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6. 24. 19:38

 

2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기 화성의 일차전지 공장 화재는 '역대 최악'의 화학공장 사고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불에 취약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화학공장은 일단 화재·폭발이 발생하면 공장이 '화약고'가 되면서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

 

더구나 전국 곳곳의 공단에 화학공장이 자리 잡고 있는 데다가 영세업체가 많아 정부와 관련 기관의 안전점검에도 매년, 심지어는 1년에 수차례씩 사고가 일어나는 실정이다.

24일 경기 화성의 일차전지 제조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이날 오후 3시 공장 3동에 대한 내부 수색을 시작한 후 불에 타서 죽은 상태의 시신 20구 이상이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최악의 화학공장 사고는 1989년 전남 여수 국가산업단지 내 럭키화학 폭발 사고로, 16명의 사망자와 17명의 부상자를 초래했다.

이번 화재의 사망자가 20명을 넘게 되면 럭키화학 폭발 사고보다 더 참혹한 화학공장 폭발 사고로 남게 된다.

지난 2011년 8월 17일 울산시 석유화학공단 내 현대EP 울산공장에서는 유증기가 폭발해 근로자 3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같은 해 8월 27일에는 경북 구미시 공단동의 TK케미칼 공장에서 화학물질인 헵탄이 폭발하면서 7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2012년 8월 23일 청북 청주시의 LG화학 청주공장 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 공장에서는 폐용매 드럼통이 폭발하는 사고로 8명이 목숨을 잃었고, 10명가량이 다쳤다.

불과 한 달여 뒤인 9월 27일에는 경북 구미시 국가산업단지 내 화학물질 제조업체인 휴브글로벌에서 20t짜리 탱크로리에서 불화수소산(불산)이 누출됐다. 이 사고로 5명이 숨지고 16명이 부상했다

2013년에는 여수산단 대림산업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공장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나 6명이 사망하고 1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는 사일로(silo·저장탑)에서 보수작업을 하던 중 발생했고, 사고 현장에 있던 근로자는 모두 숨졌다.

최근에 발생한 대형 사고를 보면 2021년 12월 13일 여수산단 내 석유화학제품 제조공장인 이일산업에서 불이 나 작업자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액체 화학물질을 저장한 고정식 탱크에서 폭발과 함께 화재가 시작됐다.

이듬해 여수산단 내 여천NCC 공장에서는 열교환기 시험가동 중 폭발이 일어나면서 4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다. 여천NCC는 한화와 대림이 절반씩 지분 투자해 설립한 회사다.

이 사고는 2022년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된 후 발생해 노동당국이 대표이사 등 2명을 법 위반으로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에 송치했으나,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했다.

같은 해 9월 30일 경기 화성 화일약품 공장에서는 폭발 사고가 발생해 1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쳤다.

화학공장 사고는 화재나 폭발로 인해 발생한 독성물질이 주변으로 확산하는 2차 피해로 이어지며 피해 규모를 키우므로 각별한 사후 대응이 요구된다.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 사고의 경우 탱크로리 안에 든 유독성 화학물질인 불산 가스가 주변으로 퍼지면서 인근 주민 1천500여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고, 농작물 피해도 135㏊에 달했다.

2008년 3월 1일 경북 코오롱유화 김천공장의 탱크 폭발 사고는 근로자 2명의 목숨을 앗아갔을 뿐만 아니라, 유해 화학물질인 페놀이 대구·경북지역 상수도 취수원인 낙동강을 덮치는 2차 피해를 낳았다.

이로 인해 사고 이튿날 오전 낙동강 구미광역취수장에서 기준치(0.005ppm)를 초과하는 페놀이 검출돼 구미·칠곡 지역 상수도 공급이 전면 중단됐고, 취수가 재개된 후에도 주민들은 한동안 불안에 떨어야 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3. 29. 13:09

미국 로토는 현지에서만 구입 가능

현지 판매점에서 외국인도 구입 가능

복권 구입 대행은 전부 100% 사기

 

3개월 넘게 기다린 미국 메가밀리언스의 1등 당첨자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무려 당첨금이 1조 5,000억 원에 이르는 초대형 ‘잭팟’으로 행운의 주인공이 누구인지에 대해 관심이 주목된다.

현지 시각으로 26일 미국 현지 통신인 AP 통신은 26일 진행된 메가밀리언스 추첨에서 11억 3,000만 달러, 한화로 약 1조 5,320억 원에 달하는 행운의 주인공이 나왔다고 전했다. 미국 메가밀리언스의 역사상 5번째로 많은 당첨금이며, 미국 복권의 역사를 통틀어서는 역대 8번째로 큰 당첨금인 것으로 알려졌다.

행운의 당첨 번호 1등 당첨자는 뉴저지에서 복권을 구매한 단 한 명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메가밀리언스의 이번 행운의 주인공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1조 5,000억 원 상당의 당첨금을 수령하게 된 이 당첨자는 전액을 29년으로 분할해 연금의 형식으로 받거나 절반 수준인 약 7,250억 원을 한 번에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메가밀리언스가 이런 ‘초대형 잭팟’을 터트릴 수 있게 된 것은 지난해 12월 8일 이후로 진행된 30여 차례의 추첨에서 1등 당첨자가 계속해서 나오지 않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메가밀리언스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우리나라의 ‘로또’와 달리 1~70 사이 숫자 5개와 1~25 가운데 숫자 1개를 동시에 맞춰야 당첨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확률로 계산해 보면 1등 당첨 확률은 3억 260만 분의 1이다. 이번 당첨자는 무려 3억분의 1의 확률을 뚫은 것이다.

미국의 다른 복권으로 알려진 파워볼 역시 확률이 2억 9220만분의 1 정도로 어마어마한 확률을 자랑하는데 메가밀리언스는 이 확률보다 훨씬 어려운 확률을 가지고 있다.

메가밀리언스와 파워볼은 미국 복권계의 쌍벽으로 알려졌는데 미국의 50개 주 중 앨라배마주, 알래스카주, 하와이주, 네바다주, 유타주를 제외한 45개 주와 수도인 워싱턴 D.C.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에서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과 다르게 원칙적으로 당첨자의 이름과 신원을 공개하는데 일부 주의 경우는 익명 수령도 가능하다.

익명 수령이 가능한 주로는 2023년 8월 기준 애리조나, 일리노이, 델라웨어, 미시시피, 미네소타, 캔자스, 뉴저지, 몬태나주, 노스다코타, 사우스캐롤라이나, 버지니아주, 텍사스, 와이오밍, 웨스트 버지니아, 뉴멕시코 등이다.

이런 탓에 당첨자 신원에 대한 비공개를 원하는 이들도 있는데 정부의 재정압박을 타개하고 판매를 늘리기 위해 당첨자의 익명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당첨자가 신원 노출이 될 경우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된다.

반면에 당첨자의 공개를 주장하는 측은 당첨자의 신원 공개가 없다면 복권 사업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흥행에도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재까지 메가밀리언스의 최고 당첨액은 약 15억 달러로 한화로 약 1조 7,000억이다.

이 당첨금은 지난 2018년 10월 24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거주한 사람이 받아 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경우 익명 수령이 가능한 지역이라 당첨자의 신원은 밝혀지지 않았고 여성이라는 사실만 전해졌다.

한편, 초대형 잭팟 소식에 한국인의 관심도 미국 복권에 쏠렸다. 실제로 메가밀리언스는 한국인의 구매도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 가지 조건이 존재한다. 외국인이 미국의 복권을 사려면 미국에 직접 방문해 현지에서 구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메가밀리언스는 홈페이지에 ‘미국에 방문한 외국인은 거주자가 아니더라도 복권을 구매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는 외국인의 구매에 제한을 두지는 않지만, 미국 내에서 구매한 경우만 당첨금 수령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가끔 거리에 ‘미국 복권 대행’이라는 이름으로 놓인 키오스크를 볼 수 있는데 이는 모두 불법으로 알려져 주의가 필요하다.

키오스크를 통한 미국 복권 구매 대행이 불법이라는 법원의 판결문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미국 복권 대행 사기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한국인이 미국의 복권에 당첨된 사실은 없으며 한국인이 미국 복권에 당첨된 경우에는 미국과 한국에 이중으로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