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12. 10. 10:53

1.저장 장치류(SSD HDD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는 절대 노노

- 거의 99% 뻥가짜 용량

- 용량이 나와도 속도 개 느려서 뽑아 버리고 싶을 정도

- 단기간 괜찮아도 오래 안감

- 대부분 쓰레기들 모아서 리퍼비시 재생한 제품들이 주류임

 
 

2. 그래픽 카드 : 대부분 채굴 이나 고장

3. 유명 브랜드 제품: JBL, 로지텍, 삼성, 아이폰 등(카피제품이 옴)

4. 검증되지 않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 p11처럼 널리 검증된 기기면 ok

5. 18650 배터리 류: 이거는 이유는 모르겠는데 대댓글에 사지 말라고 하셔서.. 추가했네요

6. 랜덤박스: 이건 말할것도 없이 뽑기보다 더 저질 아이템을 돈주고 설거지 해주는 느낌;;

몇백불 넘는 짝퉁 시계들도 사지마세요.

계측 기기도 비추고 전동 공구류도 저렴이들 비추입니다. 모터타요

알리는 역시 쓰다 망가지면 버려도 무방한 가격과 그런 제품군만 구매하는게 정답이다 싶습니다

솔직히...알리에서 살만하다 싶은게 과연 얼마니 있을지 잘 모르겠어요. 한때 유행처럼 알리발 제품들 많이들 사길래 호기심이 이거저거 몇가지 사본적 있는데 하나같이...딱 가격만큼의 일회용품급 저질 제품들 이더라구요

알리는 장난감만 삽니다 ㅋㅋ

구형 LG폰 고용량 배터리라고 샀는데...3일만에 충방전이 안됩니다. 100%사이입니다.

의류요, 의류 ㅠㅠ

랜턴은 몇년째 잘 쓰구있네요 ㅎㅎ

usb 메모리는 절대 사면 안됩니다.

쓰레기가 와도 상처받지 않을정도의 금액인 상품만 삽니다... 5달러 이하로;;; 적어도 기다리는 (오랜 배송기간;;;) 동안 설랠 수 있거든요;;;;

알리는 백불 이상은 사는것이 아니죠

USB케이블과.... 택배비가 아까운 저렴이들 위주로 삽니다....

랜덤박스 구매해본 사람입니다...

진짜 쓰레기만 나왔네요..

그냥 알리도 제값주고 오피셜 셀러에서 사면 괜찮습니다

문제는 대부분 알리에서 싼거만 찾다보니 그런일이 많죠

공구나 계측기도 완전 싼마이들 아니면 충분히 쓸만 합니다

구글에 찾아봤는데, 오피셜 셀러 조건을 모르겠습니다

어느 정도 신뢰를 보증하는건가요?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12. 3. 11:44

1995년 이재웅이 창업해서 만든 포털 사이트다. 2014년에 카카오에 인수되었다.

본래는 예술사이트로 출발했지만 패션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영화 웹진 서비스, 여행 정보 서비스, 한메일넷 등 각종 사업을 벌이다가 IMF 후 검색 엔진 서비스와 뉴스 서비스 등을 도입하여 종합 포털사이트로 거듭났다.

국내 인터넷 포털 사이트 Daum의 뉴스 사이트. 네이버 뉴스나 네이트 뉴스처럼 국내외 언론사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뉴스 기사들을 모아, 다음 사이트 메인에 노출시키고 있다.

특징이라면 전체적으로 친노, 친민주당 성향이 매우 강하다 못해 광적으로 극단주의적이라는 것이다. 반대로 네이버 뉴스 같은 경우 정권이 바뀌거나 기사의 내용에 따라 댓글 여론이 유동적으로 바뀐다. 예컨대 이명박, 박근혜 시절에는 상황에 따라서 정부를 비판하는 댓글의 수가 우세했고, 문재인 정부 초반에는 정부를 우호하는 댓글이 우세했다. 그리고 네이버 뉴스는 상황에 따라서 경합이기도 하거나 치열한 댓글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반면 다음 뉴스 댓글은 시기를 막론하고 친민주당 성향이 강했다.

블룸버그 통신의 분석 결과를 기사화 한 내용으로 직접적으로 정부를 비판하는 기사가 아님에도, 기자를 욕하는 댓글이 7시간 만에 추천수 4000을 돌파했다.

근래 들어 뉴스 댓글에 대한 모니터링 기준이 들쭉날쭉 자의적이어서 담당자 마음대로 주의 이용제한을 남발해 원성이 자자하다. 7월부턴 뜬금없이 기본 댓글 배열 순서도 무슨 기준인지 정확히 모를 '추천 댓글' 순으로 나온다. 비공감 수가 공감 수보다 훨씬 많은 댓글이 올라오기도 한다. 댓글 수가 적으면 '최신순'으로 배열되어 '찬반 순'으로 댓글을 보려면 사용자가 직접 바꿔줘야 한다.

기사뉴스 랭킹 순위가 진보성향에게 유리하게 배열되는것 같다라는 비판이 다음뉴스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 가령, 진보 성향에게 불리한 기사는 메인에 잘 걸리지 않으며, 이렇게 숨겨진 뉴스를 검색하여 찾은 네티즌들은 항상 다음 뉴스의 랭킹 시스템에 의문을 제기한다. 모든 사이트가 그렇듯 우리는 랭킹에 절대 관여하지 않는다라고 하겠지만, 이미 알만한 사람들은 아는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생각되는 듯하다.

이러한 논란에 항상 자유롭지 못했던 네이버 뉴스는, 2020년에 기존의 다음 뉴스와 같았던 랭킹시스템을 없애버리고 랜덤으로 배열한 언론사별 기사모음을 보여주고 그 안에서의 랭킹을 보여주는 시스템으로 바꿨다.

그리고 2021년 3월 23일부터, 언론사 선택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2023년 6월 8일, 댓글창을 24시간 동안만 저장 되는 톡방 형식인 타임톡으로 변경했다. 사용자별로 댓글이 저장되지 않고 조회도 불가능하며 기사 게시 후 24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감을 받아 호응도가 높아지는 것을 원천 차단하며 여러 사용자가 댓글을 달 경우 자연스럽게 위로 밀려 올라가 사라진다. 댓글의 내용에 관계없이 다수의 추천을 받은 댓글이 있다는 것 자체가 여론을 형성하는 행위인데 이것을 원천 차단했으며 좋지 않은 의도를 가진 사용자들이 정상적인 댓글을 밀어내고 타임라인 자체를 특정 의견으로 도배 테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환멸을 느낀 사용자의 이탈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 현재 다음을 떠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네이버 뉴스와는 다르게 정치적 성향이 특히 강한 친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과거에는 비로그인 사용자도 댓글을 달 수 있었기 때문에 온갖 정치색을 띈 댓글과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이 들어와서 뉴스 기사에 대한 좋지 않은 댓글을 투척하거나 특히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와 같은 보수적 성향의 전직 대통령들에 대한 비호감도가 높은 편이라 이들을 원색적으로 비방하는 댓글들도 많았던 편이었고 현재의 자유한국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에 대한 비방적 댓글도 존재하였던 편이며 2008년 촛불집회 때 미국 소고기 수입 문제와 이명박 정부의 소고기 수입 정책에 대한 거칠고 과격한 댓글도 다수 올라왔던 편이었다. 이후에는 로그인 제로 댓글 작성방식을 전면 개편하여 비그로인 사용자의 댓글을 차단하고 있다.

다음 아고라가 촛불집회에 개입하고 조중동에 반감을 품고 있다는 유저들에 의해서 한때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수언론들이 미디어다음에 기사제공을 중단하고 철수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2011년 1월에 들어서 다시 이들의 기사가 공급되고 있으며 동아일보는 나중에 가서야 공급이 재개되었다.

이와는 무관하게 광고성, 홍보성 댓글이나 호소에 가까운 의외의 댓글들도 달리는 편이기도 하다. 그러나 모두 비공감 투척 먹고 나가떨어진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11. 29. 16:28

알리의 짝퉁 980EVO 

알리에서 산..

 

결론은 99% 쓰레기 가짜임..

 

삼성전자가 성능과 가격 모두를 만족해 고성능 SSD의 대중화를 이끌 ‘NVMe SSD 980’을 출시한다.

이번 제품은 고성능 NVMe 인터페이스 기반 소비자용 SSD로 기존 SATA SSD 대비 최대 6배의 연속읽기 속도를 구현할 수 있어, 일반 노트PC 사용자는 물론 최근 증가하는 컨텐츠 크리에이터, 홈게임 유저 등 다양한 소비자층에게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

최신 6세대 V낸드가 탑재된 NVMe SSD 980은 최대 3,500MB/s, 3,000MB/s의 연속 읽기·쓰기 속도와 500K IOPS, 480K IOPS의 임의 읽기·쓰기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이번 제품은 컨트롤러 및 펌웨어 기술 최적화로 SSD 내부에 탑재되는 D램 없이 PC에 탑재된 D램과 직접 연결하는 HMB(Host Memory Buffer)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SSD 내부에 탑재되는 D램을 제거해 비용은 줄이고 성능은 유지시켰다.

또한 사용자의 작업량에 따라 성능을 최적화하는 인텔리전트 터보라이트(Intelligent TurboWrite) 기능도 개선해 보다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NVMe SSD 980’은 ‘과열 방지 기능(Dynamic Thermal Guard)’, 니켈 코팅된 컨트롤러, 제품 후면의 ‘열 분산 시트’ 등 하이엔드급 제품과 동일한 열 제어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자들이 장시간 최상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다.

이번 제품은 이전 NVMe SSD 라인업인 ‘970 EVO’ 대비 전력효율이 최대 56% 향상되고 제조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는 등 착한 소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SSD 전용 소프트웨어인 삼성 매지션(Samsung Magician) 6.3에 대용량 작업과 고성능 게임에 최적화된 ‘최대 전력 모드’를 추가했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브랜드 제품 마케팅팀 이규영 상무는 “삼성전자는 수년간 SSD 업계 1위 기업으로서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SSD 기술 리더십을 이끌어왔다”며, “성능과 경제성을 모두 갖춘 이번 신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의 고성능 스토리지 사용 접근성을 높이고, NVMe SSD 대중화를 이끌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NVMe SSD 980은 한국, 미국, 독일, 중국 등 전 세계 40여개국에 250GB, 500GB, 1TB 총 3가지 모델로 출시되며 가격은 각각 $49.99, $69.99, $129.99이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11. 23. 07:53

RX 580 8g 2048sp 라는 것은 기본 성능이 RX 570과 비슷하며 중국에서만 판매하던 제품이라고 한다

깨끗하게 세척해 판매하는 업체도 있지만 기본적인 녹슴과 먼지 그대로 판매하는 짱깨 새끼들도 있다고 한다

 

운이 좋으면 괜찮은 물건이 걸릴때도 있다

분명히 리퍼 제품인데도 최소한 외관 상태가 깨끗하고 백플레이트까지 달려 있는 제품을 건지니까

그냥 쓰던 드라이버를 깔고 나면 특이한 현상들이 보이는데 윈도우를 깨끗이 새로 밀고 드라이버를 설치하는게 매우 좋다

중국산 RX580을 사용하려고 하는 플루이드 모션의 화질인데..

 

RX580을 끼우면 Bluseky FRC에서 프레임을 144 까지 올릴수 있게 되는데 문제는 화질이 팟플레이어 60 프레임과 별로 차이가 없어서 허탈하게 만든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11. 22. 08:00
🔰증상(오류)

윈도우10 버전에서 윈도우11 업데이트 후, 글자 입력 후, 마우스 커서를 옮기면 마지막 글자 하나가 사라지는 현상

 

🔰문제 해결 방법
 
💎단축키 윈도우키+Q
설정창 열기

💎시간 및 언어 선택

💎언어 및 지역 클릭 Winds 표시 언어, 기본언어

 

 

💎한국어 ➥언어 옵션 활성화
(언어 팩, 텍스트 음성 변환, 필기 기본 입력)

💎Microsoft 입력기  키보드 옵션 활성화
💎문자 집합 확장 한자 켬
호환성 이전 버전은 Microsoft IME 켬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11. 20. 12:21

알리익스프레스 대란 그래픽으로 알려진 RX580 2048SP 8GB 제품에 대해 리뷰

메인으로 쓰는 컴퓨터는 집에서 만큼은 핵가성비를 추구하는데...

전체 30만원대로 저렴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국내 유통가 20여만원의 그래픽카드를 6만원대에 판다?

이런건 또 못참지.

이래저래 코드 갱신해가면서 6.8만원에 구매하였고 실사용에서 느낌은 나쁘지 않았다

적당히 게임도 잘 버텨주고, 온도 적당하고 사용에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니까 테스트 환경은

FHD의 디스플레이에서 주사율로 사용하고 있었다. 여기까지는 큰 문제 없이 잘 사용할 수 있었다

CPU를 많이 갈구는 게임이지만 하드웨어 성능을 크게 타는 스타크래프트2 같은 게임을 2~3시간도 버텨줬다

하지만 사용을 위해 

QHD 165Hz 주사율로 사용은 비추한다

 
 6만원대에 산 제품이고 FHD에서는 정상작동하는데다가 AMD 그래픽은 처음이기도 해서 그냥 쓰기로 했다.

알리발 AMD RX580 2048SP에 대한 최종 생각

후기를 보고 구매한 것이고, 전반적으로 좋은 평이 많았지만 실 사용에서 모든 성능을 다 쓰기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에 유통된 20만원대의 RX580에 비해 살짝 모자라고 실 성능도 다르다는 것도 있다

  • 일단 FHD로는 큰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 게임을 한 3시간을 해도 위 문제가 나오진 않더라고.
  • 물론 QHD에서는 일반적인 웹서핑, 컴퓨터 실 사용에서는 QHD 해상도에 165Hz 주사율로 아무 문제 없이 잘 사용
  • RX580 이라는 이름으로 바이오스 오버클럭된 제품이라는 것
  • 말 그대로 6만원 언저리에 파는 이유는 있다. 딱 그정도의 가격
  • 컴퓨터 부품에 대해 어느정도 다룰 줄 아는 사람들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