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4. 8. 15:00

미성년 학생들 수십차례 성폭행한 50대 원장…"합의 성관계" 주장

 
 
1 대 1 수업 시간 노려 학원서 추행
자신 집이나 농장 데려가 범행하기도
추가 피해 학원생 포함 1900차례 만져
 
학원을 운영하며 미성년 학원생들을 수십여 차례 성폭행한 학원장이 첫 재판에서 "합의된 성관계'라고 주장했다.
대전지법 천안지원은 15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 된 학원장 A씨(59)에 대판 첫 공판을 진행했다.
충남 천안에서 학원을 운영하던 A씨는 2010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 11년에 걸쳐 학원에 다니는 자매 2명을 성폭행하고 또 다른 학원생 2명을 강제 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과 피해 학생의 부모 등에 따르면 A씨는 학원생들의 신체를 1900여차례에 걸쳐 만졌고, 수십차례에 걸쳐 성폭행했다.
그는 2010년 4월 수업 중이던 B양(당시 9세)의 신체를 만지는 것을 시작으로 범행을 이어갔다. B양이 14살이 된 2014년부터는 여러 차례 성폭행했고, 추행과 성폭행은 강의실과 원장실을 오가며 계속됐다.
A씨는 또 2014년부터 이 학원에 다니기 시작한 B양의 동생 C양에게도 마수를 뻗쳤다.
그는 2015년부터 C양(당시 10세)을 강제 추행했고, 2019년 C양이 14살이 되자 강의실 등에서 성폭행하기 시작해 2020년까지 50여 차례에 걸쳐 범행했다.
A씨는 주로 학생들과 1 대 1 수업 시간을 노렸다. 범행이 지속되자 자신의 집이나 농장 등으로 데려가 범행을 저지르기도 했고, 이 학원에 다니던 또 다른 여학생 2명도 강제 추행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 학생들의 부모가 뒤늦게 피해 사실을 알게 되면서 경찰에 고소했고, A씨는 지난 4월 구속됐다.
이날 재판에서 A씨 측 변호인은 "신체 일부를 쓰다듬거나 마사지를 해준 적은 있지만 수업 중 격려를 위한 차원이지 추행의 목적이 아니었다"면서 "여러 차례 성관계를 가진 것은 맞지만 합의 하에 이뤄진 것으로 위력에 의한 강제성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합의'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재판부가 "(학생들에게) 구두로 허락받았다는 얘기냐"고 묻자, 변호인은 "그렇다"고 대답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4. 7. 12:29

비싼 SSD 안사도 된다

저렴한 하드디스크 HDD를 여러개 사서 한개로 묶으면 성능은 n배가 된다

가령 SATA3 SSD 2TB는 가격이 20만원이 넘는데 속도는 450 ~ 500MB 정도이다

반면 하드디스크는 절반 가격으로 RAID 0 설정하여 비슷한 속도 구현이 가능하다

 

HDD 의 경우 RAID 0 를 구성하면 속도 차이가 확연히 발생한다. SATA SSD 의 경우는 속도의 차이가 감소하며, NVME SSD는 실사용에서 체감되는 속도 차이는 없는 수준이다. 당장 SATA SSD와 NVME SSD만 놓고 비교하더라도 대체적으로 비디오작업 등 메모리에 올려놓기 힘든 대용량 파일 편집에서나 약간 차이가 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게임 벤치마크 등을 봐도 SATA로는 17초에 로딩될게 NVME로는 16초에 로딩되는 정도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SSD 가 고속화 됨에 따라 CPU, 메모리등 다른 쪽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해서 SSD RAID 에 따른 이득이 줄어 들기 때문이다.

RAID 0의 경우 얻는 속도 이득에 비해서, 큰 단점이 존재하는데, 디스크 전체에 데이터를 나눠 저장하므로 하나의 디스크만 망가져도 전체 어레이가 날아간다. 2023년 현재 HDD는 대용량 데이터의 장기보관 용도로 쓰이고 있으므로 디스크 하나가 망가지면 데이터 전체가 날아간다는 약점은 매우 큰 문제다.

개인이 RAID를 고려할 때에는 남는 저장장치를 활용하고 싶은데 여러개의 드라이브에 나눠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싫어서 하나의 논리 드라이브로 묶어서 편하게 관리하려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 경우에는 JBOD나 RAID 5, RAID 6 정도를 활용해볼 수 있다.

. RAID 0 Striping, 스트라이프[Windows]

여러 개의 멤버 하드디스크를 병렬로 배치하여 거대한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한다. 데이터 입출력이 각 멤버 디스크에 공평하게 분배되며, 디스크의 수가 N개라면 입출력 속도 및 저장 공간은 이론상 N배가 된다. 다만 멤버 디스크 중 하나만 손상 또는 분실되어도 전체 데이터가 파손되며, 오류검출 기능이 없어 멤버 디스크를 늘릴수록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착된 하드디스크의 개수가 RAID-5 구성 조건에 충족되지 않는 등의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절대로 RAID 0으로 구성하지 않는 걸 추천한다.

이미지 프로세싱, 데이터베이스 캐시 등 빠른 입출력 성능을 필요로 하며, 데이터 손실이 문제되지 않는 환경에서 쓰일 수 있지만, 상용 환경에서는 위험성 문제로 RAID 5나 6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 때문에 고성능을 경험하고 싶은 파워유저가 구축해 보는 경우가 많다. SSD를 단독 사용하기에는 용량이 많이 부족하니, 여러 개를 묶어서 초고속 저장 장치를 구축하는 것. 이런 점을 간파하고 노트북 제조 업체에서 공식적으로 RAID0 기술을 구현한 최초의 사례로는 소니의 노트북 브랜드인 VAIO이다. VGN-Z 라인업의 고급형 모델에 한시적으로 탑재한 적이 있었으며, 이 라인업의 후속작인 프리미엄 모델 Z 시리즈 VPCZ1부터 본격적으로 적용했다.

NVMe SSD 8개를 한 개의 볼륨으로 묶은 사례도 있다. 속도는 27.7 GiB/s(28375 MiB/s)가 나온다고 한다.

RAID 0뿐만 아니라 모든 RAID 볼륨은 기록 시 한 디스크에 한번에 기록할 데이터 크기인 Stripe size를 지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에 따라 다르지만 Intel RST에서는 4~128KB를 지원한다. Stripe size가 4KB이고 멤버 디스크가 4개라면 16KB짜리 파일을 기록할 때 디스크당 4KB씩 돌아가면서 한 번씩 기록한다. Stripe size가 128KB이고 멤버 디스크가 2개, 기록할 파일이 2MB(2048KB)라면, 첫 번째 디스크에 128KB, 두 번째 디스크에 128KB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디스크당 8번씩 반복한다. SSD에서는 128KB 이상이 추천되며, 하드디스크라면 32KB 정도가 추천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내는 Stripe size가 다르므로 하나하나 적용해 보는 것이 좋다.

개인용으로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 A, B, C, ...의 디스크를 RAID 0으로 묶었을 때의 속도는 min(A, B, C, ...) * (묶은 숫자) - (오버헤드 감소분)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가장 낮은 속도로 하향 평준화가 된다는 뜻인데, 연속 파일 입출력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입출력 속도가 뛰어나서 오버헤드 감소분이 크게 체감이 안 되지만 4k 파일 입출력의 경우에는 RAID 0으로 묶어도 입출력 속도가 크게 차이가 안 나거나 더 떨어지는 경우도 상당부분 존재한다. 따라서 성능 향상용으로 RAID를 구성할 경우 벤치마크를 돌려 성능을 확실히 확인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 좋다. 4K가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게이밍에 있어서는 SSD의 RAID 0로 얻을 수 있는 성능 이득이 거의 없다. 오히려 게임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게임의 맵에 이정표를 찍어 이동하는 경우 새로 도착할 맵의 데이터를 대량으로 읽어야 하는데, 게임 엔진에 따라 게임을 RAID 0 SSD에 설치한 경우 새로운 맵에 진입한 직후에 프레임이 크게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4. 3. 16:47

“한국도 리튬 강국 될 수 있다”… 광산 6곳 찾았다

하지만 당장은 캐지 않는다 

수입이 더 싸고 환경 파괴를 안하니까..

중공이나 소련 놈들이 자원 무기화하고 안팔때 그때 캐먹는다

한국이 핵무장하면 외쿡넘들이 핵물질을 안판다

그때는 한국 국내 우라늄을 캐서 핵폭탄을 만들면 된다

 

지질연 “올해 안에 매장량 평가 끝”

폐배터리 광물 회수율 95.8% 성과도

우리나라에서 리튬을 채굴할 수 있는 광산들이 발견됐다. 리튬은 2차전지의 핵심 광물이다. 정부 연구기관은 올해 안으로 매장량을 파악하기로 했다. 이평구 지질연구원장은 “우리도 리튬 강국이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이 원장은 11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우리나라 광산을 뒤져보니 리튬을 6곳 정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대표적인 곳은 울진”이라며 “올해 안에 매장량 평가가 끝난다”고 밝혔다.

다만 이 원장은 정확한 광산의 위치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지금 시점에서는 어떤 광산인지 밝히기 어렵다”는 게 이 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광산 탐사뿐 아니라 리튬 하이드록사이드(수산화리튬)와 리튬 카보네이트 같은 2차 가공 산물로 만드는 기술도 이미 확보했다”고 했다.

지질연구원(지질연)은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리튬 확보 기술도 개발했다. 이 원장은 “우리 연구원이 재활용 연구 사업단을 만들어 1000억 규모의 연구를 10년간 수행해 왔다”며 폐배터리에서 리튬 등 광물 회수율을 95.8%까지 끌어올린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이 원장은 “전기차가 서울에 많이 돌아다닌다. 10년 내지 20년 뒤에는 엄청난 양의 폐배터리들이 전부 쏟아져 나올 것”이라며 “리튬 자원 빈국에서 부국으로 이렇게 바뀌는 시점이 다가올 것이라고 생각하며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질연은 한국의 첫 달 궤도선 ‘다누리’호에 감마선 분광기를 탑재한 기관이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지금 계속 신호가 오고 있다”며 “(달에서) 물과 자원이 분포하는 지역을 분포도로 작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50년에는 지구뿐 아니라 달과 화성에서도 연구하는 연구원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지질연은 미 항공우주국(NASA) 산하 랭리연구센터와 협력해 달의 흙 입자의 전하를 모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구를 시도할 계획이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4. 2. 15:00

컴퓨터 직접 조립 비용

결론은 다나와 최저가보다 50만원 ~70만원 가량 더 저렴하게 구입 가능

다나와 조립 완성 PC 사면 바보 호구 흑우 

 

대략 아래 들어간 비용 종합해 보면 부품값 68만원 정도 들었다

 

이정도로 다나와 조립 PC 견적 뽑아보면 적게는 100만원에서 어떤 미친놈은 170만원 부르는 넘도 있다

한마디로 미친거지..

CPU

라이젠 5600X

미친 성능가격도 떨어져 거의 떵값 찬스

208,000원 구매

​​

메인보드

ASrock B550M-PRO

외부에서 USB로 쉽게 드라이버 업데이트 기능

(이런 기능이 없는 제품은 3000번대 이하 제품)

가격 105000원 주고 구입

RAM

8GB 3200 * 2개 램값도 지금 떵값

공연히 XMP 나 CL값 낮은 비싼 램 사면 바보 개 호구..

제품 구매 개당 2만원 = 4만원

그래픽카드

지금 시점에 그래픽카드에 돈들이는 것도 개호구이지..싼거 사라고.. 

RTX 6600 채굴 중고로 구매 20만원 상태 좋은 존나 좋은 거

​​

​SSD

​윈도우에 이정도면 떡을 친다

M.2 NWMe SSD 250G 삼성 PM9A1 2만 5천원

​​

그 외

-쿨러 0원 기본 쿨러로도 성능 넘친다 이런데 돈쓰면 넌 병신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650W 80PLUS Bronze 230v 46500원

​-케이스 3RSYS 46000원

​​

조립도 유튜브에 '컴퓨터 조립'이라고 치거나 '컴퓨터 조립 배선'컴퓨터 선 정리' 등으로 검색

다양하고 자세한 영상들이 많다

처음 조립해보는 사람도 어렵지 않게 조립할 수가 있다

똥손인 너도 충분히 할 수가 있다

​​

라이젠 5600X 조립 컴퓨터 평가

모으고 만드는데 시간 걸렸지만 저렴하게 조립했기에 만족도가 높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30. 14:28

라데온 카드를 비웃는 엔비디아 새끼들..

라데온 쓰다가 피봤다는 애들 많다

음,,대부분 무식한 넘들이거나 컴린이거나..

 

그래 간혹 다른거 쓰다가 라데온 넘어와서 설치하면 좀 어려운건 인정해..

하지만 첨 윈도 설치할때 드라이버 같이 깔아주면 해결 돼지..

 

아니면 윈도 싹 밀어 버리고 재설치하면 돼지..

 

돼지같은 것들이 그냥 게을러 빠져서 안지우고 어찌해보려다 안되니까 개지랄하는 거임

그리고 여기저기 게시판에 낙서질 하고 댕겨..

라데온 나뻐 쓰레기야 하면서..

 

3060ti 가격이 얼마야 ? 쌔거 60만원 중고 30만원대

6600xt는 쌔거 40만원 중고 20만원대 

 

그런데 게임 속도는 ?

대략 10% 정도 차이 ?

돈 많으면 그래 ..엔비디아 사라..

근데 돈이 쩜 거시기 하면 ?

알아서 해라 염병할~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3. 3. 30. 14:16

램 오버하면 게임 성능 어때 ?

별로 영향 없슴

엄청 좋아 진다는 넘들 대부분 사기임..

뭐~ 그냥 싼 램 사서 재미로 오버하는건 OK

그런데 비싼 램 사는건 바보 호구나 하는 짓..

 

게임 속도는 역시 그래픽카드가 관건임 차라리 비싼 램 살돈으로 그래픽 업그레이드해라

 

 

메모리 모듈의 CL 값이 낮을수록 성능이 좋은가?

주파수와 CL 값을 사용하여 메모리의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다

메모리 성능을 이야기하면, ‘읽기 속도’나 ‘대기 시간’이 바로 생각나다, 일반적으로 제품 설명서에 나와있는 규격은 '클럭 주파수'와 '타이밍'의 값으로 따로 계산을 구해야 하는 것으로. 어떤 값이 더 중요하냐고 묻는다면 다~~ 중요하다고 대답할 것다

클럭 주파수: 초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횟수를 나타냅니다. 값이 클수록 초당 전송 횟수가 많고, 전송 효율이 높습니다.

타이밍: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새로운 행을 준비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합니다. 값이 적을수록 소요 시간이 짧아지고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모리의 성능은 하나의 값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클럭 주파수와 타이밍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타이밍은 CL40-40-40-80과 같이 4개의 값으로 표시됩니다, 타이밍은 순서대로: CAS 지연(CL), 행 주소 대 열 주소 지연 (tRCD), RAS 프리 차지(tRP) 및 메모리 대기 시간(tRAS)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은 CAS 지연으로, 즉, 자주 듣는 CL 값으로 다른 타이밍 값들은 대부분 프로 오버클럭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오늘은 CL 값과 클럭 주파수가 메모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CAS지연은 무엇인가?

CAS지연의 영어는CAS latency로, CL값이라하며, 컴퓨터가 실제로 실행하기 전에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동일한 주파수의 두 메모리 모듈은 더 높은 CL 높을수록 지연 시간이 긴다는 뜻입니다.

주의해야할 만한 점은, CL 값의 숫자는 분이나 초의 시간 단위가 아니라 여러 클럭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메모리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공식에서 변수입니다. T-FORCE DELTA RGB DDR5로 예를 들면, DDR5-6000 CL38의 총 클록 사이클 수는 38입니다. 여기까지만 해도 뇌 부하가 넘쳐났나요? 걱정마세요, 에디터가DRAM 사양을 읽는 방법을 알려드리니, 계산기로 메모리 모듈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지연 시간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지연 시간의 단위는 ns로,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연 시간(ns) = CL값 x 클럭 주파수 시간(ns)

클럭 주파수 시간(ns) = 1000 ÷ (클럭 주파수MHz ÷ 2)

위의 공식으로,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립니다:

【예시 1】같은 클럭 주파수일때, 다른CL값이 지연 시간에 주는 영향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0과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8 두 개의 사양으로 비교하면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0

지연 시간(ns) = 30 x [1000 ÷ (6000 ÷ 2)] ≒ 9.99 ns

T-FORCE DELTA RGB DDR5-6000 CL38

지연 시간(ns) = 38 x [1000 ÷ (6000 ÷ 2)] ≒ 12.66 ns

클럭 주파수가 같을 때, CL값이 낮을수록, 지연 시간이 짧고, 컴퓨터가 메모리 데이터를 읽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적어, 성능이 더 좋습니다.

【예시 2】같은 CL값에서, 다른 클럭 주파수가 지연 시간에 주는 영향

T-FORCE DELTA RGB DDR5-5600 CL40과 T-FORCE DELTA RGB DDR5-6400 CL40 두 개의 사양으로 비교하면

T-FORCE DELTA RGB DDR5-5600 CL40

延遲時間(ns) = 40 x [1000 ÷ (5600 ÷ 2)] ≒ 3.57 ns

T-FORCE DELTA RGB DDR5-6400 CL40

延遲時間(ns) = 40 x [1000 ÷ (6400 ÷ 2)] ≒ 3.13 ns

CL값이 같을 때, 클럭 주파수가 높은 수록, 지연시간이 짧아, 컴퓨터가 메모리 데이터를 읽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적어, 성능이 더 좋다는 뜻입니다.

※위 공식으로 계산 할 수 있는 지연 시간 이론값입니다※

CL값이 낮을수록 더 좋나요?

앞에 복잡한 계산 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메모리 모듈의 CL값이 낮을수록 성능이 꼭 좋을까요? 에디터의 답은 ‘절대적의’ 답이 없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메모리의 성능도 클럭 주파수와 타이밍의 영향을 받으니, 메모리의 CL 값을 사용하여 메모리의 성능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올바른 메모리를 어떻게 선택하나요?

메모리를 구입할 때 용량, 클럭 주파수 및 CL 값을 고려해야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메인보드 및 CPU와의 호환성입니다. 에디터는 메모리의 용량과 주파수를 먼저 결정하고, CL값을 결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메모리 모듈의 성능이 좋을수록 가격이 높아지고, 메모리 사양을 결정할 때 메인보드 또는 CPU와 호환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