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인코딩 전용 하드웨어
GPU 내부에 별도로 탑재된 동영상 인코딩 전용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가속하는 방식으로, GPU의 체급에 상관없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원하는 인코딩을 위해 굳이 비싼 그래픽카드를 찾을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의 기능과 성능이 대체로 세대마다 개선되기 때문에 GPU 체급에 상관없이 구형보단 신형 그래픽카드가 절대적으로 더 유리할 수밖에 없으므로, 장기적으로 고려해서 알아볼거면 앞으로를 위해 최신 그래픽카드를 찾는 것이 좋다.
전용 하드웨어 인코더가 인코딩을 전담한다고 해서 GPU 전체적인 이용률이 0%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인코딩과 동시에 출력하는 실시간 인코딩의 경우,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 출력을 위해 GPU 이용률이 어느 정도 나타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신이지만 비용 아낀다고 무작정 저사양 그래픽카드로 장시간 돌리다간 그래픽카드 자체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단일 스트림 플랫폼 기준으로 GPU 자원에 어느 정도 여유를 남기려면 최소한 현세대 엔트리~메인스트림 라인의 그래픽카드를 알아보는 것이 안정적이다.
퀵 싱크 비디오: 2011년 샌디브릿지부터 도입된 인텔의 내장 그래픽 내에 들어있는 전용 하드웨어. 브랜드 이름답게 속도에 중점을 둔 인코딩 기술로, 속도가 가장 빠르지만 그만큼 화질 저하도 가장 크다.
NVENC: 2012년 케플러 마이크로아키텍처와 함께 소개된 NVIDIA 그래픽카드에 올라가는 전용 하드웨어 인코더. 인텔 퀵싱크처럼 동영상 하드웨어 인코딩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며, 속도는 인텔 퀵싱크에 맞먹지만 화질이 CUDA 인코더라고도 불렀던 GPGPU(CUDA) 방식의 NVCUVENC보다 떨어진다. CUDA는 게임의 경우 3D 그래픽의 셰이딩 역할을 담당하지만 NVENC는 3D 그래픽 코어가 아닌 영상 처리 전용 코어들을 조작한다.
지포스 10 시리즈부터 도입된 5세대에 들어서 화질이 꽤 개선되었고, 지포스 20 시리즈부터 도입된 6세대에 들어서는 x264 fast 옵션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따라서 그냥 엔비디아 최신형 그래픽 하나만 달아놓으면 방송에 지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스트리밍으로 돈을 벌정도의 사람이 아니라면 특별히 방송용 견적을 살 필요 없다.
등장한지 2년 뒤에 NVCUVENC의 지원이 중단되었지만 NVENC도 인코딩 전용 하드웨어만으로는 부족하다면 CUDA까지 이용하여 함께 동작해주기도 해서 엄밀히 따지면 하이브리드 인코딩도 지원해주는 유연한 기능이다. 단, 기본적으로 인코딩 전용 하드웨어를 우선으로 동작하므로 반쪽짜리 유연성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OBS Studio 같은 방송 소프트웨어에서 NVENC NEW 인코더를 지원하게 됨으로써 GTX 600번대 이상 그래픽카드 이용자는 게임 프레임 손실 없이 방송이나 녹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NVDEC는 인코딩이 아닌 디코딩 전용 하드웨어이다
VCE: 2012년 GCN 마이크로아키텍처부터 도입된 AMD 라데온 그래픽 카드의 전용 하드웨어 인코더. 그동안 스트림 프로세서로만 이용해야 했던 TeraScale 3 이전의 마이크로아키텍처와는 다르게 전용 하드웨어 인코더가 탑재되어, 보다 효율적인 인코딩이 가능해졌지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수가 인텔 퀵싱크나 NVENC에 비해서 적다. 2017년 VCE가 VCN에 흡수, 통합되었으므로 현재는 VCN으로 통용된다. 마찬가지로 OBS Studio에서 지원한다. 가능하다면 X264 대신 선택하는게 좋다.
VCN: 2017년 1세대 라이젠 APU(레이븐 릿지)부터 도입된 AMD 라데온 그래픽의 인코딩 & 디코딩 전용 하드웨어. 이름만 다를 뿐, 인코딩 부분은 VCE에서 계승되었기 때문에 VCE가 가지고 있는 불리한 점을 고스란히 이어받았다(...).
참고로 디코딩은 UVD에서 계승되었다. 디코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Microsoft Media Foundation: Windows Vista부터 도입된 DXVA 레이어. 웹캠 캡쳐, 오디오 캡쳐, 인코더 디코더, 비디오 프로세싱의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한다. 트랜스코딩 API 문서. 핸드 브레이크 인코더에서 지원하며, 퀄컴AP를 사용하는 Windows 10 on ARM 기기에서 동영상 하드웨어 가속시 활용할 수 있다.
Video Toolbox: 애플의 하드웨어 인코딩 디코딩 가속을 지원하는 low-level framework.# M1 mac에서는 M1에 내장된 인코더를 이용하고 인텔맥이고 T2칩이 탑재되어있으면 T2칩이 인코딩을 담당하고 T2칩 미탑재 맥이면 인텔 퀵싱크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4. 동영상 인코더 목록
4.1. 코덱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콘솔
x264(for H.264): 무료이고 오픈소스이다. x264는 FFmpeg에 종속된 프로젝트가 아니며 독립되어 있고 오히려 FFmpeg 쪽에서 x264 소스를 받아다 쓰는 관계이다.
x265(for H.265)
libvpx(for VP8, VP9)
libaom(for AV1) - 공식 AV1 인코더
rav1e(for AV1) - 조금 더 빠른 AV1 인코더
svt-av1(for AV1) - 조금 더 더 빠른 AV1 인코더 (느리다)
VideoToolbox(in macOS) - 기기 내 AP, GPU가 지원하는 하드웨어 인코딩을 운영체제 레벨에서 지원한다.(H.264, H.265 등)
Media Foundation(in Windows) - 기기 내 CPU, GPU가 지원하는 하드웨어 인코딩을 운영체제 레벨에서 지원한다.(H.264, H.265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