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2. 1. 09:41

 

기본 지식

해상도가 클수록(픽셀이 많을수록) 게임의 요구사양이 높아진다

[FHD] 1920x1080 = 2,073, 600 (100%)

[QHD] 2560x1440 = 3,686,400 (177%)

[4K] 3840x2160 = 8,294,400 (400%)

딱 픽셀 늘어난 만큼 사양 요구치가 증가합니다

추가로 적자면 이러한 이유로.. 모니터에 맞는 컴퓨터를 사야하고, 컴퓨터에 맞는 모니터를 사야합니다

(어느 한쪽이 돈값 못하게 만드는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함)

FSR/DLSS 특징, 사용법

 

7.0 확장팩에서는 사양 요구치가 2배 가깝게 증가했지만, 대신 FSR과 DLSS 라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FSR은 플스/엑박 4K를 위해 나올거라 생각했지만, DLSS는 예상 못했습니다 ㅋ)

해당 게시물에서는 FSR과 DLSS가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하고,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FSR? DLSS?

게임 요구사양을 줄여서 게임 프레임을 높이는 기술

 

기술이 나온 배경

 

게임 사양은 나날이 높아지는데.. 컴퓨터 사양이 못 따라가잖아..

그러면 게임 화면을 먼저 작게 만들고 그걸 크게 쭈욱 늘리고 쟈글쟈글한 부분을 이쁘게 샤픈처리 하면 되는 거 아냐? 그러면 해상도가 작으니까 요구 사양은 낮아지는데, 화면은 큰 해상도로 즐길 수 있잖아?!

FSR

  • 특징 : AMD에서 공개한 오픈소스 기반의 알고리즘 업스케일링 방식
  • 호환성/장점 :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상관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음
  • 단점 : 일관적으로 정해진 패턴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업스케일링이 나올 수도 있음
  •  
 

DLSS

  • 특징 : NVIDIA에서 RTX 계열의 그래픽카드를 위해 공개한 AI 기반의 업스케일링 방식
  • 호환성 : NVIDIA RTX 계열의 그래픽카드에서만 동작함. AMD 및 INTEL의 그래픽에서는 동작하지 않음
  • 장점 : AI 딥러닝으로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여러 상황에서 FSR보다 더 나은 품질을 보여줌
  • 단점 : 호환성이 부족하고, FSR과 마찬가지로 일부 화면에서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있을 수 있음

사용법

 

 

Graphics Upscaling

FSR/DLSS 선택

  • RTX 그래픽카드는 DLSS 추천, 그 외는 FSR 선택
  • 네이티브 세팅은 FSR 선택
  • *네이티브: FSR/DLSS 모두 사용하지 않고 원본 해상도 그대로 사용함

3D resolution Scaling (FSR 전용)

출처 입력

원본 해상도를 얼마나 줄일 것인가

예를 들어, 1920x1080 해상도의 모니터를 사용 중인데 80을 설정하면 1536x1350 해상도의 화면을 먼저 만들고 그걸 쭈욱 늘려서 1920x1080으로 만듭니다

숫자가 작을 수록 게임 출력에 사용하는 원본 해상도가 작기 때문에 게임 요구 사양이 줄어들지만, 그만큼 화면 품질 저하가 발생합니다

반대로 클수록 원본에 가까운 품질을 보여주지만, 게임 요구 사양이 크게 줄어들지 않습니다

 

+100으로 설정할 경우에는 모니터 해상도를 그대로 출력합니다 (네이티브 세팅)

Enable dynamic resolution (동적 해상도, FSR 전용)

출처 입력

게임 플레이 도중에 프레임이 크게 떨어지는 구간에서 원본 해상도를 순간적으로 크게 줄여서 화면 품질을 낮추고고 프레임을 유지하는 옵션 입니다

 

Frame Rate Threshold (프레임 임계값, DLSS 전용)

DLSS를 항상 사용할지, 프레임이 특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용할 지를 결정합니다

Activate when frame rate drops below 60fps - 60프레임 이하로 떨어질 경우 DLSS 켜짐

Activate when frame rate drops below 30fps - 30프레임 이하로 떨어질 경우 DLSS 켜짐

Always On - 항상 켜짐

결론

  1. 해당 기술들은 화면 품질을 낮추고 프레임을 높이는 기술
  2. 그러므로 자기가 목표로 하는 프레임에 도달하는 수준으로만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음
  3. 만약 컴퓨터 사양이 충분하고, 해당 사양으로 자신이 목표로 하는 프레임에 도달할 수만 있다면 FSR과 DLSS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것이 품질상으로 가장 좋음
  4. 모니터 해상도가 클 수록 품질이 저하되는 폭이 크게 감소함
  5. (고해상도 모니터에 좀 더 특화된 기술. 하지만 원본 해상도를 줄여도 컴퓨터 사양에 비해 너무 크다면 게임 프레임이 안정적이지 않음. 항상 자기 컴퓨터에 맞는 모니터를 사야함)

DLSS는 그렇다치더라도 FSR이 1.0으로 들어온 건 상당히 아쉽습니다. FSR 1.0과 2.0의 품질/프레임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2.0 혹은 3.0 버전이길 바랬습니다

아마도 FSR 1.0이 들어온 이유는 플스 4 혹은 5 때문으로 보입니다 (또 플스야! 젠장!)

  • FSR 1.0과 2.0 차이는 화면 품질의 차이 (꽤 큼)
  • FSR 2.0과 3.0 차이는 화면 품질과 프레임 생성 기술 유무의 차이 (프레임 차이가 큼)

참고로 AMD 그래픽카드 중에서 6천번대 이상, 라이젠 CPU인 8600G 8700G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AMD 아드레날린 소프트웨어에서 별도로 세팅하는 경우에는 AFMF 라는 프레임 생성 기술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AFMF?

영상 프레임 보간처럼 게임 프레임도 보간해서 프레임을 뻥튀기 시키는 기술

게임에서 측정한 프레임이 100이라면, 실제로 모니터에 출력시키는 프레임은 200으로 높여줌

+엔비디아 또한 FSR과 비슷한 기능인 NIS를 DLSS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NIS(엔비디아 이미지 업스케일링) nvidia experience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IS?

FSR의 NVIDIA 버전. 원본 해상도를 줄이고 그걸 다시 크게 키움 (단, FSR에 비해 사용감이 좋지는 않음)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12. 2. 18:21

 

1. 신선식품 사면안됨

예) 농수산물, 정육, 야채 같은 신선도가 가장중요한 물품들은 복불복이 존나심함

뭐 환불하면된다 뭐 반품하면된다 개소리인게 거기에 쓰는 에너지 자체가 그냥 개임

 

식품은 앵간하면 안사는게맞음

2. 공산품도 비싼거 안돼지

공산품이라하면 너무추상적인데 비싼거

3. 배터리종류 중국직구 사면안됨

예)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같은 배터리들어간 제품 샤오미 화웨이 같은 브랜드있는 업체면몰라도 어디 짱깨꺼 존나 싼거사면 진짜 불나서 좆될수도있음

레알 빠떼리관련은 짱깨꺼 그냥 앞으로 3년은 거르는게맞음

4.저장 장치

SSD HDD 같은 것들 대부분 용량 속인 가짜들

요약하자면

비싼거 저장 장치

 

1. 입에 넣는 거

2. 입에 닿는 거

3. 몸에 바르는 거

4. 피부에 닿는 거

5. 건강과 직결되고 관련된 것

사려거든 커뮤니티에서 검증된 것, 리뷰가 많은 것만 사야 한다. 지금 갤에서 짱깨조선족들이 이 악물고 쉴드치는데 무시까고 검증된 것만 사셈 ㅋㅋㅋㅋㅋ

+ 전자기기도 막 사지마라 1년도 못감

스마트 가전, 기기들

수상하게 많은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스마트 기기들

웹에 연결이 안되면 작동하지 않는다.

성분을 알 수 없는 건강보조식품, 영양제

어 왜 저번에 샀던 같은 종류의 제품인데 맛이 다르지?

 

급하게 써야 할 것들

배송 기간도 문제지만 5%~10% 할인 행사한다고 샀다가는

산 물건이 도착하지도 않았는데 며칠 후 반값으로 세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가격을 비교할 수 없는 제품들

알리에서 표시되고 있는 가격은 낚시일 뿐

다이소 같은데서 바로 구매 할 수 있는 제품들

쓰다가 불날뻔함

그래서 배터리 전문가에게 분석 요청

셀도 조립도 쓰레기 수준

그러면 삼성 정품셀을 사용하기로 유명한 챔라이더는 어떨까?

까보니 스펠링도 틀린 가짜 삼성셀

그럼 스펠링까지 정확한걸로 찾으면 될까??

전문가도 튜브까지 다 까봐야 알수 있다고 함

그래서 전문가분이 직접 알리에서 확인해 보심

걍 다 가짜라고 함

배터리 직구 구입 막혔다고 욕하지 마라

니들 살리려고 그러는거

물론 진짜이거나 쓸만한 것도 있다고함

근데 가격이 국내가랑 동일함

참고로 중국 배터리를 쓰는 중국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