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12. 31. 14:03

 

갤럭시 버즈 플러스 !

 

중국제 QCY를 몇년 쓰다가 업글한거였는데 음질도 그렇고, 디자인도 귀엽고 좋았다

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으니 유닛이 나의 작은 귀에 잘 안맞나 ??

 

착용법을 바꾸면 좀 나아지나 싶은데

순정에 포함되어있는 큰 이어팁으로 바꿔볼까? 하다가 이참에 사제 이어팁이나 한번 써보자 생각

 

후보 1. 아즈라 이어팁 (크리스탈, 맥스)

사제 이어팁으로 유명한 아즈라~

의료용 실리콘 사용한다니 외이도염 문제는 없을듯하고,

(근데 난 귀가 튼튼한지 순정 써도 외이도염 안걸림ㅋ)

색상도 클리어, 스모키 두가지 있고,

S,M,L 사이즈별로 나누어 판매한다.

그런데 아즈라 맥스 제품이 좋다던데,

후보 2. 컴플라이 폼 팁

뭔가 삼성에서도 판매하니 믿음이 가고 메모리폼 이니 귀에 더 착 붙지 않을까?

근데 가격은 너무 사악하다

폼팁의 내구성 문제는 써보면서 느껴보기로 하고..

사이즈도 한 패키지에 S,M,L 같이 들어있는 구성이다.

사이즈는 골라서 하는게 좋을수도 있고,

자기 사이즈 모르거나, 이것저것 껴보고 싶거나,

귓구멍이 짝짝이거나 하면 같이 들어있는게 좋겠고,

사람마다 호불호가 갈리는듯..

 

컴플라이 메모리 폼팁~

종류가 있나 보던데 트루그립 프로라고 써있다

인스톨 방법 및 착용법

(폼팁이라 팁을 구긴후 귀에 넣으면 밀착되는 방식)

순정 이어팁 분해 및 컴플라이 폼팁과 크기 비교~

위에 있는 폼팁의 왼쪽이 S 사이즈, 오른쪽이 M 사이즈

순정 일반 이어팁과 폼팁 S 사이즈 크기가 비슷하다.

근데 폼팁이야 찌그러지는걸 감안해야하니까..

사이즈는 S와 M을 껴봤는데, 둘다 귀에는 잘들어가는듯?

S 사이즈가 좀 더 편하다싶어 양쪽다 S로 껴놨다~

< 첫 느낌 & 음악감상 >​

치찰음, 투명도, 깔끔함 -2

먹먹함, 차음성, 노이즈 캔슬링 +2

착용감 +10

디자인 -5

듣던대로 투명함이 좀 줄고 먹먹함 차음성 높아진다~

좋은건 이제 더이상 귀안에서 덜그럭거리지 않는다~! ㅠㅜ

이어팁 교체 이유가 이거였던지라,

솔직히 음색은 일반팁이 더 마음에 드는듯하나,

착용시 신경 안쓰이는점 만으로 만족한다~!

새 이어팁 끼고 테스트~

전에는 이어폰 흘러내리는거 계속 귓구녕에 다시 넣어주고, 계속 만져주고..

메모리폼이라 끼고 빼면 귓밥도 잘 묻고 잘안떨어지고, 지저분..

내구성도 별로 안좋아보이지만, 그건 더 써보면서 한번 봐야겠다~

포터블 음향 기기 시장 대세가 유선 인이어일 시절에는 노즐 구경만 잘 고려하여 이어팁을 구매하면 됐습니다. 하지만 TWS가 대세가 된 지금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제조사마다 노즐 크기와 형태를 다르게 설계해서 제품에 맞는 이어팁을 잘 확인하고 구매해야 합니다. 컴플라이는 시장 점유율이 높은 TWS에 대응하는 제품을 내놓는 중인데요. 패키지 전면에 어떤 제품과 호환되는 이어팁인지 안내하고 있습니다.

갤럭시 버즈 2 프로 전용 패키지 후면에는 이어팁을 끝까지 밀어 넣어야 한다는 안내가 있습니다. 에어팟 프로 시리즈는 장착 방법부터 귀에 삽입하는 방법까지 안내하는군요. 개봉은 후면 하단에 있는 양쪽 손잡이 중 한 곳을 잡아당기면 됩니다. 깔끔하게 잘 뜯겨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갤럭시 버즈 2 프로는 노즐이 원형이고, 에어팟 프로는 타원형입니다. 노즐이 원형이면 이어팁 호환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TWS는 케이스에 넣어 충전하므로 높이가 낮은 이어팁을 장착해야 합니다. 컴플라이는 이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높이로 설계했습니다. 반면에 에어팟은 고정 방식이 독특합니다. 양 끝을 걸쇠 형태로 걸어서 고정하는 방식이라 호환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서드파티 이어팁 제조사는 금형을 새롭게 만들어야 하는 겁니다.

 

 

posted by 퍼스트 희망봉 2024. 12. 31. 09:57

 

대부분 노트북 CPU 업글이 데스크탑처럼 쉬운줄 안다

데스크탑 CPU를 사용하는 노트북도 간간히 발표가 되긴한다만 대부분의 노트북이 LGA타입이 아니기 때문.

노트북 모바일 프로세서 코드명에 따라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인데 생각없이 세대가 같다고 구매하면 엿됨

 

노트북 하단을 분해 CPU 쿨러 제거후에 보드에 CPU가 납땜되어 있으면 BGA나 FCBGA 로써 업글레이드가 불가능

 

1. 현재 사용중인 노트북의 CPU 뒷 알파벳을 알아야 한다.

업그레이드 가능한 시리즈 -> MQ, M, XM, QM

업그레이드 불가능한 시리즈 -> Y, U, H, HQ, C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시리즈는 BGA타입을 사용하여, PCB에 다이렉트 납땜해서 업그레이드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이게 BGA 타입으로 CPU에 핀이 없다. 업그레이드는 불가능

사용중인 노트북의 CPU가 M, MQ, XM, QM일 경우에는 PGA 소켓을 사용하여 호환성과 TDP만 확인해주면 업그레이드가 가능

(PGA 방식의 CPU 이미지)

 

2. 호환성 확인하기

CPU 칩셋이랑 TDP 비교하고, 온라인에서 업그레이드를 찾아보기

CPU업그레이드를 위하여 호환성을 확인하기위해서

장치관리자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시스템 장치를 선택하고 아래로 내리면 칩셋 명칭이 나온다.

 

그런 다음 사이트에 접속 칩셋을 찾아 보면 사용되는 CPU 나오지

하지만 나오는 모든 CPU를 사용 아니다. TDP를 확인해봐야 한다.

만일 사용중인 노트북은 하스웰 모바일 프로세서를 사용한 i5-4210M인데 이 CPU의 TDP는 37W로 교체할 CPU의 TDP도 37W 이하거나 같아야 한다

TDP가 맞지 않을경우 발열에 문제가 생겨 자동 락이 걸려 동작 안됨

 

CPU 호환성(TDP 및 CPU 뒷 알파벳)을 확인하고,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이제 CPU 국내에서 중고로 구매

추가 내용

업그레이드 가능한 M프로세서는, i5-4210M처럼 숫자 4개 뒤에 오는 알파벳이 M이여야만 업그레이드가 가능. 만약 현재 사용되는 CPU가 Core M-5Y70같은 경우에는 업그레이드가 불가능

CPU스펙을 확인 만약 소켓 타입이 PGA가 아닌 FCBGA로되어 있을 경우에는 업글이 불가능

BIOS업뎃은 필수고 BIOS에서 혹시라도 교체된 CPU를 인식 못할수있기 때문

모든 노트북 i5와 i7이 쿼드 코어는 아닙니다. 만약 CPU 뒤에 명시된 알파벳이 M이거나 H일경우(Y, U, C포함)에는 2코어 4쓰레드 형식

MQ와 HQ등에서만 i5와 i7가 4코어 8쓰레드로 인식