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24. 13:37

 

코요태 김종민이 11살 연하 아내와 결혼한 후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현장이 포착됐다.

24일 신지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무슨 재미난 일이 벌어질까요?”라는 글과 함께 몇 장의 사진을 게재했다.

 

 

사진 속 신지는 머쉬베놈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신지 뿐만 아니라 김종민, 빽가 등 코요태 멤버들의 모습도 담겼다. 이를 통해 코요태와 머쉬베놈이 만나 특별한 일을 펼친다는 점을 예상할 수 있다. 많은 팬들이 코요태의 신곡 등을 예상한 가운데 신지는 “많이 궁금해 하셔서, 코요태 신곡은 아닙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김종민의 모습이 포착됐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김종민은 지난 20일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11살 연하의 비연예인 사업가 아내와 결혼식을 올렸다. 1부 사회는 유재석, 2부 사회는 문세윤과 조세호가 맡은 가운데 축가는 동방신기, 이적, 린이 부른 것으로 알려졌다.

결혼식 후에는 가수 인순이가 소셜 미디어 계정에 올린 현장 사진에서 비연예인 신부의 모습이 공개돼 화제가 됐다. 일반인인 신부를 공개했다는 점에서 질타를 받았고, 인순이는 “아끼는 후배 결혼식이 비공개로 진행되는 거였는데 제가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두 사람의 모습이 예뻐서 그만 사진을 올렸다. 아침에 신랑, 신부에게 깊이 사과하고 괜찮다는 말을 들었지만 제 마음은 여전히 많이 무겁고 미안하다. 제가 더 조심하고 지켜줘야 하는데.. 두 사람에게 정말 미안하고 앞으로 행복과 사랑이 가득하길 기도하겠다”고 사과했다.

 

김종민은 일반적으로 결혼식 후 신혼여행을 떠나는 것과 달리 기존 일정들을 소화한 뒤 5월말에 프랑스 남부로 신혼여행을 떠날 예정이다. 김종민 측은 “김종민 씨가 5월 말부터 약 3주 가량 신혼여행을 다녀올 예정이다. 해당 기간 동안 예정됐던 촬영들은 프로그램 제작진과 동료들의 배려로 원활하게 조율했다. 신혼여행을 다녀온 뒤에도 계속해서 좋은 모습 보여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종민은 결혼식 당시 포토월에서 ““너무 설레고 긴장도 된다. 묘한 감정이다. 다른 인생이 펼쳐질 것 같은 기대감도 크다”며 “자녀는 두 명 정도 생각하고 있는데 성별이 달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23. 15:31

 

전 축구선수 강지용이 사망한 가운데 그의 사촌이 가수 권은비라는 사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2일 강지용이 하늘의 별이 됐다. 향년 36세. 23일 고인과 각별한 사이로 알려진 축구선수 구본상이 강지용 부고를 알렸다. 구체적인 사망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빈소는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장례식장이다. 발인은 25일 엄수될 예정이며 장지는 천안추모공원이다. 상주에는 아내와 딸이 이름을 올렸다.

1989년생인 강지용은 2009년 '포항 스틸러스'에 지명돼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고인은 3년간 포항에서 몸담은 후 2012년 '부산 아이파크'로 이적했다.

이후 프로팀을 비롯해 시민 축구단까지 여러 팀을 옮겨 다닌 강지용은 2022년 축구 선수 생활을 마쳤다. 이후 지난 2월 JTBC '이혼숙려캠프'에서 은퇴 이후의 근황에 관해 알렸다.

오랜만에 대중 앞에선 강지용의 모습에 그의 과거 행적이 주목받았다. 이에 강지용이 가수 권은비와 사촌지간이라는 사실도 함께 재조명됐다. 지난 2018년 강지용은 권은비가 Mnet 서바이벌 프로그램 '프로듀스48'에 참가했을 때 직접 투표 독려 글을 올린 바 있다.

 

권은비 또한 SBS 파워FM에 출연해 자신의 사촌오빠가 K리그의 포항, 강원, 부천에서 뛰었던 축구선수라고 말했다. 대중은 권은비의 발언에서 힌트를 찾아내 사촌지간이라고 소개한 축구 선수가 강지용임을 밝혀냈다.

한편 강지용은 '이혼숙려캠프'에 9기 부부로 출연했다. 당시 강지용 부부는 경제적 문제로 가정불화를 겪었다. 방송에서 강지용은 축구선수로 활동하며 벌어들인 수억 원의 연봉을 모두 부모님께 주고 돌려받지 못해 공장에서 일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제적 문제로 인해 강지용 부부는 결혼식 없이 혼인신고만 한 채로 딸을 낳고 살았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결혼 생활 중 강지용은 극단적 선택을 반복해 아내에게 큰 상처를 입히기도 했다.

당시 방송에서 전문가들이 제시한 솔루션으로 부부는 화해했으나 갑작스러운 강지용의 비보가 전해졌다. 이에 JTBC 측은 강지용 부부 편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23. 15:09

 

전 축구선수 강지용(36)이 22일 세상을 떠났다.

고(故) 강지용의 빈소는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상주로는 아내와 딸이 이름을 올렸다.

고인과 절친한 사이로 알려진 축구선수 구본상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부고를 알렸다.

 

1989년생 강지용은 2009년 K리그 드래프트에서 포항 스틸러스에 지명돼 프로 무대를 밟았다. 이후 부산 아이파크, 부천FC1995, 강원FC, 인천 유나이티드 등을 거쳤으며 2022년 선수 생활을 마쳤다.

강지용은 지난 2월 JTBC ‘이혼숙려캠프’에 출연해 은퇴 후 화학 물질 제조 공장에서 일하고 있는 근황을 알렸다. 당시 그는 본가와 얽힌 금전적인 문제로 아내와 갈등이 있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발인은 오는 25일 오전 6시 30분이며 장지는 천안추모공원이다.

 

고인은 K리그를 뛰었던 프로축구 선수였으나,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방송된 JTBC ‘이혼숙려캠프’에서 공장에서 일하는 모습이 공개됐다. 당시 고인은 축구선수로 활동하며 벌어들인 수억 원의 연봉을 모두 부모님에게 주고 돌려받지 못해 아내와 경제적 궁핍으로 불화를 겪었다.

이 때문에 부부는 결혼식 없이 혼인신고만 한 채 딸을 낳고 살고 있었다. 해결되지 않는 갈등 속에 결혼 생활 당시 고인은 극단적인 선택을 반복 시도해 아내에게 큰 상처를 입히기도 했다.

 

부부의 상담을 맡았던 이호선 상담가는 남편에게 “죽을 사람은 아니다. 그러다가 실수로 죽는다. 위험하다”고 남편에게 강하게 조언했다.

‘이혼숙려캠프’에서 제시한 솔루션으로 부부는 화해하고 딸과 행복하게 살 것을 다짐했으나, 방송 한 달 만에 비보가 전해졌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23. 13:11

 

'가입자 2300만' SKT 해킹… 유심 칩 정보 유출됐다

국내 최대 통신사 피해 파장


국내에서 이동통신 가입자 2300만명을 보유한 SK텔레콤이 해킹을 당해 이용자들의 일부 정보가 유출됐다. 전체 가입자 가운데 몇 명의 정보가 유출됐는지, 정확하게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 아직 제대로 확인되지 않아 정부 당국이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조사에 들어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9일 오후 11시 40분쯤 SK텔레콤이 해커의 악성 코드 공격으로 가입자들의 일부 정보가 유출되는 피해를 당한 뒤 이 사실을 정부에 신고해 왔다”고 22일 밝혔다. 해커가 처음에 어떻게 SK텔레콤 내부 시스템에 악성 코드를 설치하게 됐는지 등에 대해선 밝혀지지 않았다. 해킹된 장비는 LTE(4세대이동통신) 및 5G(5세대이동통신) 고객들이 휴대전화로 SK텔레콤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자사 가입자의 휴대전화가 맞는지 확인해주는 서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해킹 사건을 총괄하는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이날 오후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에서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SK텔레콤 측은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결제 계좌번호 등과 같은 민감 정보가 아니라 가입자의 유심(USIM) 관련 정보(전화번호와 휴대전화 기기 고유 번호)가 일부 유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과기정통부는 추가로 해킹된 개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포함해 정확한 유출 규모 파악에 들어갔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2300만명에 달하는 SK텔레콤의 가입자 정보를 한 서버에서 관리하는 게 아니라 여러 군데로 분산돼 있기 때문에 유심 정보 외에 다른 개인 정보 유출 여부 등까지 확인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했다. 다만 아직까지는 유출된 유심 정보로 인한 악용 사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과기정통부는 필요하면 민관 합동 조사단까지 구성해 해킹 원인 분석과 재발 방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통신 당국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민관 합동 조사단을 모두 6차례 꾸린 바 있다. 정부 당국의 사고 조사 과정에서 SK텔레콤의 보안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명될 경우 시정명령을 내리게 된다.

한편 이날 SK텔레콤은 자사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해킹 사실을 고객들에게 고지하면서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보안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고객 정보 보호 방안 마련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게시했다.

 

☞유심(USIM·범용가입자식별모듈)

통신사가 휴대폰 개통 시 넣어주는 탈부착식 소형 칩. 여기에는 가입자가 통신사로부터 부여받은 휴대폰 전화번호와 개통할 때 등록한 휴대폰 기기의 고유번호가 들어간다. 통신사는 자사 망에 접속한 휴대폰 이용자의 유심 정보와 통신사 서버에 보관 중인 내용이 일치하는지 확인해 자사 가입자인지 식별한다. 이용자가 유심에 저장해놓은 지인 연락처는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해킹된 유심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22. 09:51

CPU 5600X

그래픽카드 AMD 6600XT 채굴 중고

램 8GB x 2 개

 

2시간 상영 시간 1080P FHD 영상 인코딩 시간 5분

동시에 여러개의 인코딩 프로그램 멀티 다중 동작

H.264/H.265 인코딩 최적화 완전정복: 영상 품질과 용량의 완벽한 밸런스 찾기

  

 

영상 인코딩의 양대 산맥인 H.264와 H.265에 대해 영상 플랫폼이 대세인 시대에 인코딩 최적화는 필.수.템!

영상 편집을 하다 보면 "이 영상 용량 너무 크다..." 혹은 "화질이 왜 이렇게 구려졌지?" 하는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특히 재능넷에서 영상 제작 재능을 판매하시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고객에게 퀄리티 높은 영상을 전달하면서도 용량은 적절하게 관리해야 하니까요. 오늘은 그 해결책을 함께 알아봅시다!

 

H.264와 H.265, 도대체 뭐가 다른 거야?

일단 기본부터 탈탈 털어봅시다! H.264(AVC)와 H.265(HEVC)는 둘 다 영상 압축 코덱인데요. 쉽게 말하면 영상을 작은 용량으로 압축해주는 기술이에요.

📊 H.264 vs H.265 한눈에 비교

  1. 압축률: H.265가 H.264보다 약 30~50% 더 효율적으로 압축해요.
  2. 화질: 같은 비트레이트에서 H.265가 더 좋은 화질을 제공해요.
  3. 인코딩 시간: H.265가 더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해서 인코딩 시간이 더 오래 걸려요.
  4. 호환성: H.264가 더 많은 기기와 플랫폼에서 지원돼요.
  5. 하드웨어 요구사항: H.265는 더 강력한 하드웨어가 필요해요.

쉽게 비유하자면 H.264는 믿고 쓰는 국민 코덱이고, H.265는 좀 더 까다롭지만 성능은 더 좋은 프리미엄 코덱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025년 현재, 어떤 코덱을 선택해야 할까?

2025년 현재 시점에서는 H.265가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어요. 하지만 아직도 H.264의 입지는 탄탄합니다. 선택 기준을 알려드릴게요!

🎯 H.264를 선택해야 할 때

1. 최대한 많은 사람이 볼 수 있게 하고 싶을 때

2. 인코딩 시간을 단축하고 싶을 때

3. 라이브 스트리밍이나 실시간 영상 처리가 필요할 때

4. 오래된 기기나 시스템에서도 재생해야 할 때

🎯 H.265를 선택해야 할 때

1. 4K, 8K 등 고해상도 영상을 다룰 때

2. 용량 제한이 있는 상황에서 최대한 화질을 유지하고 싶을 때

3. HDR 콘텐츠를 제작할 때

4. 최신 기기나 플랫폼을 타겟으로 할 때

요즘 재능넷에서도 4K 영상 편집 의뢰가 많이 들어오는데, 이런 경우엔 H.265가 확실히 유리해요! 물론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게 좋겠죠?

⚙️ H.264 인코딩 최적화 꿀팁

자, 이제 본격적으로 인코딩 최적화 방법을 알아볼게요! 먼저 H.264부터 시작해볼까요?

H.264 인코딩 프로필 가이드Baseline호환성: 최고복잡도: 낮음화질: 기본용도: 화상통화모바일 친화적Main호환성: 높음복잡도: 중간화질: 우수용도: 스트리밍범용성 좋음High호환성: 중간복잡도: 높음화질: 최고용도: 방송/영화고화질 콘텐츠👉 대부분의 경우 Main 또는 High 프로필 권장

🔹 프로필(Profile) 선택하기

H.264에는 여러 프로필이 있어요. 프로필마다 지원하는 기능과 압축 효율이 달라요.

  1. Baseline Profile: 가장 기본적인 프로필로, 모바일 기기나 화상 통화에 적합해요.
  2. Main Profile: 일반적인 비디오 스트리밍에 적합하며, 대부분의 기기에서 지원돼요.
  3. High Profile: 가장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며, 고화질 영상에 적합해요. 요즘은 대부분 이걸 사용해요!

실무에서는 High Profile을 주로 사용하지만, 타겟 시청자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오래된 스마트폰을 타겟으로 한다면 Baseline이나 Main을 고려해볼 수 있죠.

🔹 레벨(Level) 설정하기

레벨은 비트레이트,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의 제한을 정의해요. 레벨이 높을수록 더 높은 해상도와 비트레이트를 지원하지만, 더 강력한 하드웨어가 필요해요.

일반적으로 1080p 30fps는 Level 4.0, 1080p 60fps는 Level 4.2, 4K 30fps는 Level 5.1을 사용해요.

🔹 비트레이트(Bitrate) 최적화

비트레이트는 영상의 화질과 용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에요. 너무 낮으면 화질이 떨어지고, 너무 높으면 파일 크기가 커져요.

💡 H.264 권장 비트레이트 (2025년 기준)

  1. 720p 30fps: 3-5 Mbps
  2. 1080p 30fps: 5-8 Mbps
  3. 1080p 60fps: 8-12 Mbps
  4. 4K 30fps: 15-25 Mbps
  5. 4K 60fps: 25-40 Mbps

물론 콘텐츠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액션이 많은 영상은 더 높은 비트레이트가 필요하고, 정적인 영상(예: 강의 영상)은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도 충분해요.

🔹 인코딩 모드 선택하기

H.264에는 여러 인코딩 모드가 있어요:

  1. CRF (Constant Rate Factor): 화질 기반 인코딩으로, 일정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장면에 따라 비트레이트를 자동으로 조절해요. 값이 낮을수록 화질이 좋아지고 파일 크기는 커져요. 보통 18-23 사이 값을 사용해요.
  2. CBR (Constant Bit Rate): 일정한 비트레이트를 유지해요. 스트리밍에 적합해요.
  3. VBR (Variable Bit Rate): 장면에 따라 비트레이트를 조절해요. 일반적인 영상 제작에 적합해요.

일반적으로 영상 퀄리티가 중요하다면 CRF, 스트리밍이 목적이라면 CBR을 사용하는 게 좋아요.

🔹 프리셋(Preset) 설정하기

프리셋은 인코딩 속도와 압축 효율 사이의 균형을 조절해요. 느린 프리셋일수록 더 효율적으로 압축하지만, 인코딩 시간이 오래 걸려요.

⏱️ H.264 프리셋 (빠름 → 느림)

ultrafast → superfast → veryfast → faster → fast → medium → slow → slower → veryslow → placebo

실무에서는 medium이나 slow를 많이 사용해요. 급하게 인코딩해야 한다면 fast나 veryfast를, 시간이 충분하고 최상의 화질을 원한다면 slower나 veryslow를 사용하세요. placebo는 효율 대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거의 사용하지 않아요. ㅋㅋㅋ

🔹 실제 코드 예시 (FFmpeg 사용)

 
ffmpeg -i input.mp4 -c:v libx264 -profile:v high -level 4.2 -crf 23 -preset slow -c:a aac -b:a 192k output.mp4
  •  

이 명령어는 H.264 High Profile, Level 4.2, CRF 23, slow 프리셋으로 인코딩하고, 오디오는 AAC 192kbps로 인코딩해요.

⚙️ H.265 인코딩 최적화 꿀팁

이제 H.265(HEVC) 인코딩 최적화에 대해 알아볼게요! H.265는 H.264보다 더 효율적이지만, 더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해요.

H.265 vs H.264 비트레이트 비교해상도720p1080p4K8K비트레이트 (Mbps)020406080H.264H.265

🔹 프로필(Profile) 선택하기

H.265에도 여러 프로필이 있어요:

  1. Main Profile: 일반적인 8비트 비디오에 사용돼요.
  2. Main 10 Profile: 10비트 색상 깊이를 지원해요. HDR 콘텐츠에 적합해요.
  3. Main Still Picture: 정지 이미지 압축에 최적화되어 있어요.

요즘은 Main 10 Profile을 많이 사용해요. 10비트 색상 깊이는 더 부드러운 그라데이션과 더 넓은 색 범위를 제공해요. 특히 HDR 콘텐츠에서 빛을 발하죠! ✨

🔹 비트레이트(Bitrate) 최적화

H.265는 H.264보다 약 30-50% 더 효율적으로 압축해요. 따라서 같은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더 낮은 비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어요.

💡 H.265 권장 비트레이트 (2025년 기준)

  1. 720p 30fps: 2-3 Mbps
  2. 1080p 30fps: 3-6 Mbps
  3. 1080p 60fps: 6-9 Mbps
  4. 4K 30fps: 8-15 Mbps
  5. 4K 60fps: 15-25 Mbps
  6. 8K 30fps: 25-40 Mbps

보시다시피 H.264보다 훨씬 낮은 비트레이트로도 비슷한 화질을 얻을 수 있어요. 이게 바로 H.265의 가장 큰 장점이죠! 👍

🔹 CRF 값 설정하기

H.265에서도 CRF(Constant Rate Factor)를 사용할 수 있어요. 하지만 H.264와 H.265의 CRF 값은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어요.

H.265에서는 H.264보다 약 2-6 정도 낮은 CRF 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예를 들어, H.264에서 CRF 23을 사용했다면, H.265에서는 CRF 18-21 정도를 사용하면 비슷한 화질을 얻을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H.265에서는 다음과 같은 CRF 값을 권장해요:

  1. 고화질: CRF 18-20
  2. 중간 화질: CRF 21-24
  3. 저화질: CRF 25-28

🔹 프리셋(Preset) 설정하기

H.265도 H.264와 같은 프리셋을 사용해요. 하지만 H.265는 더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프리셋이라도 H.264보다 인코딩 시간이 더 오래 걸려요.

H.265에서는 medium이나 fast 프리셋을 많이 사용해요. slower나 veryslow는 인코딩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수 있어요. 특히 4K 이상의 고해상도 영상에서는 더욱 그래요.

🔹 실제 코드 예시 (FFmpeg 사용)

 
ffmpeg -i input.mp4 -c:v libx265 -crf 22 -preset medium -c:a aac -b:a 192k output.mp4
  •  

이 명령어는 H.265, CRF 22, medium 프리셋으로 인코딩하고, 오디오는 AAC 192kbps로 인코딩해요.

🔹 하드웨어 가속 활용하기

H.265 인코딩은 CPU를 많이 사용해요. 최신 GPU는 H.265 하드웨어 인코딩을 지원하므로, 이를 활용하면 인코딩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요.

NVIDIA GPU를 사용한다면 NVENC, AMD GPU를 사용한다면 AMF, Intel CPU/GPU를 사용한다면 QSV를 활용할 수 있어요.

 
ffmpeg -i input.mp4 -c:v hevc_nvenc -preset slow -b:v 8M -c:a aac -b:a 192k output.mp4
  •  

이 명령어는 NVIDIA GPU를 사용해 H.265로 인코딩해요. 하드웨어 인코딩은 소프트웨어 인코딩보다 화질이 약간 떨어질 수 있지만, 인코딩 속도가 훨씬 빨라요.

🔄 실전 인코딩 워크플로우

이제 실제 작업 환경에서 어떻게 인코딩을 최적화할지 알아볼게요!

🔹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별 인코딩 설정

🎬 Adobe Premiere Pro

  1. 내보내기 > 미디어로 이동
  2. 포맷: H.264 또는 H.265
  3. 프리셋: 맞춤 설정
  4. 비디오 탭에서 비트레이트 설정 (VBR, 2패스 권장)
  5. 고급 설정에서 프로필과 레벨 설정

🎬 DaVinci Resolve

  1. 딜리버리 탭으로 이동
  2. 포맷: MP4, 코덱: H.264 또는 H.265
  3. 품질: 제한된 비트레이트 또는 일정한 품질
  4. 고급 설정에서 프로필, 레벨, 엔트로피 코딩 모드 설정

🎬 Final Cut Pro

  1. 공유 > 마스터 파일로 이동
  2. 포맷: 컴퓨터, 코덱: H.264 또는 H.265
  3. 설정에서 비트레이트, 키프레임 간격 등 조정
  4. 인코딩 설정에서 멀티패스 인코딩 활성화

🔹 플랫폼별 최적 인코딩 설정

각 플랫폼마다 권장하는 인코딩 설정이 다르니 참고하세요!

📺 YouTube (2025년 기준)

  1. 코덱: H.264 (일반) 또는 H.265 (4K 이상)
  2. 비트레이트: 1080p 8-12Mbps, 4K 35-45Mbps
  3. 오디오: AAC, 192-384kbps
  4. 프레임레이트: 원본 유지 (24, 30, 60fps)

📱 Instagram (2025년 기준)

  1. 코덱: H.264
  2. 해상도: 1080p (최대)
  3. 비트레이트: 3-5Mbps
  4. 프레임레이트: 30fps (권장)
  5. 길이: 릴스 최대 90초, IGTV 최대 60분

🎵 TikTok (2025년 기준)

  1. 코덱: H.264
  2. 해상도: 1080p (9:16 비율 권장)
  3. 비트레이트: 3-5Mbps
  4. 프레임레이트: 30fps
  5. 길이: 최대 10분

🧪 인코딩 테스트 및 최적화 방법

인코딩 설정을 최적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테스트를 통해 자신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설정을 찾는 거예요!

🔹 A/B 테스트 방법

  • 원본 영상의 짧은 구간(30초~1분)을 선택해요.
  • 다양한 설정(코덱, 비트레이트, CRF, 프리셋 등)으로 인코딩해요.
  • 결과물의 화질, 파일 크기, 인코딩 시간을 비교해요.
  • 최적의 설정을 찾아 전체 영상에 적용해요.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5. 4. 21. 11:37

 

알토란'에서 도토리묵밥 맛집 대표가 출연, 레시피를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MBN '알토란'(우리가 아는 맛)에서는 저당톳밥, 집순두부, 순두부덮밥 등의 레시피를 다룬 "내 몸의 시간을 늦추는 <저속 노화 밥상>" 편을 방송했다.

 

.

 

역 인근 약 300m 거리에 위치한 도토리묵밥 맛집을 인기리에 운영 중인 노 박 대표는 그 비법을 전하면서 하이라이트를 장식했다.

해당 식당은 앞서 '생방송 오늘저녁', '2TV생생정보' 등을 통해 도토리냉묵밥 맛집으로 등장했었다.

이날 방송을 통해서도 대표 메뉴 중 하나인 도토리묵밥을 집중 조명하면서 시청자의 침샘을 자극했다.

노·박 대표가 노하우를 담아 만드는 도토리묵밥은 탱글한 묵과 비법 육수의 조화가 잘 이뤄진다는 평가를 받는 음식이다.

냉묵밥과 온묵밥을 비롯해 물냉면, 비빔냉면, 왕만두, 면사리, 떡만둣국(동절기 메뉴) 등이 준비돼 있다.

▶저당톳밥

*기본 재료 : 쌀, 생톳 120g, 물, 소금 2꼬집, 참기름 반 큰술, 식초 1큰술, 밀가루 1큰술

 

▶저당톳밥 조리 과정

1. 쌀은 30분 물에 불려 준비하고 생톳 120g은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밀가루 1큰술 푼 물에 5분 담가둔 뒤 깨끗한 물에 바락바락 씻는다.

 

2. 물이 끓을 때 식초 1큰술을 넣고 톳을 넣어 10초간 데친다.

데친 톳은 찬물에 헹군 뒤 물기를 빼고 소금 2꼬집과 참기름 반 큰술을 두르고 밑간 해둔다.

3. 불린 쌀에 물을 넉넉하게 받아 센불에 끓이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쌀을 젓는다.

물이 끓어 넘치려고 할 때 찬물을 붓고, 이 과정을 3번 반복한다

4. 채반에 끓인 쌀을 붓고 찬물에 3~4번 헹군 뒤 냄비에 부어 윗면을 평평하게 만들고

소주 2잔 분량의 물과 밑간한 톳을 넣고 뚜껑을 덮어 약불에 10분 익힌다

불을 끄고 5분 뜸 들여 완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