이 나오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12V의 전기에 최대 20A 부하를 생각하며 구성한다고 가정할때, 18650배터리를 3개만 사용한다면 고방전을 추천하지만, 6개로 구성해도 된다면 당연히 중방전 배터리 2개씩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을 고려해도 된다는 이야기이다. 또한 고방전이 필요하더라도 거의 비슷한 성능의 중방전 배터리가 사용되기도 한다. 18650 배터리가 들어가는 전자담배 기계를 몇개 뜯어보니 10A 이하의 방전 능력을 가진 배터리가 사용되기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11. 16. 09:03

 

배터리 용량이 100Wh 이하인 경우 1인당 5개까지 객실 반입이 허용되고 있습니다. 160Wh 초과는 운반 자체가 허용되지 않아 객실과 위탁 모두 반입이 불가능합니다. 단, 보조배터리의 경우 용량과 무관하게 위탁수하물로 보내는 것이 금지되고 있으니 유의하세요!

 

보조배터리 위탁/기내 반입 가능 여부 간단 정리

해외여행 필수품 보조배터리!

캐리어에 넣어야 할 지 휴대해야 할 지 항상 헷갈리는 품목이기도 한데요.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고, 용량 계산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리튬배터리 관련 항공운송 기준

160Wh 초과하는 제품은 불가

160Wh 이하 제품은 운송기준에 따름

 

국토교통부에서 리튬 배터리를 장착한 기기, 보조 배터리에 대한 휴대, 위탁수하물 항공운송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비행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진압이 어렵기 때문에 불이 날 가능성이 있는 수하물은 특별 관리하겠다는 내용입니다.

특히, 비행 중 접근이 어려운 위탁수하물(간단히 말해 체크인 전 항공사 카운터에 맡기는 캐리어)은 더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항공운송 기준을 살펴보면

160Wh를 초과하는 보조배터리 및 배터리가 장착된기기와 스마트가방은 휴대·위탁수하물 모두 운송이 허용되지 않으며, 160Wh 이하의 리튬배터리는 운송방법에 따라 휴대 또는 위탁수하물 운송기준이 상이하며 관련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절대 헷갈리면 안되는 포인트!

배터리가 장착된 기기는 위탁수하물로 허용되기도 하지만, 보조배터리는 무조건! 휴대수하물로 갖고 타야 합니다. 보조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는 절대 처리 불가합니다.

리튬배터리 용량 계산법

보조배터리 전압 확인 후 계산

전류(Ah) x 전압(V) = 전력(Wh)

 

기준을 보면 Wh라고 되어 있지만, 우리가 자주 보는 배터리 용량은 mAh입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용량은 mAh로 표기하는데, 규정에 따른 Wh로 어떻게 변환해야 할까요?

보조배터리의 전압(V)를 알면 mAh를 Wh로 쉽게 바꿔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보조 배터리 전압은 제품이나 포장 박스 뒷면이나 밑면에 깨알같이 적혀 있는 작은 글씨들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mAh옆에 V라는 단위와 함께 적혀 있습니다.

 

일반적인 보조배터리는 보통 전압 3.7V 내외입니다.

* 전류, 전압 정보가 없다면 KC인증번호로 검색

전압(V)이 적혀있지 않은 보조배터리는 KC인증정보 검색을 활용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국내 정식 유통되는 모든 보조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류는 KC인증을 획득해야 하기 때문에 KC인증 번호로 검색하면 제품사진에서 전압(V) 또는 전력(Wh)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C인증정보에서도 확인할 수 없다면, 제조사 문의 또는 항공사 문의 후 휴대 수하물로 가져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 배터리 용량 계산식

보조배터리의 전압(V)를 확인했다면, 이제 환산을 해 볼 차례입니다.

배터리 용량 계산식은 전류(Ah)와 전압(V)를 곱하면 됩니다.

※ 통상 보조배터리 용량은 mAh로 표기하므로, Ah로 계산할 때 1000을 곱해 줘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위 계산식에 따라 계산한 용량이 100Wh를 넘기면 휴대수하물로 가져가야 합니다. 또한 100Wh초과 ~ 160Wh 이하의 보조배터리는 1인당 2개 이하의 개수 제한이 있습니다. 보조배터리의 용량이 160Wh를 넘긴다면, 휴대/위탁이 모두 금지됩니다.

 

위 제품의 전력량을 계산해 보면,

전압은 3.7V, 전류는 19,200mAh 전력은 71.04Wh입니다.

비행기 휴대/위탁 수하물 모두 허용되는 용량입니다.

다만, 위 규정은 국토교통부의 가이드라인이며 수하물 규정은 항공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용하는 항공사에 직접 문의하여 확실한 답변을 받아 놓아야 위탁수하물에서 부랴 부랴 보조배터리 또는 배터리 활용 제품을 빼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습니다.

 

항공사별 반입 규정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11. 12. 15:23

 

18650 중고 배터리 재활용 니켈 플레이트 스팟 용접 팁 칩 제거 방법

 

노트북 18650 배터리 분해하기

분해하니 배터리 3알이 나옴

 

스팟 용접 똥들 제거는 다이소 2천원 줄이면 충분함

 

몇번 문지르면 말끔히 제거됨

 

충전기 키트에 넣어 보조배터리로 활용

 

꽤 오래전부터 보조배터리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오래 쓰다보면 고장이 나서 못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배터리 자체가 망가지는게 아니라 USB단자나 충전단자 또는 내부회로 고장으로 못쓰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럴때는 어치피 고장난 물건이니까 과감하게 뜯어보시면 내부에 대부분 18650 배터리가 들어 있습니다.

니퍼로 배터리 위아래에 용접되어 있는 접점을 떼어내면 사진과 같은 배터리가 나옵니다.

보통 5천미리짜리는 2개, 1만짜리는 4개가 들어있을겁니다.

 

그런 다음 인터넷에서 싸게 팔고 있는 18650 배터리 전용 충전케이스를 사서 넣으면 예전과 같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니면 18650 배터리 전용 LED플래쉬를 사셔서 넣어 쓰셔도 되고요..

밤에 자전거 타시는 분들은 다 아실겁니다. ㅎ

 

뭐 대단한 팁은 아니지만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실분이 있을것 같아서 간단하게 적어봅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9. 19. 14:38

 

통합 오디오 재생에 사운드 문제가 있지만 다른 시스템에서는 스피커가 잘 작동하는 경우 아래 설정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세요.

 

그래도 안되면 고장이니 4천원짜리 외장형 구입

https://link.coupang.com/a/bSEWLf

 

필라 컴소닉 USB 외장 사운드 카드 - 사운드카드 | 쿠팡

현재 별점 4.4점, 리뷰 247개를 가진 필라 컴소닉 USB 외장 사운드 카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사운드카드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오디오 재생 출력 장치 확인하기

1. 오디오 아이콘이 음소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음소거된 경우, 오디오 아이콘을 좌클릭하고 아래 그림과 같이 '켬'으로 설정합니다.

2. 출력 장치가 오디오 장치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스피커를 삽입하는 경우 Speakers(Realtek(R) Audio)를 선택하세요.)

스피커 또는 헤드폰 이어폰 감지 여부 확인

1. 아래 그림과 같이 스피커가 올바른 포트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Realtek 오디오 콘솔] AP를 열고 [장치 고급 설정]을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전면 스피커 출력]이 감지되었는지 확인합니다.

3. 헤드폰이 전면 패널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아래 그림을 참조하세요.

4. [Realtek 오디오 콘솔] AP를 열고 [장치 고급 설정]을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헤드폰]이 감지되는지 확인합니다.

운영 체제 오디오 드라이버 확인

1. Windows 시작 메뉴를 우클릭하고 아래 그림과 같이 [장치 관리자]를 선택합니다.

2. [Realtek USB 오디오] 드라이버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3. [Realtek USB 오디오]를 클릭하고 [드라이버]를 클릭한 후 아래 그림과 같이 드라이버 버전이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4.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설치된 드라이버가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참조하여 최신 버전을 설치하세요.

BIOS 설정 오디오 컨트롤러 확인

1. 시스템 전원을 켜고 <Delete> 키를 눌러 아래 그림과 같이 BIOS [EZ Mode]로 들어갑니다.

2. <F7> 키를 누르고 아래 그림과 같이 [Advanced Mode]로 들어갑니다.

(BIOS [Advanced Mode]로 바로 진입한 경우 <F7> 키를 다시 누를 필요가 없습니다.)

3. [Advanced] 페이지를 클릭하고 아래 그림과 같이 [Onboard Device Configuration] 옵션을 선택합니다.

4. [USB Audio Controller]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USB Audio Controller] 옵션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수동으로 활성화로 설정한 다음 <F10> 키를 눌러 저장합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9. 15. 12:14

 

컴퓨터 PC 데스크탑 노트북 갑자기 부트가 안되고 EFI SHELL이라는 화면만 나온 경우 문제 점검

■ 증상 ■

윈도10 부트가 안되고 아래와 같이 EFI SHELL 화면이 나온다.

 

■ 원인 ■

BIOS Boot 메뉴에서 Boot Option #1의의 값이 Windows Boot Manager 가 아닌 UEFI : Built-in EFI Shell로 변경된 경우 발생한다.

 

■ 조치방법 ■

1. EFI SHELL 화면에서 EXIT 입력 후, <Enter> 버튼을 누르자마자 F2 또는 DELETE 키를 눌러서 BIOS 화면으로 진입.

 

2. BIOS 진입 후, Boot 메뉴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Boot Option #1의의 값을 Windows Boot Manager로로 변경.

 

Save & Exit 메뉴로 이동, Save Change and Exit 항목으로 커서 이동 후 <Enter>

설정 값을 저장하고 빠져나간 후, 정상적으로 부트가 가능한지 확인.

 

다른 문제가 없다면 대부분 이런 방법으로 해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