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26. 16:18

드라이버는 amd 공홈과 메인보드 제조사 공홈 중 어디에서 받나요?

현재 cpu는 amd 라이젠 7950 +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 모델을 사용중입니다

윈도우11 설치해서 윈도우에서 알아서 잡아 주는 드라이버를 사용중입니다

조립하고 설치한지 별 이상없이 작동하네요

그런데 칩셋드라이버, apu드라이버, 바이오스 업데이트 등을 해도 되고 안해도 되는데 하는게 더 낫다고 하더군요 찾아보니 apu는 amd공홈에만 라데온 소프트웨어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바이오스는 기가바이트 공홈에만 있는것 같구요

문제는 칩셋드라이버인데 이게 amd 공홈에도 있고, 기가바이트 공홈에도 있습니다

2가지가 같은건가요 다른건가요?

여기저기 찾아보니 amd 공홈에 있는걸 받는것이 더 낫다는 것 같은데 맞나요?

그리고 바이오스는 현재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데, 버전이 새로 나와있습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함부로 하지말라, 하다가 고장나거나 오류가 생길수도 있다고 합니다

라이젠이 초기에 블루스크린 같은 문제 때문에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꼭 해야한다고 했는데

현재는 초기문제는 거의 해결된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올려야 하나요? 아니면 남아있으면 되나요?

오랜만에 컴퓨터를 새로 샀는데 또 오랜만에 amd라서 모르는게 많네요

 

댓글: 6개 과거 순

제조사 홈피 칩셋 드라이버는 장점과 단점이 공존해요 장점은 그래픽드라이버 포함 패키지 형태이고 단점은 텀이 좀 길어서 암드공홈보다 대부분 구버전이라는거 ( 내장사운드나 RAID구성 랜드라이버 메모리 호환목록 유틸등등 이런게 있어서 제조사홈피를 가는거죠) 그러면 제조사 홈피 칩셋드라이버 설치시 불편한점을 자세하게 살펴볼게요 설치과정에서 칩셋포함 구버전 그래픽드라이버랑 같이 깔리게 됩니다 그러면 신버전 그래픽드라이버 있다면서 설치랑 새로설치 2가지가 뜹니다 새로설치가 권장이라 선택하게 되면 이게 설치과정중에 칩셋관련 암드전력옵션마저 삭제를 해버립니다 그러면 나중에 칩셋을 따로 다시 깔아야 됩니다 이게 뭔가요 바이오스 관련해서 특정한 전제조건이 없는한 어차피 암드공홈에도 다있죠 그냥 깔끔하게 암드 공홈 칩셋 따로 설치한후 그래픽드라이버 따로 설치 딱2가지만 깔면 중복이나 오류없이 편하게 설치완료가 됩니다 그리고 바이오스는 신버전 바이오스 업뎃하게 되면 문제생길수 있으니 어느정도 텀을두고 보류해도 되고 아니면 업뎃해서 문제없으면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문제 생기면 이전버전 바이오스로 리플래쉬 하면 됩니다 다만 벽돌현상 주의

보드 칩셋 LAN 바이오스 AMD 홈피 받는게 오류 덜합니다

받을수 있는건 다 amd 홈피에서 받으라는 말씀이신거죠? 감사합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바이오스는 현재 문제가 없어보이니 보류해야겠네요 드라이버는 amd 공홈에 칩셋드라이버가 최신이기에 amd 공홈이 더 낫고 그래픽 드라이버 따로 설치 하라는 말씀이신데 그래픽 드라이버가 amd 에 있는 라데온 소프트웨어 이거인가요? 이것말고는 amd에 따로 그래픽 드라이버 있진 않네요 네 맞아요 그게 그래픽드라이버 입니다 설치하시면 되요 제조사칩셋도 그래픽드라이버포함해서 신버전 막 나올때는 암드공홈이랑 같이 나와서 구버전이 아닌데 업뎃 주기가 암드공홈은 1년에 4번나오는식이면 제조사칩셋은 2번나오는식이라 중간에 설치하게되면 암드공홈이 제조사칩셋보다 더 최신버전인 셈이 많은거죠

아하 그렇군요! 질문이 많았는데 모두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25. 15:03

Windows 11 를 설치하는 동안 GSOD가 표시되는 경우 몇 가지 질문에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따라서 더 이상 고민하지 않고 Windows 11에서 그린 스크린을 제거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린 스크린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죽음의 그린 스크린은 BSOD(죽음의 블루 스크린)와 다르지 않습니다. 둘 다 PC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치명적인 오류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녹색 화면은 실제로 BSOD와 동일한 오류 코드를 표시합니다. 

Windows 11 그린 스크린 수정: 문제를 해결하는방법

Windows 11의 죽음의 그린 스크린은 임의적이지 않으므로 항상 이유가 있습니다. 따라서 그린 스크린 오류를 처리하기 전에 오류 코드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시도해야 할 몇 가지 일반적인 솔루션이 있습니다. 

참고: 많은 사용자가 Windows 10에서 11로 업그레이드하는 동안 죽음의 그린 스크린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Windows 10"이라는 이름으로 이러한 솔루션을 강조할 것입니다. Windows 10(설치 오류)과 Windows 11에 모두 적용 가능한 공통 솔루션은 "공통"으로 표시됩니다. 나머지 솔루션은 Windows 11 전용입니다. 

1. 비디오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오래된 비디오 드라이버는 PC에 많은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Windows 11을 설치하거나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최신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Nvidia 그래픽 카드가 있는 경우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AMD 그래픽 장치에 대한 클릭하십시오 . 

또는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온보드 드라이버, 구체적으로)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화면 왼쪽 하단의 '시작' 버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장치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또는 'Windows + R'을 눌러 실행을 불러오고 "devmgmt.msc" 로드 장치 관리자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어댑터' 섹션을 확장하고 그래픽 카드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이제 '내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찾아보기'를 선택합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내 컴퓨터의 사용 가능한 드라이버 목록에서 직접 선택'을 클릭하면 Windows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쉽게 찾아낼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클릭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드라이버가 즉시 설치됩니다. 

안전 모드에서 업데이트:

안전 모드에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습니다. 먼저 'Windows + R'을 눌러 실행을 불러온 다음 "msconfig"를 찾습니다.

그런 다음 '부팅' 탭으로 이동하여 '안전 부팅' 옵션을 켭니다. '최소' 부팅 옵션을 선택하고 PC를 다시 시작하여 안전 모드로 부팅합니다. 

2. 원치 않는 응용 프로그램 제거

사용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이 많으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고 귀중한 리소스가 고갈되며 Green Screen of Death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화면이 너무 자주 표시되는 경우 원치 않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거하고 다시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앱을 제거하려면 먼저 '설정'으로 이동하세요. 그런 다음 '앱'을 클릭합니다.

이제 '앱 및 기능'을 선택합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오른쪽 상단의 '점 3개' 메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클릭하고 '제거'를 선택합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23. 12:14

상당히 많은 유튜버들이 램오버를 하거나 비싼 XMP 모듈 램을 쓰면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는 것처럼 과장을 하고 뻥을 친다 하지만 제대로 분석을 한 자료를 보면 크게 영향이 없거나 아주 미미한 수준이었다고 한다

허수아비 유튜버가 분석한 자료가 가장 객관적

공연히 비싼 램 사지말고 차라리 그돈으로 더 좋은 그래픽카드에 투자하라는 조언이다

메모리 모듈의 CL 값이 낮을수록 성능이 좋나요? 주파수와 CL 값을 사용하여 메모리의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

메모리 성능을 이야기하면, 바로 ‘읽기 속도’나 ‘대기 시간’을 바로 생각나실 겁니다, 일반적으로 제품 설명서에 나와있는 규격은 '클럭 주파수'와 '타이밍'의 값으로 따로 계산을 해야 구해야 하는 것으로. 어떤 값이 더 중요하냐고 묻는다면 에디터는 다~~ 중요하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클럭 주파수: 초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횟수를 나타냅니다. 값이 클수록 초당 전송 횟수가 많고, 전송 효율이 높습니다.

타이밍: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새로운 행을 준비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합니다. 값이 적을수록 소요 시간이 짧아지고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모리의 성능은 하나의 값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클럭 주파수와 타이밍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타이밍은 CL40-40-40-80과 같이 4개의 값으로 표시됩니다, 타이밍은 순서대로: CAS 지연(CL), 행 주소 대 열 주소 지연 (tRCD), RAS 프리 차지(tRP) 및 메모리 대기 시간(tRAS)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은 CAS 지연으로, 즉, 자주 듣는 CL 값으로 다른 타이밍 값들은 대부분 프로 오버클럭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오늘은 CL 값과 클럭 주파수가 메모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CAS지연은 무엇인가요?

CAS지연의 영어는CAS latency로, CL값이라하며, 컴퓨터가 실제로 실행하기 전에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동일한 주파수의 두 메모리 모듈은 더 높은 CL 높을수록 지연 시간이 긴다는 뜻입니다.

주의해야할 만한 점은, CL 값의 숫자는 분이나 초의 시간 단위가 아니라 여러 클럭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메모리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공식에서 변수입니다. T-FORCE DELTA RGB DDR5로 예를 들면, DDR5-6000 CL38의 총 클록 사이클 수는 38입니다. DRAM 사양을 읽는 방법을 알려드리니, 계산기로 메모리 모듈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메모리 지연 시간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지연 시간의 단위는 ns로,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연 시간(ns) = CL값 x 클럭 주파수 시간(ns)

클럭 주파수 시간(ns) = 1000 ÷ (클럭 주파수MHz ÷ 2)

위의 공식으로,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립니다:

【예시 1】같은 클럭 주파수일때, 다른CL값이 지연 시간에 주는 영향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0과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8 두 개의 사양으로 비교하면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0

지연 시간(ns) = 30 x [1000 ÷ (6000 ÷ 2)] ≒ 9.99 ns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8

지연 시간(ns) = 38 x [1000 ÷ (6000 ÷ 2)] ≒ 12.66 ns

클럭 주파수가 같을 때, CL값이 낮을수록, 지연 시간이 짧고, 컴퓨터가 메모리 데이터를 읽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적어, 성능이 더 좋습니다.

【예시 2】같은 CL값에서, 다른 클럭 주파수가 지연 시간에 주는 영향

T-FORCE DELTA RGB DDR5-5600 CL40과 T-FORCE DELTA RGB DDR5-6400 CL40 두 개의 사양으로 비교하면

T-FORCE DELTA RGB DDR5-5600 CL40

延遲時間(ns) = 40 x [1000 ÷ (5600 ÷ 2)] ≒ 3.57 ns

T-FORCE DELTA RGB DDR5-6400 CL40

延遲時間(ns) = 40 x [1000 ÷ (6400 ÷ 2)] ≒ 3.13 ns

CL값이 같을 때, 클럭 주파수가 높은 수록, 지연시간이 짧아, 컴퓨터가 메모리 데이터를 읽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적어, 성능이 더 좋다는 뜻입니다.

※위 공식으로 계산 할 수 있는 지연 시간 이론값입니다※

 

  1. CL값이 낮을수록 더 좋나요?

앞에 복잡한 계산 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메모리 모듈의 CL값이 낮을수록 성능이 꼭 좋을까요? 에디터의 답은 ‘절대적의’ 답이 없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메모리의 성능도 클럭 주파수와 타이밍의 영향을 받으니, 메모리의 CL 값을 사용하여 메모리의 성능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1. 올바른 메모리를 어떻게 선택하나요?

메모리를 구입할 때 용량, 클럭 주파수 및 CL 값을 고려해야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메인보드 및 CPU와의 호환성입니다. 에디터는 메모리의 용량과 주파수를 먼저 결정하고, CL값을 결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메모리 모듈의 성능이 좋을수록 가격이 높아지고, 메모리 사양을 결정할 때 메인보드 또는 CPU와 호환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22. 17:16

요즘 메머리 값이 아무리 떵값이라도 효울 좋고 클럭이 높은 것은 여전히 비사다

다들 게임 프레임 좀 올려 보겠다고 오버클럭 장난치고 비싼 램 사들이고 하는데 다 소용없다

그냥 재미로 하고 여기 저기 오바질 성공 자랑질 하려면 알아서 하고..

실제로는 PC 성능이나 게임 프레임 등에 영향이 아주 미미하다는 것이다

비싼 돈들여 살 필요없고 공연히 애쓰지 말라는 것이다

어차피 꼼수는 꼼수로 끝난다

확실한건 역시 그래픽카드이다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부품이 사실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게이머들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컴퓨터 부품을 보라고 하면 CPU, 그래픽카드 아니면 RAM 이 세가지는 순서를 불문하고 TOP3 안에 들 것이다. RAM의 정식 명칭은 Random Access Memory이다. 컴퓨터 내에서는 주요 기억 장치로 구분된다. 가장 고속으로 동작하는 주 기억 장치는 CPU 내에 있는 캐쉬 메모리, 그 다음이 RAM이다.

RAM은 메모리 반도체로써, 고속으로 동작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CPU 내의 캐시 메모리의 역할과 상당히 겹치는 부분이 있다. 캐시 메모리를 늘리기에는 가격이 너무 비싸, 이 보다는 느리지만 그래도 빠른 편에 속하는 RAM이라는 물건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보조 기억 장치인 플래시 메모리와는 다르게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성능 하락이 거의 없다.

우리가 프로그램을 구동하였을 때, 작업에 필요하면서도 자주 사용하는 정보는 빠르게 불러오려면 보조 장치에서 필요할 때 마다 읽어오는 것 보다는 더욱 고속으로 동작하는 주 기억장치라는 물건에 정보를 임시로 적재해 두고, 여기서 가져오는 편이 다른 하드웨어와의 간섭도 적어지는 등 이점이 많다.

우리가 게임을 켜면, 로딩 화면을 보게 된다. 이 시간은 컴퓨터는 게임을 구성하는 파일들을 보조 기억장치에서 읽어들여 주 기억장치인 RAM에 임시 저장하는 시간이 대다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픽카드의 입장에서는 그래픽 전용 메모리에 정보를 미리 적재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렇듯 RAM의 속도는 전체적인 컴퓨터의 운용 효율성과 밀접한 연관을 맻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궁금증이 들만도 하다. 과연 게임을 플레이할 때 RAM의 속도에 따라 게임이 더 원활해 질까? 즉, 게임 내 프레임이 더 많아질까? 답을 말하자면 YES다. 램 카드의 속도가 빠를 수록 게임 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RAM 속도?

일반적으로 PC에서 사용하는 RAM은 DDR이라는 규격을 사용한다. DDR1 부터 시작하여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규격은 DDR4이며, 머지 않아 DDR5 규격의 소비자용 제품이 생산되며,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될 예정이다.

"RAM의 속도가 빠르다"를 통틀어 간단히 설명하면, 반도체 자체의 데이터를 적재하고 읽는 속도와 함께 RAM으로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속도 또한 높다고 보면 된다.

대다수의 컴퓨터 부품들의 규격이 그렇듯이, SDRAM 역시 국제 표준화 기관인 JEDEC(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의 규격에 맞게 생산된다. 보통 전송속도를 기준으로 제품의 전체적인 스펙을 구분하는데, DDR4기준 국제 표준 전송 속도는 12800~25600MB/s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보다 낮거나 높은 값은 비 표준화 속도이므로 메인보드 제조사나 메모리 제조사는 굳이 만들 필요가 없지만, 수요가 있다면 만드는건 역시 자유롭다.

메인보드가 지원한다면 이를 오버클럭하여 표준 속도보다 더 높게 설정하여 쓸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얼만큼 차이 날까?

tip: RAM 타이밍 테이블 용어

CR : Command Rate

tRFC : Row Refresh Cycle Timing.

tREF : REFresh Timing.

tRAS: Row Active Time:

tRP : Row Precharge Time

tRCD : Row Address to Column Address Delay

CL, CasL : Column access strobe Latency

3Dmark

똑같은 데모 영상을 똑같은 파이어스트라이크 기본 카테고리에서 벤치마크 하였다. 물리 점수는 오히려 떨어졌음에도 전체 점수는 조금 올랐다.

3Dmark 프로그램으로는 RAM속도로 인한 구체적인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조금이나마 다른 부품들과 연관성을 가지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RAM 속도, 차이가 아주 근소하게 있다

전체적인 대역폭 속도가 갈아 엎어지는 격인 DDR 시리즈 규격의 변화만큼 큰 차이는 느껴볼 수 없었다. 하지만 DDR4 라는 규격 내에서 차이는 미미하게나마 체감해 볼 수 있었다.

RAM속도가 게임 내에서는 적게는 5~ 많게는 10정도의 미미한 프레임 차이를 보여 주었다. 가장 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역시 그래픽카드가 좋아야 하고, 그 다음으로 CPU가 좋아야 한다. 물론 CCX 설계로 인한 패널티를 제대로 받고 있는 라이젠 CPU에서는 RAM속도의 차이 역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인텔 CPU에서는 본 것과 같이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아무튼 조금은 차이 난다.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고, 그렇다고 그래픽카드를 바꾸는 만큼 상당히 차이가 난다고 보기도 애매한 정도이지 않을까 싶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20. 12:35

램 오버 땡기고 tm5 돌리다가 꺼진 후 맛이 갔습니다.

전원(팬 전부 돌아감)은 들어오는데 모니터가 검은화면이라 바이오스 진입이 안되네요.

메인보드 q-code는 A2 코드입니다.

찾아보니 A2 코드는 ide 감지, 부팅 부품 문제라고 하네요.

사양

10850k

asus z490 apex

지스킬 3200 cl14

rtx3070

fsp 750w

 

조치사항

1. 램 및 글카 탈착 후 지우개로 문대고 다시 꼽기

2. 보드 백 판넬에 cmos 초기화

3. 전원선, 전지, 메인보드 전원 탈거 2시간 후 장착 등등

바이오스 초기화(플래시백)만 아직 안해봤어요..

비슷한 경험 있으셨던 분 계실까요??? 골머리가 아픕니다...ㅜㅜ

램을 하나만 꼽고 부팅해보세요 !!!

(2개중 한개 해보고 안되면 다른 한개로 시도)

부팅되면 2개 전부꼽고..

제경우엔 바이오스 날라간 경우 한번 말고는

이렇게 해결합니다. 램오버하다가 가끔 일어나는 일이라..

이래도 안되면 음 .. 보드부터 AS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근데 오버하다가 as 자주 가나요??ㅜㅜ

사실 일주일 전에도 오버하다가 메인보드 한개 작살내서 as 보낸 상태거든요..

세부 전압은 안 건드리고 기본 전압만 1.58v 박았는데 가버리네요. 원래 1.65v도 버티던 놈이라 한 건데 이상합니다...ㅜ

그냥 간단하게 생각하고 반복합니다.

램오버 TM5 실패 할때마다

CMD 관리자실행

sfc /scannow

돌리고 이상없으면 다시 램세팅 조정하고 안정화 시도

돌리고 뭐 어쩌고 저쩌고 복구했다 하면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돌리고 재부팅

돌리고 뭐 어쩌고 저쩌고 복구안되었다 하면

cmos 초기화

그리고 자동으로 꺼지거나 초기화 후에

검은화면만 뜨면

램 하나만 꼽아봅니다.. 거의 해결됨..

방금 슬롯 바꿔 가면서 해봤는데 안되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어징간하면 플래시백으로 고쳐지겠죠??

램 둘 다 빼고 부팅 후 둘 중 한 녀석 번갈아가며 한 슬롯만 끼워보세요 ㅎ이 단계에서 거진 돌아올겁니다

두개 다 탈거하고 부팅해본 후 램 하나로 슬롯 바꿔가며 장착, 이것도 동일 증상이네요...ㅜ 조언 감사합니다.

보드가 갔거나 램이 맛이간거 아니신가 싶네요

램은 3세트 있어서 테스트해봤는데.. 똑같은 증상인 거 보니 보드가 맛이 간 것 같습니다.

as 오래 걸릴 것 같은데 걱정이네요.

컴터 종료 후 리셋 버튼 수 차례 눌러서

완전 방전 시킨 다음에 다시 켜보세요

tm5 몇 번 돌렷다고 마탱이 갈 보드는 아닌거 같습니다...ㅠ

전원차단하고..보드에 바이오스 리셋버튼 있으면 여러번 눌러서 해보세요.

저도 오버클럭하다가 전압값 찾기 실패로 모니터 검은화면만 나오고 바이오스 진입안되는 경우와 바이오스 진입은 되도 윈도우 진입이 안되고 먹통되는 경우 다 겪어봤습니다

결론: 교차테스트 해 본 결과 cpu가 작살난 사안입니다.

cpu의 pci-e레인(?)을 관장하는 쪽이 맛이 가서 모니터가 안 뜬 것이었네요.

향후 비슷한 사례가 있어 검색하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19. 15:38

실패 안되면 부팅 안됨 화면만 껌뻑거림..

발열 심하면 수명 팍~ 줄어듬

 

삼성 메모리 DDR4-25600 8GB x2 E다이 램 3600MHz 램오버


눈팅 공부하면서 램오버 시도

관심 있으면 한번 해도 좋을 듯 ~

1. CPU : 5600X

2. M/B : Asrock B550M Pro 4

3. RAM : 삼성 DDR4-25600 (3200MHz) 8GB x 2 (e다이)

4. 램타이밍(CL-RCD-RP-RAS-RC) 및 전압

: 18-22-22-22-44, 1.30v

※ 램 오버 전 메인보드 바이오스 최신 업데이트 필수

E다이인데도 위 타이밍이 에러없이 무난하게 잘 들어가네

더 조여볼까도 생각해봤는데 전문가도 아니기에 이 정도로의 램오버

혹 램 오버 안들어가믄 전압을 1.45v 까지 극한으로 올려도 될까 ?

방열판이 없어서 가능한 전압을 낮춰서 램오버를 진행하려 했지

그럼 만족스러운 성능 뽑아내길 바라~!

근데 저러다 뒈지면 누구 책임 ?

일단 국민 오버값이라도 들어가겠지 하면서 cl16 을 입력했지만 부팅도 안되는(..) 그래서 cl 18 20 40 으로 해봤더니 tm5 오류없이 잘 돌아가고 게임도 잘 돌려..

세부램타이밍도 조여야 하지만.. 일단 이정도선에서 끝내고..

아 참 전압은 1.45볼트로 했다. 방열판과 램쿨링이 있으면 더 좋았겠지만 그래도 일반 사용자가 하는 선에서는 이정도가 마지노선..왜 c다이도 아니라 e다이가 걸린것인지

시금치램은 1.4까지도 괜찮습니다.

1. 보급형 z보드라 하더라도 3200MHz에는 충분히 버틸수 있으니 너무 걱정않으셔도 됩니다.

2. 램오버 안정화가 시퓨오버보다 시간적으로 많이 걸립니다. 지금이야 시금치 국민램타가 있으니 하기쉽다는거지 램오버 타이밍을 직접찾으려면 cpu 오버따위는 비할바가 못될정도입니다. 추후에 램오버 실패로 인한 문제들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무한부팅, 간혈적 프리징, 블스 등등 이것은 모두 램오버 실패시 입니다. 너무 걱정할필요는 없습니다.

3. 당연히 많은 차이가 납니다. 본인의 그래픽카드 성능이 좋으면 좋을수록 많은 프레임 차이를 낼겁니다.

평균 프레임 방어도 좋지만 갑작스럼 프레임 다운현상이 거의 없어집니다. 배그같은 게임을 하시기위함이라면

무조건 램오버를 진행해야한다 생각합니다. 시퓨오버보다 중요합니다.

시금치 국민램타

3200MHz

16-18-36-2t-530 1.35 (1.38까지 들어갈수있음)

위 램타는 인텔에서 99%는 들어가는 램타라고 보면 됩니다. 저기서 tRFC를 다이어트 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