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2. 4. 09:17

 

High Dynamic Range

이미지 내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극대화시킨 영상을 구현하는 포괄적인 기술을 의미한다.

다이내믹 레인지는 특정 이미지에서 표현된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의미한다. 아래의 사진과 같은 상황이 바로 다이내믹 레인지가 크다고 표현할 수 있는 상황이다.

왼쪽은 하늘의 노을은 잘 표현하였지만, 하늘에 비해 땅은 너무 어두워 잘 보이지 않는다. 중앙의 사진은 반대로 땅의 모습은 잘 보이지만, 밝은 하늘은 하얗게 날아가 보이지 않는다. 이 때, 이 두 장의 사진을 합성하면 오른쪽 사진과 같이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모습을 모두 살려낼 수 있다.

위의 사진처럼 정상에서 햇빛을 바라보며 풍경을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왼쪽과 중앙의 사진은 눈으로 보는 것과는 무언가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 눈으로 봤을 때의 풍경은 오른쪽 사진과 같이 하늘도 땅도 잘 보이는데, 막상 사진을 찍어보면 전혀 그렇게 나오지 않는다.

그 이유는, 어두운 부분일수록 빛에 훨씬 민감해지면서 밝은 부분과의 밝기 차이가 균일하게 표현되는 사람의 눈과 달리 카메라 센서는 어둡건 밝건 밝기를 항상 균일하게 받아들이기에 실제에 비해 밝기 편차가 심하게 표현되며, 그 밝기 편차를 일반적인 8비트 컨테이너에서는 제대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의 눈으로 직접 보는 것과는 다른 결과물이 나오게 된다. 때문에 애초에 살리고자 하는 부분을 다르게 해 여러 장을 촬영한 다음 합성하여 사진 속의 내용물 모두를 이미지 내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HDR 촬영 방식이 만들어졌다

 

Windows의 HDR이란?

 

Windows의 HDR 콘텐츠는 기존 콘텐츠(표준 동적 범위 [SDR] 콘텐츠라고도 함)에 비해 더 나은 밝기 및 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존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장면의 밝은 부분이나 장면의 어두운 부분에 세부 정보를 표시하지만 두 부분 모두 동시에 표시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장면에서 밝은 창에 초점을 맞추면 어두운 창의 세부 항목은 놓치게 됩니다.

HDR은 더 넓은 범위의 색상과 빛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극단 사이에 더 많은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HDR 콘텐츠의 색이 더 선명하고 고유합니다. 또한 장면의 밝은 부분은 밝고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될 수 있으므로 모든 세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가 개선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디바이스에서 HDR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최신 TV나 모니터에서 HDR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고 느꼈을 것입니다. Windows의 HDR을 사용하면 Windows 11 디바이스도 사용할 때 HDR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최상의 HDR 환경을 얻으려면 진정한 HDR10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장치를 사용하세요. HDR 앱과 게임을 사용하려면 이러한 종류의 디스플레이가 필요합니다. 비디오의 경우, 최상의 환경은 진정한 HDR 디스플레이입니다. 하지만 최신형 HDR 미지원 노트북에서도 HDR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습니다.

 

HDR 비디오 디스플레이 요구 사항

디스플레이

Windows에서 HDR(높은 동적 범위) 비디오를 재생하려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가 HDR을 지원해야 합니다. 디스플레이는 노트북, 태블릿 또는 2-in-1 PC의 종류와 같은 기본 제공 디스플레이이거나 PC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일 수 있습니다.

  • 기본 제공 디스플레이. 기본 제공 디스플레이는 1080p 이상의 해상도여야 하며 권장 최대 밝기가 300니트 이상이어야 합니다. 특정 노트북 또는 태블릿의 사양을 확인하려면 장치 제조업체의 웹 사이트를 방문하세요.
  • 외부 디스플레이. HDR 디스플레이 또는 TV가 HDR10 및 DisplayPort 1.4, HDMI 2.0 이상, USB-C 또는 Thunderbolt를 지원해야 합니다. 특정 PC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사양을 확인하려면 장치 제조업체의 웹 사이트를 방문하세요.

기본 제공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HDR용으로 인증된 디스플레이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HDR 지원 디스플레이 또는 Windows PC를 구입할 때 찾아야 할 다양한 HDR 인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AMD FreeSync Premium Pro
  • Dolby Vision
  • NVIDIA G-SYNC ULTIMATE
  • VESA DisplayHDR 인증에는 여러 계층이 있습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더 높은 계층을 나타냅니다. 최상의 환경을 얻기 위한 몇 가지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신 DisplayHDR 인증 버전 1.2 인증 디스플레이를 찾습니다.
  • DisplayHDR 500 이상 계층을 충족하는 디스플레이를 찾습니다.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고급 디스플레이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가 인증된 것으로 표시되지 않는’경우(HDR 인증 옆에 없음으로 표시됨), HDR 인증이 없거나 디스플레이 제조업체가 디스플레이에 대한 HDR 인증 정보를 게시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가 HDR 인증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디바이스 제조업체의 웹 사이트를 방문하세요.

코덱

Windows 디바이스에는 PlayReady 하드웨어 디지털 권한 관리(보호된 HDR 콘텐츠용)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 있어야 하며, 10비트 비디오 디코딩에 필요한 코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최신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장치는 이 기능을 지원합니다. 일부 코덱이 PC에 이미 설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HDR 비디오를 재생하는 데 필요한 일반적인 코덱은 다음과 같습니다.

  • HEVC. Netflix에서 HDR 비디오를 재생하려면 이 코덱과 프리미엄 구독이 필요합니다. 이 코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설정을 열고 > 앱 및 기능을 선택한 다음 비디오 확장 프로그램을 검색하세요. 이 코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Microsoft Store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VP9. YouTube에서 HDR 비디오를 재생하려면 이 코덱이 필요합니다. 이 코덱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Microsoft Store 앱을 열고 검색하세요.
  • AV1. 이 코덱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Microsoft Store 앱을 열고검색하세요.

또한 Windows PC에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WDDM)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신 드라이버를 얻으려면 설정 > Windows 업데이트 >고급 옵션 > 선택적 업데이트로 이동하거나 PC 제조업체의 웹 사이트를 검사.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1. 24. 09:40

이재명은 옛날 소련의 공산 혁명을 일으킨 볼세비키 레닌과 같은 놈이다

 

오래된 노트북이나 PC라도

X64 기반 프로세서면 윈도우 11 설치 가능

 

오래된 컴퓨터들은 대부분 64비트 컴퓨터 인데, 간혹 64비트 컴퓨터 임에도 32비트 윈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관련 정보를 어찌 아는지 몰라서 64비트 컴터에 64비트 윈도를 쓰면서도 32비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64비트 컴터인데도 32비트 버전을 받아서 사용하는 이들

근본적으로 32비트 보다 64비트가 좀더 효율이 좋아서 같은 작업을 해도 좀더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윈도에서 내 컴터의 CPU또는 내가 사용중인 윈도가 32비트 인지 64비트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

키보드의 윈도 키와 Pause Break 키를 누르면 되는데

 

 

윈도키는 보통 컨트롤(Control,Ctrl) 키와 알트(Alt) 키 사이에 위치 위 그림과 같이 윈도 모양일수도 있고 Win이라고 써져 있거나 W라고만 써져있는 키보드도 있고 대부분의 키보드는 컨트롤, Alt키가 스페이스바를 기준 좌우에 하나씩 존재하고 윈도키도 좌우 컨트롤, Alt 키의 사이에 위치 이키를 누른채 Pause Break 를 누르면 되는데..

 

보통 데스크탑용 키보드는 F1~F12의 펑션키 옆쪽에 보면 위치 Pause 라고만 적혀 있기도 하고 가끔 p-break 나 break 라고만 적혀 있는 키보드가 있다만 대충 Page Up 버튼 위 Scroll Lock 옆, F12 의 우측 옆옆옆 .. 등으로 찾아 보면 되겠다. 윈도 키를 누른채로 이 Pause Break 를 누르거나 ..

노트북이거나 텐키리스 또는 매우 크기를 줄인 변태 키보드를 사용중 윈도키도 없고 Pause Break 키도 없다던지 하면

 

윈도아이콘(보통 시작버튼이라고 하지..)에 마우스 커서를 가지고 가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이렇게 팝업 메뉴가 뜨는데 이중에서 시스템(Y)를 선택하면

시스템 정보 창이 보야 할것은 노란 줄을 쳐둔 ‘시스템 종류’ 부분을 보면 되겠다.

표시되는 정보는 윈도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이 컴퓨터의 CPU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를 표시해

32비트 운영체제 라고 적혀있으면 사용중인 컴퓨터에 설치된 윈도가 32비트용 윈도라는 말이구 64비트 운영체제 라고 적혀 있으면 64비트용 운영체제라는 말

x86 기반 프로세서라고 적혀 있으면 32비트 CPU이고 x64 기반 프로세서라고 적혀 있으면 64비트 CPU

문제는 64비트 CPU에서는 32비트 OS를 설치 가능하지만 32비트 CPU에는 64비트 윈도를 설치할 순 없다.

x64기반 프로세서라 해도 만약 32비트 운영 체제가 설치된 거라면 해당 컴퓨터에서는 32비트용 프로그램들만 사용이 가능하다.

내 컴퓨터에서 32비트 64비트중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되는가는 시스템의 종류에서 64비트 운영체제 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64비트를 쓰면 되고 32비트 운영체제라고 쓰여 있으면 32비트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되겠다.

저가 시스템의 종류에서 x86, x64 가 아닌 ARM, ARM64 같이 쓰여 있고 프로세서가 Intel 이나 AMD가 아닌 Cortex 같은게 있으면 이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 쓰이는 ARM 기반의 모바일 프로세서로 만들어진 컴퓨터를 사용

ARM용 윈도의 경우 x86, x64 기반의 프로그램도 에뮬레이트 모드로 동작은 가능하다만 가능하면 ARM용으로 빌드된 프로그램을 찾아 쓰는게 좋긴 하겠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1. 18. 12:15

 

윈도우 7정품키를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이런 질문을 하는 당신은 거지같은 근성을 가진 국민들과 같은 도둑 심보를 가진 것 같습니다 당신들이 만일 좌파 포퓰리즘 정권을 지지한다면 당신 자식에게 가야 할 돈을 땡겨서 당신 입에 넣어 줄 것입니다

당신 자식에게 가는건 빚더미 뿐일 테니까 당신과 똑같은 거지가 대물림 되겠지요

 

윈도우 7 cd키를 가지고 있는데 이게 운영체재 없는 컴퓨터에 적용 후 현재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가 될까요?

 

윈도우 7 제품 키로 윈도우 11까지 갈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 7 제품 키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려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런 질문을 하시는데요, 바로 답부터 말씀드리자면, 아쉽게도 직접적인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합니다.

왜 윈도우 7에서 바로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가 안 될까?

윈도우 7이나 윈도우 8 사용자들을 위한 무료 업그레이드 이벤트는 이미 몇 년 전에 종료되었습니다. 이 이벤트는 윈도우 10 출시와 함께 진행되었는데요, 현재는 더 이상 윈도우 7이나 윈도우 8에서 윈도우 10으로의 무료 업그레이드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윈도우 7 제품 키를 이용해 직접 윈도우 11로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죠...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윈도우 7 설치: 먼저, 윈도우 7 제품 키를 사용하여 운영 체제가 없는 컴퓨터에 윈도우 7을 설치합니다.
  2. 윈도우 10 구매: 윈도우 7을 설치한 후, 윈도우 10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윈도우 10을 구매해야만 합니다.
  3. 시스템 사양 확인: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하기 전에, 컴퓨터의 시스템 사양이 윈도우 11의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시스템 사양이 충족된다면, 윈도우 10에서 윈도우 11로의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결론

윈도우 7 제품 키로 바로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만 합니다. 윈도우 10을 구매하고, 시스템 사양이 윈도우 11을 지원한다면 그때 윈도우 11로의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윈도우 7에서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컴퓨터 업그레이드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트에서 또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윈도우 7에서 윈도우 10으로의 무료 업그레이드는 여전히 가능한가요?

아니요, 윈도우 7 또는 윈도우 8에서 윈도우 10으로의 무료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은 이미 종료되었습니다.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최소 시스템 요구 사양은 무엇인가요?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정확한 최소 시스템 요구 사양을 알고 싶다면, 저희 블로그 글을 확인해주세요.

윈도우 7 제품 키로 바로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나요?

IT 문제 해결 전문 맨입니다. 컴퓨터, 스마트폰, 가전제품까지 IT 관련 궁금한 사항을 실시간으로 해결해드립니다. '대화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지금 바로 연락해보세요.

 

Windows 7 또는 8.1에서 Windows 11로 직접 업그레이드할 때 새로 설치가 필요합니까, 아니면 이전 OS 버전 변경처럼 수행할 수 있습니까?

컴퓨터를 사용할 때 자신도 모르게 깨질 수 있으므로 새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 설치하면 깨끗한 레지스트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새로 설치해야하는 진짜 이유는 7 또는 8.1에서 10으로 이동할 때 32 비트에서 64 비트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새로 설치하지 않으면 컴퓨터가 충돌했습니다.

Windows 11의 경우 Microsoft는 더 높은 수준의 그래픽과 보안을 요구합니다. 펌웨어는 UEFI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TPM 버전 2.0이 필요하고 그래픽 카드는 WDDM 2.0 드라이버가 있는 DirectX 12와 호환되어야 합니다. 일부 버전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Microsoft 계정을 만들어야 합니다. 기계가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면 결국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 Windows 7 또는 8.1이 사전 설치된 경우 Win 11의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Microsoft 웹 사이트에서 하드웨어의 호환성을 확인하십시오. 시스템이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필요한 TPM 2.0 및 최소 프로세서를 확인하지 않도록 Win 11 설치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해 Microsoft에서 웹 사이트에 게시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들은 Windows 11이 지원되지 않는 하드웨어로 설치 및 실행되지만 앞으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렇게 말했지만 Win 7이 나왔을 때 일부 Windows 7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했을 때 Win 10이 나왔을 때 설치 프로그램이 업그레이드 프로세스 중에 호환되지 않는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에 Win 7에서 11로 새로 설치할 것입니다. Win 11 설치 프로그램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Win 7 컴퓨터에 이미 Win 10을 설치하고 활성화하지 않은 경우 Win 11 라이선스를 구입해야 합니다. Win 10으로의 무료 업그레이드는 몇 년 전에 만료되었습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1. 17. 14:09

 

좌파 포퓰리즘

국민들 인기를 얻을 목적으로 국가의 세금을 정치적으로 이용해 남발하고 일방적인 퍼주기로 일관해 재정을 낭비해 건전성을 해치고 부채를 발행하고 빚더미에 올려 놓으면서 미래 청년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안겨주어 나라의 장래를 피폐하게 만드는 공산 사회주의 정책으로 후진국으로 전락한 베네주엘라나 아르헨티나 같은 국가들이 그 표본이 됩니다

 

 

# 바뀐 점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점은 윈도우 로고가 없는 기본 바탕화면, 그리고 가운데로 위치를 옮긴 시작 메뉴와 시작 버튼입니다. 윈도우 7과 10의 바탕화면은 윈도우 로고가 있지만 8(8.1)의 바탕화면은 로고가 없는데, 오랜만에 11에서 다시 윈도우 로고가 없는 바탕화면이 기본값이 되었습니다. 시작 메뉴와 시작 버튼은 윈도우 95에서 도입한 위치를 버리고 화면 가운데로 이동하였습니다. 16:9를 넘어 21:9, 32:9같이 가로 가긴 모니터가 나오는 환경에 맞춘 변화라고 하는데, Apple Mac과 비교하는 분들도 있고, 프로그램을 많이 실행하면 시작 버튼 위치가 계속 왼쪽으로 밀려나는 점을 불평하기도 합니다. 아무튼, 윈도우 역사상 아주 오랫동안 유지하던 위치를 바꾼 터라 앞으로도 계속 사람들이 회자할 것으로 보입니다.

창 가장자리의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꼭짓점을 둥글게 바꾸었습니다. 탐색기를 비교한 화면을 보면 크게 튀지는 않아도 분명히 바뀐 점을 볼 수 있습니다. 탐색기는 그 외에도 상단 메뉴 구성 및 디자인을 바꾸고, 아이콘 디자인도 바꾸고, 항목별 간격을 띄워놓았습니다.

 

띄워놓은 간격은 휴대용 태블릿 환경에서 터치스크린으로 선택하기 편하게 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전처럼 쓰고 싶으시면 상당 메뉴 오른쪽의 ...에서 '옵션'에 들어간 후 '보기' 탭의 '고급 설정' 맨 아래쪽 근처에 있는 '항목 간 공간 축소(압축 보기, compact view)'를 활성화해주면 됩니다.

휴지통 등 각종 기본 아이콘도 바뀌었습니다. 이는 Windows 10 Sun Valley 계획부터 시작된 변화로, 윈도우 95 시절 이후 바꾸지 않은 아이콘을 새로 디자인한 것들도 많고 일부는 윈도우 10에도 업데이트로 적용되었습니다.

 

다만 (현재 업데이트를 모두 적용한 최신 윈도우 10 기준으로) 윈도우 11에서 새로 바꾼 아이콘들은 디자인 자체를 바꾸지는 않고 각도를 바꾸고 색감을 조절한 정도라 뭐가 바뀐 거냐는 식의 반응도 있습니다.

 

화면에 보여주는 UI에서 뭔가 바뀔 때의 전환 효과 애니메이션도 개선하거나 추가하여 겉보기에 자연스럽게 바뀌도록 했습니다. 창을 최소화, 최대화하거나 마우스로 끌어서 움직일 때, 해상도를 변경할 때 등의 전환 효과가 윈도우 10에 비해 나아지거나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자잘한 개선이나 변화가 많다고 합니다만, 제한된 일정에서 세세한 부분을 모두 다룰 수는 없어 우선 눈에 띄거나 대부분의 사용자가 관심 가질만한 점들 위주로 살펴보았습니다.

 

윈도우 10 버전 2004(2020년 5월 업데이트) 이후 누적된 개발 성과를 새로운 이름으로 출시한 만큼, 겉보기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바뀐 점들이 많습니다.

우선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시작 메뉴와 작업 표시줄이 불편해졌다(...)는 점입니다. 새로 바뀐 시작 메뉴는 나름의 합리성과 장점이 있습니다만, 메뉴 자체의 크기도 아이콘의 크기도 바꿀 수 없고, 맞춤 항목을 꺼도 그대로 자리를 차지하며, 여러 아이콘을 모아서 그룹을 만들 수도 없습니다. 휴대기기 환경에 맞춘 Windows 10X용 빌드를 계속 개발해서 이렇게 되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만, 이를 데스크톱에도 적용한 건 불편한 점이 더 많아 보입니다. 오히려 휴대폰 대부분이 아이콘 그룹 기능을 지원한 지 오래다 보니 휴대폰도 지원하는 기능을 왜 빼느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작업 표시줄은 훨씬 심각합니다. 윈도우 10에서는 작업 표시줄 잠금을 해제하고 마우스로 끌어다 놓는 것만으로 화면 위나 옆으로 옮겨서 사용할 수 있지만, 윈도우 11에서는 불가능합니다. 그뿐 아니라 작업 표시줄의 크기도 바꿀 수 없고, 오른쪽 클릭해도 작업 표시줄 설정 항목 하나만 보일 뿐이며, 앱 아이콘을 작업 표시줄로 끌어다 놓지도 못합니다. 후자는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자면, 고정 기능 자체는 그대로라서 앱을 실행 후 작업 표시줄에서 오른쪽 클릭한 후 고정을 선택하는 방법은 그대로입니다만, 바탕화면 등에서 아이콘을 마우스로 끌어서 작업 표시줄에 놓으면 고정해주던 기능이 사라졌습니다. 그 외에도 간단한 트윅으로 시계에 초 단위까지 표시하게 하던 방법이 불가능해지는 등 기능 면에서는 사라진 것밖에 없어 보일 지경입니다.(참고로 초 단위 시계 기능은 T-Clock이란 프로그램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크기는 레지스트리 설정으로 바꿀 수 있지만, 일부 UI가 대응하지 않아서 잘려 나오는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 윈도우 11의 바뀐 점들 각각에 점수를 매기는 리뷰에서는 최악의 항목 1위를 다투는 것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 물론 윈도우 전체적으로는 개선된 점들이 더 많으니 아래에서 차근차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스탭 어시스트(창 정렬 보조)

스냅 어시스트는 PowerToys라는 별도 설치 도구의 기능 중 하나를 기본 기능으로 바꾼 것입니다.

 

창의 최대화 버튼에 마우스 커서를 잠시 올려놓거나, 윈도우키 + Z를 누르면 여러 창을 정렬해둔 모형 화면 6가지를 보여줍니다.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현재 창을 해당 위치와 크기로 바꿔줍니다.(기존의 위치 및 크기 변경과 별개로 작동하는 방식이라, 최대화 후 줄이면 스냅 어시스트를 사용하기 전 원래 위치와 크기로 복귀합니다.)

# 작업 스케줄러 개선

작업 스케줄러 개선은 이전부터 보도된 사안인데요, 빅리틀처럼 고성능 코어와 저전력 코어를 조합한 하이브리드형 CPU에서 향상이 크다하여 인텔 12세대 엘더레이크의 출시 예고와 함께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유튜브 Microsoft Mechanics 채널에서는 스레드 단위로 현재 사용 중인 창(포그라운드 작업)의 우선순위를 높여서 CPU 사용률이 90%나 95%라도 빠른 반응성을 보이고, 통상 절전 상태인 S3에서 깨어나는 속도도 25% 개선했다고 말합니다. 특히 MS 자사의 웹 브라우저인 엣지로 시연한 결과는 평균 32%의 메모리와 37%의 CPU 사용량을 절약한 결과를 보입니다.

사실 엣지의 개선은 윈도우 자체보다는 엣지에서 열어만 두고 사용하지 않는 탭을 내부적으로 비활성화시키는 Tab sleep 기능 도입으로 인한 개선인데요. 이미 수년 전부터 파이어폭스와 크롬의 Auto Tab Discard 확장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이며, 파이어폭스는 2019년 5월 14일 67버전에서 기본 기능으로 탑재했습니다. 그러나, Auto Tab Discard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고 설정해야 하는 개인 도구이며 파이어폭스가 기본 탑재한 기능은 시스템 전체 메모리가 부족한 상황에 한정한 설정입니다. 반면 엣지의 개선은 여러 작업을 동시에 띄워놨을 때 현재 보고 있는 작업의 반응성을 얘기하면서 시연한 기능이기 때문에 엣지를 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개선을 기대해볼 만합니다.

# 자동 HDR 기능 도입

 

미지원 게임 및 HDR 규격 차이 자

Xbox Series X|S에 탑재되어 효과를 입증한 자동 HDR도 도입하였습니다. 인공지능으로 화면을 분석하여, 화면 전체 밝기를 올리는 꼼수 없이 HDR이 필요한 부분의 밝기만 올려서 정확히 적용한다고 합니다. 게임 자체가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HDR에 비하면 적용 범위나 밝기가 떨어지지만, 게임 자체 대응 패치를 기대할 수 없는 구형 게임에서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이 최대 장점입니다. 테스트 중 이상이 발견된 "폴아웃: 뉴 베가스" 같은 몇몇 게임을 제외한 대부분의 게임에 적용할 수 있으며, HDR 내에서의 규격 차이도 바로잡을 수 있어 디스플레이는 Dolby Vision을 지원하는데 게임은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향상을 맛볼 수 있다고 합니다.

 

설정하려면 우선 HDR 지원 디스플레이에서 HDR 설정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바탕화면의 오른쪽 클릭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가면 'HDR 사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미지원 디스플레이에서는 같은 자리에 'HDR'이라고만 나오고 활성화할 수 없습니다.) 항목을 선택하면 자세한 설정 화면을 보여줍니다.

 

'HDR 사용'을 활성화하면 '스트리밍 HDR 비디오 재생'도 자동으로 활성화해줍니다만, 정작 '자동 HDR'는 자동으로 켜주지 않으니 직접 활성화해야 합니다. 사용 자체는 이것으로 모두 설정 완료되었습니다만, 기존에 사용하던 프로그램에서 소위 '물 빠진 색감'을 느끼면 아래의 'SDR 콘텐츠 밝기'를 적절히 올려줘서 조절해줘야 합니다.

# 자동 업데이트 관련 개선

내려받을 용량 감소와 자동 재부팅

자동 업데이트는 윈도우 10 초기에 많은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중요한 렌더링 작업을 위해 전날 업데이트를 완료했는데도 작업 중에 강제로 업데이트하고 재부팅 하는 바람에 욕을 퍼붓는 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죠. 현재는 2019년 전후로 정책을 변경한 끝에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된 상황입니다만, 윈도우 11에서는 추가적인 개선을 도입했습니다. 하나는 자동 업데이트를 내려받는 데 필요한 용량을 감소시켰다는 점입니다.

윈도우 10은 매달 두 번째 화요일에 누적 업데이트 형식으로 정규 보완 패치를 자동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누적 업데이트가 없던 시절에는 예를 들면 게임 패치 1.5 패치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1.0 → 1.05 패치를 설치 완료하고, 이어서 1.05 → 1.1, 1.1 → 1.11, 1.11 → 1.2, 1.2 → 1.3... 등 그동안 나온 패치를 순서대로 모두 깔아줘야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는 특히 윈도우 7의 수명 주기 후반기에 문제가 되어 윈도우 10에서 누적 업데이트 방식으로 개선하고 윈도우 7과 8.1에도 적용하게 됩니다. 위의 예시에서 누적 업데이트라면 1.0~1.4x 어떤 버전이든 1.5 버전 패치 하나만 내려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대신 패치 내용이 누적될수록 패치 자체의 용량이 커지는 단점이 생겼습니다. 일례로 기업용 엔터프라이즈 LTSB/C 에디션은 윈도우 10초기에 나온 버전을 최대 10년까지 계속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들 버전용으로 나온 패치는 용량이 1.6 GB에 달하는 것도 있습니다.

개인 사용자용은 그렇게 오래 지원하지도 않아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습니다만, 그래도 인터넷 속도나 MS 서버가 느릴 때는 내려받는 데만 한참 걸릴 때도 많습니다. 그래서 자동 업데이트를 할 때는 기존에 이미 설치된 파일을 최대한 찾아서 생략하는 식으로 내려받는 데 필요한 용량과 시간을 40% 정도 줄였다고 합니다.

다른 하나는 '사용 시간 변경'을 기본적으로 자동 조절하게 했다는 점입니다. '사용 시간 변경'은 윈도우 10초기에 강제 자동 업데이트로 몇 년간 욕먹은 끝에 도입된 기능 중 하나입니다. 컴퓨터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시간대를 설정하면 그 시간대에는 업데이트한다고 자동으로 재부팅 하지는 않겠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윈도우 10이 나오고도 몇 년 후에야 신설된 기능인데, 수동으로 시간대를 직접 설정하거나, 세부 설정에 들어가서 '자동 조정' 설정을 활성화 해줘야만 제대로 작동하여 아예 모르는 사용자들도 많습니다. 윈도우 11에서는 기본값 자체를 자동 조정 사용으로 바꾸어서 사용자가 모르고 있더라도 주로 사용하는 시간대에는 업데이트가 맘대로 재부팅 하지 않도록 개선하였습니다.

# 멀티 모니터 지원 개선(특히 DP 사용 시)

윈도우 10에서 하나의 PC에 여러 대의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그중 하나 이상이 DP(디스플레이포트) 연결을 사용한다면 가장 골치 아픈 문제가 창이 여러 모니터를 마구 옮겨 다니는 현상입니다. 이는 DP에서 모니터를 끄면 아예 제거한 것으로 인식하여, 절전 모드 등으로 모니터가 각자 껐다 켰다 하면 그 순서에 따라 화면을 어느 모니터에 표시할지의 설정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윈도우 11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는 얘기가 있는데, 개인적으로도 집에서 불편을 겪고 있던 터라 기대가 되는 사안입니다.

# 위젯

 

윈도우 위젯..., 비스타 시절에 가젯과 함께 잠시 도입되었다가 사라진 거로 기억하는데요, 현재는 윈도우 10에도 업데이트로 도입한 상황입니다. 윈도우 11에서는 호출 버튼을 시작 버튼 근처로 옮기고, 화면 왼쪽에 좀 더 큼지막하게 보여주도록 바꾸었습니다. 다만 윈도우 10의 작업 표시줄에서 날씨를 바로 보여주는 기능은 사라졌고, 호출 버튼을 눌러야만 보이는 점이나 위젯을 띄워놓고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는 점은 그대로라 호평과 혹평이 혼재된 반응을 받는 편으로 보입니다.

# 클립보드 관리자(윈도우키 + V)

가장 많이 쓰는 단축키라는 Ctrl + C로 복사한 내용을 관리하는 클립보드 관리자도 기능 개선이 있습니다. 이모지와 GIF를 담을 수 있고, 서식이나 글꼴 등을 배제하고 텍스트 내용만 붙여넣는 선택지도 생겼다고 합니다.

# Internet Explorer 실행 방지(엣지의 호환 레이어로 대체)

Internet Explorer는 한때 전 세계 점유율 90% 이상을 오랫동안 수성하며 그 아성을 자랑했지만, 인터넷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 취급을 받기도 하며 지금은 MS로서도 짐짝 취급이 된 지 오래입니다. 그래서 윈도우 11부터는 아예 실행하지도 못하게 막아버렸습니다. 이는 윈도우 10에도 2022년 6월 15일부터 적용할 예정이라고 하며, MS 문서(바로 가기)에 명시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인 호환성 문제로 파일 자체는 그대로 들어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열지 못하게 하는 코드가 추가되어 이를 개조하지 않고 실행하면 엣지로 연결됩니다. 대신 엣지의 호환 레이어(IE 호환성 보기)로는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최소 2029년까지 지원한다고 합니다.

# 32비트 지원 중단

이미 사용자 대부분이 64비트로 이동하였지만, 호환성 지원을 위해 윈도우 10에서도 32비트 버전 자체는 내놓고 있습니다. 윈도우 11에서는 이를 중단하고 64비트 지원에 집중합니다.

# 기본 앱 개선(그림판, 메모장 업데이트 예정)

사진 앱, 캡처 도구, 알람 및 시계, 메일 및 캘린더, Windows 스토어 등 기본으로 탑재한 앱들도 디자인 및 기능 개선을 받았는데, 특히 Windows 스토어는 새로 다시 개발했다고 합니다. 메모장같이 예전부터 도입된 기본 앱의 업데이트를 지원할 수 있으며, 스토어용으로 패키징 되지 않은 구 Win32 앱(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데스크톱용 프로그램)도 스토어에 등록하고 설치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단, 구 Win32 앱의 업데이트는 지원하지 않아 지금처럼 각 프로그램 자체적으로 새로운 버전을 덮어쓰는 방식을 써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개선을 지금은 받지 못했지만, 곧 합류할 예정으로 밝힌 프로그램이 그림판입니다. 많은 사용자가 애용하고 있지만 한때 완전히 퇴출당할 것이 확정된 프로그램이었기도 한데요. 3D프린트 시대에 맞춰 그림판 3D로 대체하려 했지만, 3D 프린트 초기의 거품이 꺼진 이후로는 윈도우 기본 앱에서 지원할 정도로 사용자층이 겹치지는 않는다고 판단되어 다시 그림판이 살아나게 됩니다.

 

트위터에 FireCube 사용자가 공개한 화면 갈무리에 따르면 메모장도 비슷한 개선을 받을 예정으로 보입니다.

반면 그림판 3D를 비롯하여 3D 뷰어, OneNote for Windows 10, Math Input Panel(Math Recognizer) 등 사용이 적은 앱들은 기본 앱으로 제공을 중단하고 Windows 스토어에서 따로 설치하도록 바뀝니다. 다만 기존 윈도우 10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때 이미 설치된 걸 제거하지는 않습니다.

# 그 외

차후 버전 업그레이드(기능 업데이트)에서 안드로이드 앱 설치를 지원할 예정이라거나, HDD 설치 시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윈도우 10의 문제를 해결했다거나 등의 이야기가 있습니다만, 역시 제한된 일정에서 세세한 부분을 모두 다룰 수는 없어 우선 눈에 띄거나 대부분의 사용자가 관심 가질만한 점들 위주로 살펴보았습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1. 17. 09:24

 

마메 0.260 풀 버전 기준 : 실행 게임 4만개 롬

 

1. 마메 아이콘 실행

2. 마메 실행 화면

 

① Available : 실행 가능한 게임만 표시해준다. (이것 선택 권장)

② 게임 리스트 : 게임 리스트

③ 게임옵션 : 화면크기, 사운드등 설정을 할 수 있다.

④ 게임중 F12 버튼을 누르면 게임 화면이 저장된다. (iso 이미지 상태에서는 저장불가)

③의 아래가 붉은색이면 실행 불가 게임 녹색 실행 가능 게임

3. 게임 검색기능

 

게임이 많은 경우 검색창에 게임 이름을 입력해서 찾을 수 있다.

게임 갤러그 (galaga) 예

4. 게임이 실행되고 데모 화면이 나오면 키보드의 Tab 키를 누른다.

 

5. Tab 키를 눌러 팝업창이 나오면 키 설정, 치트를 사용할 수 있다.

 

① Input(general) : 게임 전체에 적용되는 키 설정

Input (this machine) : 현재 게임(갤러그)에만 적용되는 키 설정

② Cheat : 게임을 쉽게 하기위한 속임수(치트) 실행

6. 키 설정 : 여기서는 Input(general)을 예시로 들겠으나 Input (this machine)도 설정 방법에 큰 차이가 없다.

 

7.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보통 아래와 같이 방향키와 버튼키 영역만 설정한다.

 

P1 UP은 위, P1 Down은 아래, P1 Left 는 왼쪽, P1 Right 는 오른쪽 순이며 여기서 P1 은 플레이어 1을 의미한다.

2인용 게임의 경우 P2 (플레이어 2) 설정을 할 수 있다.

방향키를 설정하는 방법 (방향키 예시)

예를들어 키보드의 W를 위, S를 아래, A를 왼쪽, D를 오른쪽으로 바꾸려고 할때 방법 : (키보드 이용)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P1 Up 으로 이동 후 Enter, 빈 칸으로 변하면 W 버튼을 누른다.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P1 Down 으로 이동 후 Enter, 빈 칸으로 변하면 S 버튼을 누른다.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P1 Left 로 이동후 Enter, 빈칸으로 변하면 A 버튼을 누른다.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P1 Right 로 이동후 Enter, 빈칸으로 변하면 D 버튼을 누른다.

키보드 대신 마우스로 더블 클릭해서 빈칸으로 변하면 원하는 키를 누르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전 단계로 빠져 나가려면 ESC 버튼을 1회 누르면 된다.

※ 기본 키 정리

동전 넣기 : 5

실행 : 1

일시정지 / 해제 : P

8. 치트 (속임수) 사용하기

오락에 소질이 없어도 게임을 클리어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

 

데모화면에서 Tab 키를 누르고 메뉴가 나오면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서 Cheat 항목으로 이동 후 Enter 또는 마우스 더블클릭해서 선택한다.

9. 치트를 사용할때 참고 사항

게임에 따라 다르지만 다양한 치트를 제공하기도 하고 치트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보통 1개 이상의 치트만 제공하기도 하는데, 갤러그의 경우 아래와 같이 9가지의 치트를 제공한다.

주의할점은 게임을 시작하고 P 버튼을 1회 눌러서 게임을 일시 중지 시키고, 치트 실행.. 이후 P 버튼을 1회 눌러서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자.

치트 및 치트 옵션에 따라 게임 진행이 불가하거나 처음부터 다시 게임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게임진행중 일부 또는 전체 치트를 잠시 해제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겔러그 치트 설명 (주요 치트만 설명하고 나머지는 생략)

Infinite Lives : 댓수 무제한으로 활성화 (On) 시키면 무제한으로 늘어난다.

Invincibility : 무적상태로 활성화 시키면 공격당해도 죽지않는다. (게임에 따라 죽는 상황도 있음)

Select Starting Stage : 시작하고자 하는 판수 선택

Fast Shoot : 빠른 총알 발사

Aliens don't fire : 적이 총알을 쏘지 못하도록 한다.

Auto Fire :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총알 발사

과도한 치트는 게임의 재미를 억만배로 즐길 수 있으니 참고하고 즐겁게 게임을 즐겨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1. 16. 12:12

 

윈도우10 32bit를 64bit로 변경하는법

64를 깔았어야했는데 32를 깔았네요

64로 다시 깔수 있는방법 좀요

이 스레드는 잠겨 있습니다. 유용하게 투표할 수 있지만 이 스레드에 회신하거나 구독할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홍 님

윈도우 10 32bit 를 64bit로 변경하는 법에 대해 문의 주셨습니다.

윈도우 10 정품인증이 확인 된 상태라면 하위 버전에 상관없이 윈도우 10 64bit 를 클린 설치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무료 업그레이드 제안을 이용하여서 한번 장치를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자동 온라인 인증을 하게 되면, 무료 업그레이드 제안 기간 내, 혹은 그 이후라도 장치에서 업그레이드 했던 것과 같은 Windows 10 에디션으로 같은 장치에서 클린 설치(즉, 설치 미디어로 부팅하여 설치) 가 가능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게시글을 참조하여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

  • 업그레이드 이후 Windows 10 재설치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온라인으로 인증이 완료된 장치에서 Windows 10을 클린 설치를 하기 위해서

  1. 적절한 Windows 10 에디션에 맞는 설치 미디어를 USB 나 DVD 등으로 다운로드하고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2. Windows 10 설치 과정중 제품키를 입력하는 과정을 건너 뛸 수 있을 것입니다. Windows 10은 같은 장치에서 온라인으로 자동으로 인증이 될 것입니다. 미디어로 부팅하여서 setup을 실행한 경우에만 건너 뛰기 설정이 가능합니다.

Windows 10 설치 미디어 만들기

  1. 링크를 클릭하여 설치 파일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Download Tool Now (64-bit version)를 클릭합니다.
  3. MediaCreationToolx64.exe를 다운로드한 다음 실행합니다.
  4. 원하는 작업을 선택하십시오. 에서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5. 언어, 아키텍처 및 버전 선택에서 아래와 같이 선택합니다.

언어 : 한국어

버전 : Windows 10 Home K / Windows 10 Home KN / Windows 10 Pro K / Windows 10 Pro KN

아키텍처 : 32비트(x86) / 64비트(x64) / 모두

  1. 사용할 미디어 선택에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 ISO 파일 중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2. USB flash drive : 설치용 USB 메모리 제작을 원하는 경우 선택합니다. 단, 포맷 가능한 3GB/3GB/6GB 이상의 USB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ISO File : 설치용 디스크 이미지 파일 또는 설치용 DVD 디스크 제작을 원하는 경우 선택합니다.

  1. 작업이 완료되면 마침을 누릅니다.

추가적인 내용이 있다면 하단의 [응답] 버튼을 눌러 회신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응답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에 있는 답변으로 [표시] 버튼을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유사한 증상을 겪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포맷하지 않고 32비트 윈도우10을 64비트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컴퓨터 정보를 보니...

32비트 운영체제 64x 기반 프로세서 라고 되 있습니다.

램은 현재 2기가 밖에 안되어서 메모리 부족이 빈번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램 용량을 늘려 주려고 합니다.

구동하려는 프로그램이 32비트에서는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이게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구요.

다만 포맷은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윈도우만 64비트로 바꾸려고 합니다.

기존의 윈도우7에서 업그레이드로 윈도우10 32비트인 상태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반갑습니다. 님.

Windows 10 사용 중 32비트에서 64비트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문의하셨습니다.

포맷은 원하지 않으신다고 말씀하셨지만 안타깝게도 32비트에서 64비트로 변경은 설치 미디어를 통한 클린 설치만이 가능합니다.

클린 설치를 진행하시면 모든 데이터가 사라지니 사용 중인 PC의 중요한 개인 파일 등을 꼭 백업하신 후 진행하셔야 하겠습니다. 아래 방법에 따라 Windows 10 설치 미디어를 제작하신 후 재설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Windows 10 설치 미디어 제작 방법

  1. 링크를 클릭하여 설치 파일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MediaCreationTool.exe저장 후 실행합니다.
  3.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진행 절차에 따라 진행합니다.

 

- 참고 : 언어, 아키텍쳐 및 버전 선택 창에서 원하는 항목으로 선택 시 64비트로 선택하여 진행합니다. 만약 선택할 수가 없다면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을 체크 해제하시기 바랍니다.

 

Microsoft Community를 찾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인 내용이 있다면 [응답] 버튼을 눌러 회신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