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1. 24. 09:40

이재명은 옛날 소련의 공산 혁명을 일으킨 볼세비키 레닌과 같은 놈이다

 

오래된 노트북이나 PC라도

X64 기반 프로세서면 윈도우 11 설치 가능

 

오래된 컴퓨터들은 대부분 64비트 컴퓨터 인데, 간혹 64비트 컴퓨터 임에도 32비트 윈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관련 정보를 어찌 아는지 몰라서 64비트 컴터에 64비트 윈도를 쓰면서도 32비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64비트 컴터인데도 32비트 버전을 받아서 사용하는 이들

근본적으로 32비트 보다 64비트가 좀더 효율이 좋아서 같은 작업을 해도 좀더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윈도에서 내 컴터의 CPU또는 내가 사용중인 윈도가 32비트 인지 64비트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

키보드의 윈도 키와 Pause Break 키를 누르면 되는데

 

 

윈도키는 보통 컨트롤(Control,Ctrl) 키와 알트(Alt) 키 사이에 위치 위 그림과 같이 윈도 모양일수도 있고 Win이라고 써져 있거나 W라고만 써져있는 키보드도 있고 대부분의 키보드는 컨트롤, Alt키가 스페이스바를 기준 좌우에 하나씩 존재하고 윈도키도 좌우 컨트롤, Alt 키의 사이에 위치 이키를 누른채 Pause Break 를 누르면 되는데..

 

보통 데스크탑용 키보드는 F1~F12의 펑션키 옆쪽에 보면 위치 Pause 라고만 적혀 있기도 하고 가끔 p-break 나 break 라고만 적혀 있는 키보드가 있다만 대충 Page Up 버튼 위 Scroll Lock 옆, F12 의 우측 옆옆옆 .. 등으로 찾아 보면 되겠다. 윈도 키를 누른채로 이 Pause Break 를 누르거나 ..

노트북이거나 텐키리스 또는 매우 크기를 줄인 변태 키보드를 사용중 윈도키도 없고 Pause Break 키도 없다던지 하면

 

윈도아이콘(보통 시작버튼이라고 하지..)에 마우스 커서를 가지고 가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이렇게 팝업 메뉴가 뜨는데 이중에서 시스템(Y)를 선택하면

시스템 정보 창이 보야 할것은 노란 줄을 쳐둔 ‘시스템 종류’ 부분을 보면 되겠다.

표시되는 정보는 윈도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이 컴퓨터의 CPU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를 표시해

32비트 운영체제 라고 적혀있으면 사용중인 컴퓨터에 설치된 윈도가 32비트용 윈도라는 말이구 64비트 운영체제 라고 적혀 있으면 64비트용 운영체제라는 말

x86 기반 프로세서라고 적혀 있으면 32비트 CPU이고 x64 기반 프로세서라고 적혀 있으면 64비트 CPU

문제는 64비트 CPU에서는 32비트 OS를 설치 가능하지만 32비트 CPU에는 64비트 윈도를 설치할 순 없다.

x64기반 프로세서라 해도 만약 32비트 운영 체제가 설치된 거라면 해당 컴퓨터에서는 32비트용 프로그램들만 사용이 가능하다.

내 컴퓨터에서 32비트 64비트중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되는가는 시스템의 종류에서 64비트 운영체제 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64비트를 쓰면 되고 32비트 운영체제라고 쓰여 있으면 32비트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되겠다.

저가 시스템의 종류에서 x86, x64 가 아닌 ARM, ARM64 같이 쓰여 있고 프로세서가 Intel 이나 AMD가 아닌 Cortex 같은게 있으면 이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 쓰이는 ARM 기반의 모바일 프로세서로 만들어진 컴퓨터를 사용

ARM용 윈도의 경우 x86, x64 기반의 프로그램도 에뮬레이트 모드로 동작은 가능하다만 가능하면 ARM용으로 빌드된 프로그램을 찾아 쓰는게 좋긴 하겠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1. 5. 09:04

 

윈도우10 윈도우 11 시리얼키 (제품키, 정품키, CD-Key) 확인 방법

간혹 윈도우가 설치되어 오는 컴퓨터 또는 노트북에서 윈도우를 완전히 새로 설치하거나,

이미 있던 컴퓨터를 폐기하고 새로운 컴퓨터에 예전 윈도우로 인증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여러 명칭으로 불리죠, 제품키, 시리얼키, 씨디키, CD-Key, Product Key 등등 으로요.

 

윈도우 설치 시 정품키 (Product Key)를 입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노트북에 붙어있는 윈도우 정품키가 쓸려서 지워져있거나

컴퓨터에 자체적으로 깔려와서 시리얼키를 확인하지 못할 때가 있죠.

이럴 때 현재 실행중인 윈도우에서 기존 정품 인증키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없던 정품키가 생기는것이 아니라, 현재 정품 인증된 윈도우의 키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로그인 된 PC라도 들어가서 정품키를 확인(?)

1. 명령프롬프트 실행하기

[시작]버튼을 클릭한 뒤, 바로 키보드로 "cmd"를 입력해보세요.

검색 화면이 나오고 "명령 프롬프트" 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프롬프트 프로그램을 실행해 줍니다.

 

명령 프롬프트 실행 방법

2. 인증키 명령어 입력

명령어를 [복사]한 뒤, 명령 프롬프트 앱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여 [붙여넣기] 해주고 엔터키

3. 윈도우 시리얼키/인증키/씨디키/정품키/제품키 확인

아래 화면처럼 명령어를 입력한 뒤 엔터(실행)키를 눌러주면,

BackupProductKeyDefault REG_SX "시리얼키"

위와 같이 내용이 나옵니다.

25자리의 시리얼키를 확인한 뒤 복사하거나 직접 메모해 두면 됩니다.

 

명령 프롬프트로 윈도우 씨디키 찾는 방법

​단, 모든 경우에 이 방법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간혹 윈도우 인증 중에 이러한 씨디키 인증이 아닌 방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만약에 윈도우10을 바로 설치한 것이 아니라, 윈도우7이나 8에서 무료 업그레이드를 통해 진행됐다면 기존 인증키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새로 윈도우를 설치하실 때 제품키가 필요할 때 이 방법을 쓰면 편리합니다.

혹은, 아직은 새로운 윈도우 설치가 없으시더라도, 만일을 대비하여 미리 씨디키를 확인하고 적어두시는 것도 좋겠죠?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공식 제품 키

이제는 씨디키 CD-Key 라는 말도 옛날 용어가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