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10. 15:30

 

프리미어 프로의 인코딩 능력 ?

엄청 비싼 유료 프로그램 임에도 인코딩 품질은 정말 쓰레기 수준으로 처참함

다양한 처리 옵션들이 있긴 하더라만 인코딩 후에 용량이 엄청나게 늘어나기만 하고 영상 품질은 정말 별로임

인터넷 상에 무료 어플 프로그램들이 널려 있으니 다양하게 사용해 보면서 본인의 입맛에 가장 알맞게 부합되는 것을 찾아 보길 추천한다

 

GPU 하드웨어 가속 인코딩

이것 제대로 맛을 보면 헤어 나오지 못한다

이것은 정말 신세계이다

CPU 만을 100%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인코딩은 웬만한 동영상 하나 하는데 30분에서 1시간까지 걸리지만 GPU를 활용하면 3분에서 5분 정도 소요되고 파일에 따라 1분만에도 인코딩이 가능하다

내장 그래픽도 가증하다던데 이건 안해봤다 아니 못해봤다

근데 사용 중인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정말 물건이다

비싼 엠당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바가지쓰고 사서 성불하고 좋다는 호구들은 외화 낭비하고 부모 처자식 등골이나 빼먹는 개호구 등신들 아닌가

 

영상 압축율

AVI나 mkv 등의 H264 코덱의 경우 H265로 압축할 경우 1.5GB 짜리 동영상 500 MB 정도로 거의 3분의 1 정도 용량으로 줄어든다

 

화질 차이점

용량이 3분의 1로 줄었음에도 화질 차이 별로 없다

개인 견해이지만 예민한 사람들 눈에는 좀 다를지도..

 

무료 인코딩 프로그램들

A's Video Converter(무료): 속도를 중점으로 둔 인코더

Mencoder (무료, 오픈소스) MPlayer에 포함되어 있고 수많은 인코더에서 활용하고 있다.

MeGUI - (무료, Mencoder 프론트엔드): 인코딩을 전문적으로 한다면 꼭 배워야 할 프로그램.

Hybrid(무료, FFmpeg 프론트엔드): MeGUI와 기반이 되는 프론트엔드는 다르지만 기능은 비슷하다.

IRIVER PLUS(무료, 아이리버)

KIES(무료, 삼성전자)

곰인코더(유료, 그래택):현재 서비스 종료됨.

바닥(무료, Mencoder 프론트엔드): 키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2009년경에 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샤나인코더(무료, 부분오픈소스): 키라라 인코더의 후신. 커뮤니티도 있으며 최신 QnA가 하단 표시줄에 등장한다. 팟인코더가 지원중단되고 카카오인코더가 맬웨어 삽입으로 타락한 이후 국산 프리웨어 인코더계의 얼마 안되는 보루이다.

엔젤인코더(무료)

제트오디오VX (무료 혹은 유료, 코원)

카카오인코더: Kakao가 아니라 Cacao다.

다음팟인코더(무료, 다음): 현재 서비스 종료됨.

미디어 코더(무료)

파워디렉터

Staxrip(무료, 오픈소스) : 최신 코덱을 가장 빠르게 지원

 

Encoder에서 모든 영상 포맷 변환

변환 기능이 있는 다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달리, Encoder는 본래 푸티지를 다양한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고 내보내는 용도로만 고안되었습니다. 대용량 영상 파일 크기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고급 앱이지만, 변환하는 동안 다른 앱에서 편집할 수 있는 경량의 프로그램이기도 합니다. 폴더 구성 시스템과 사전 설정 지정 및 일괄 변환 기능을 갖춘 Encoder는 모든 인코딩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유용한 툴입니다.

 

 

Encoder를 사용하여 영상을 변환하는 방법


1. 파일을 선택하거나 렌더링 대기열의 왼쪽 상단에 있는 더하기 “+” 버튼을 누릅니다.

2. 파일을 선택하고 대기열에 추가합니다.

3. 내보내기 사전 설정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정의 설정을 선택합니다.

4. 출력 파일을 클릭하여 출력 위치를 설정하고 파일 이름을 변경합니다.

5. 시작을 누릅니다.


영상 변환

파일에서 내보내기를 클릭한 다음 미디어를 선택합니다. 또는 Ctrl+M(Windows)이나 Command+M(macOS)을 누릅니다. 그러면 형식 및 변환 사전 설정을 선택할 수 있는 내보내기 대화 상자로 이동합니다. 비트 전송률부터 프레임 속도와 이미지 처리 효과(예: LUT, 시간 코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정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선택했다면 대기열을 누릅니다. 그러면 Encoder가 열리고 별도의 창에서 영상 내보내기가 시작됩니다. 파일을 대기열에 추가하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가속 활용하기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는 강력한 성능과 기능을 자랑하지만, 영상 편집 작업은 시스템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이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하드웨어 가속(Hardware Acceleration) 기술을 활용하면, 편집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활용하여 영상 렌더링, 인코딩, 디코딩 등의 작업을 훨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장점과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하드웨어 가속이란?

하드웨어 가속이란 CPU(중앙 처리 장치) 외에 GPU(그래픽 처리 장치)나 다른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하여 특정 작업을 처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CPU는 일반적으로 모든 계산 작업을 처리하는데, GPU는 병렬 처리에 특화되어 있어 영상 렌더링, 인코딩 및 디코딩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GPU를 이용한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여 영상 작업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하드웨어 가속의 장점

하드웨어 가속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1) 렌더링 속도 향상

하드웨어 가속은 영상 렌더링 과정에서 CPU와 GPU를 동시에 활용하여 렌더링 속도를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고해상도 영상(4K, 8K)에서 그 차이가 더 두드러지며, 비디오 편집 작업을 할 때 기다리는 시간이 대폭 줄어듭니다.

2) 인코딩 및 디코딩 속도 개선

비디오 파일을 내보낼 때, 다양한 코덱으로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면 이 작업을 GPU가 처리하여 인코딩 및 디코딩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264, HEVC (H.265) 같은 고효율 비디오 코덱을 다룰 때 GPU를 활용하면 파일 변환 시간이 단축됩니다.

3) 편집 작업 효율성 증대

GPU는 복잡한 비디오 효과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활성화하면 프리뷰 속도도 개선되어, 편집 중에 지연 시간이 줄어듭니다. 효과나 전환을 적용할 때 보다 빠르고 원활한 실시간 미리보기가 가능합니다.

 

3. 하드웨어 가속 활성화하기

하드웨어 가속을 활용하려면, 사용 중인 컴퓨터의 GPU가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설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1) 시스템 요구 사항 확인

하드웨어 가속을 위해 NVIDIA, AMD 등의 그래픽 카드와 CUDA, OpenCL, Metal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요구합니다. 대부분의 최신 GPU는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지만, 시스템 요구 사항을 확인하고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하드웨어 가속 설정 방법

프로를 실행하고, 편집(Edit) 메뉴에서 환경설정(Preferences)을 선택합니다. 미디어(Media) 탭을 클릭하고, 하드웨어 가속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CUDA: NVIDIA GPU가 있는 시스템에서 활성화.

OpenCL: AMD GPU가 있는 시스템에서 활성화.

Metal: Mac 시스템에서 활성화.

렌더링 설정에서 하드웨어 가속 렌더링(Hardware-Accelerated Rendering)을 선택합니다. 이 설정을 통해 GPU를 활용하여 렌더링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내보내기 시 하드웨어 가속 인코딩 옵션을 선택합니다. 이를 통해 H.264 또는 HEVC 코덱을 사용할 때 GPU를 이용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인코딩할 수 있습니다.

3) 하드웨어 가속 사용 여부 확인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는지 확인하려면, 렌더링 또는 내보내기 중에 GPU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면 됩니다. 작업 관리자(Windows) 또는 활동 모니터(Mac)를 통해 GPU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가속이 활성화되면 GPU의 사용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하드웨어 가속을 활용할 때의 주의점

하드웨어 가속을 활용할 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 일부 오래된 GPU는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지 않거나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최신 GPU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디오 코덱의 지원: 모든 비디오 코덱이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HEVC(H.265)는 일부 구형 시스템에서는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인코딩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설정: 하드웨어 가속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프로젝트 파일 및 미디어 파일의 설정이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프로젝트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를 시스템 성능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결론

하드웨어 가속을 활용하면 편집 속도, 렌더링 시간, 인코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적절히 활용하면 고해상도 비디오 편집 작업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 자원의 부담을 줄이고 작업 흐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최신 GPU와 적절한 설정을 통해 프리미어 프로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더 빠르고 효율적인 비디오 편집 환경을 경험해 보세요.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10. 09:55

 

PC/모바일 AMD GPU가속으로 빠른 트랜스코딩 하기 (스샷없음) 6

AMD GPU 또는 APU (특히 레이븐릿지 내장그래픽 등) 의 경우 AMD VCE로 통칭되는 H/W 인코딩/디코딩 엔진이 있습니다.

N당의 NVENC나 인텔의 QSV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데,

안타깝게도 안습한 점유율(-_-)과 AMD의 부실한 지원(?)으로, 이걸 제대로 지원하는 인코딩 프로그램이 전무하다시피 합니다.

 

다행히 세상에는 이런걸 파는 굇수 개발자님이 있기 마련이죠.

AMD에서 Fluid Motion을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Bluesky Frame Rate Converter 의 개발자인 Bluesky님이

간단(?) 트랜스코딩 어플인 A's Video Converter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무료)

 

지원되는 기능을 열거해 보자면,

Hardware H.264 and H.265/HEVC encode using AMD VCE (Video Codec Engine)

Hardware H.264 and H.265/HEVC encode using Intel QSV (Quick Sync Video)*1

Hardware H.264 and H.265/HEVC encode using NVIDIA NVENC*2

Software H.264 and H.265/HEVC encode*1

Hardware decode

Hardware filtering*3

Up to 8 files transcoding at the same time

Simply movie editor

Batch transcoding and Combine transcoding

Automatic transcoding using folder watching

DirectShow Video Capture and Audio Capture*4

 

멀티패스 인코딩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주 목적 자체가 품질보다는 빠른 변환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실 QSV나 NVENC는 어차피 샤나인코더 같은 좀더 인기있고 사용성이 좋은 어플로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 어플의 진짜 용도는 AMD VCE를 통한 빠른 트랜스코딩이죠 ㅋ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우선 어플 공개 페이지 https://bluesky23.yukishigure.com/en/AsVideoConv.html 에서

 

파일 다운로드 및 기본설치법

아래 파일들을 다운받습니다

1. 페이지 맨 아래 있는 어플 본체 : AsVideoConv_7.5.0 (w/o installer)

2. 최신 LAV filter 를 zip형태로 다운받습니다. x86이나 64 중 자신에 맞는 것을 받으면 됩니다.

https://github.com/Nevcairiel/LAVFilters/releases

(제 경우 LAVFilters-0.72-x64.zip 를 사용합니다)

3. Microsoft .NET Framework 4.6 을 설치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48130

4. Microsoft Visual C++ 2017 Runtime 을 설치합니다

https://bluesky23.yukishigure.com/en/AsVideoConv.html (페이지 중간쯤에 x86, x64버전으로 있습니다)

5. AsVideoConv_7.5.0의 압축을 푼 뒤 이 폴더 안에 LAVFilters-0.72-x64.zip 를 저장합니다

AsVideoConv.exe 를 실행한 뒤, input>select file을 선택한 뒤 LAVFilters-0.72-x64.zip 를 선택합니다 (플러그인처럼 설치됩니다)

 

인코딩 설정

1. setting > transcode setting 에서 encoder 를 AMD VCE H.264 또는 H.265로 합니다. (H.265=HEVC)

인코딩 품질 설정 등은 취향대로 설정합니다. Pre-Analysis는 멀티패스 인코딩의 효과를 일부 내 주는 옵션이라는 듯 합니다.

2. audio encoder는 취향대로 설정합니다. 아래 pass-through에서 aac를 체크해두면 인코딩 없이 패쓰스루 합니다

3. 리사이즈나 프레임레이트 변경이 필요할 경우 filter에서 hardware video processor 를 체크하고 setting 에서 설정합니다.

여기서 플루이드모션도 적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전 안씁니다)

4. decode 탭에서 enable hardware decode를 선택하고 LAV Video decoder를 선택한뒤 setting으로 들어갑니다

hardware decoder to use에서 DXVA2 (copy-back)을 선택하고, hardware device to use에서 AMD Radeon(TM) RX Vega 11 Graphics를 선택합니다. 적용할 코덱은 그 바로 우측 상단에서 선택해 줍니다.

(이것은 레이븐릿지 2400G 기준이며, 외장글카의 경우 DXVA2 (native)를 선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5. File Format에서는 internal MP4Muxer 가 기본입니다. MKV쪽이 호환성이 더 좋지만, MKV컨테이너를 쓰고자 할 경우mkvtoolnix 를 아래의 경로에서 다운받고 mkvmerge.exe 를 경로 지정해 줍니다.

https://www.fosshub.com/MKVToolNix.html

 

나머지 사용법은 대충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